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e Among Adolescents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 Lim, Ju-Yo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Kyung Hee University) ;
  • Oh, Yoon-Ja (Department of Child & Family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09.09.22
  • Accepted : 2010.11.18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to develop a basic framework of adolescent's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impacts of cultural exchange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368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in the Seoul area. The data were analysyed by ANOVA, Duncan-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percep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believed the perceptions would increase, while the lowest among those believing to decreas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ught about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ther country people, the multi media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knowledge about the multiculture, and thought about an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ptions about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impacts of cultural exchange on cultural diversity,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임(1999).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교육의 과제.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구논문집, 28, 203-228.
  2. 강현아(1994). 한국혼혈인의 실태와 문제.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교육인적자원부(2006a).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교육인적자원부(2006b).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교육인적자원부(2007).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구효진, 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 유아교육연구, 12(6), 43-67.
  7. 국무총리실.관계부처합동(2010). 다문화가족지원 기본계획(안)(2010-2012). 서울: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
  8. 금명자, 김동민, 권해수, 이소영, 이희우(2003). 통일대비 청소년 상담프로그램개발 연구 I.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9. 금명자, 이영선, 김수리, 손재환, 이영숙(2006). 다문화가정 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 사회적응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서울: 국가청소년위원회.한국청소년상담원.
  10.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경란(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경자(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문제와 학교적응.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미혜(1983). 혼혈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병순(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화포럼, 18, 98-100.
  15. 김수연(2000). 한국의 혼혈인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재우(2006). 다문화사회로의 전환: 국제결혼가정자녀의 교육지원방안. 오늘의 청소년, 22(6), 10-15.
  17. 김정희(2006). 교사효능감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영재와 영재교육, 5(1), 5-24.
  18. 모경환, 황혜원(2007).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 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79-100.
  19. 박남수(2007).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사회과교육연구, 14(1), 213-232.
  20. 박민서(2007).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윤경(2007). 다문화 접촉 경험의 교육적 의미 이해: 초등예비 교사들의 문화 다양성 관련 변화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9(3), 147-153.
  22. 박윤경, 성경희, 조영달(2008). 초.중등 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시민교육연구, 40(3), 1-28.
  23. 박은애(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조사 연구; 경상남도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박재규, 이윤애(2005). 전라북도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정착지원을 취한 프로그램개발. 전북: 전북발전연구원.
  25. 박정원(2007). 초등학생의 국제결혼자녀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박철희(2007).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초등 사회.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17(1). 109-129.
  27. 변선영(2007). 코시안에 대한 개방성과 고정관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보건복지가족부(2008). 다문화가족지원법, 2008. 3. 21 공포.
  29. 빈부격차 차별시정위원회(2006).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 통합 지원대책 확정,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 지원방안. 제74회 국정과제회의.
  30. 설동훈(2006).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국회도서관보, 43(5), 2-3.
  31.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외(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32. 신혜정(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안은미(2007).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안지현, 이희은, 유경한(2007). TV 광고에 나타난 전략적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39, 474-561.
  35. 양재찬(2006). 동남아 혼혈 더는 외면 안 된다. 월간 중앙 5월호, 263-271.
  36. 오성배(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37. 오성배(2006a).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38. 오성배(2006b).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기회 실태와 대안모색. 인간연구, 12, 1-15.
  39. 왕한석, 한건수, 양명희(2005).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언어 및 문화적응 실태연구. 서울: 국립국어원.
  40. 유종렬(1997). 가족환경 요인이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유철인(1996). 어쩔 수 없이 미군과 결혼하게 되었다: 생애이야기의 주제와 서술전략. 한국문화인류학, 29(2), 396-420.
  42. 유현승(1998). 혼혈청소년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교육: 동두천 지역 혼혈청소년을 중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윤흥로(1990).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청이 인종적 고정관념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이금순, 강신창, 김병로, 김수암, 안혜영, 오승렬 외(2003).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45. 이영목(2007). 불문화: 문화다양성, 인간의 기본권, 톨레랑스. 불어불문학연구, 17, 499-527.
  46. 이영주(2007). 다문화가정의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7. 이정우(2007). 다양한 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예비교사의 고정관념: 사회과 예비교사 교육에 함의. 시민교육연구, 39(1), 153-178.
  48. 이정우(2008). 다양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태도: 다문화 가정과 일반가정의 비교. 사회과 교육, 47(3), 297-300.
  49. 이정희(1999). 반 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에 대한 고정관념 완화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이재분, 강순원, 김혜원, 이해영, 서유미(2008).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1. 이재분, 김혜원, 이해영(2009).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교육지원을 위한 핵심역량 현황 및 인식. 한국교육, 36(2), 3-29.
  52. 이지애(2007). 다문화 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이창호, 정의철(2010). 다문화사회 대중매체의 사회통합적 역할 탐구. 한국방송학보, 24(5), 370-414.
  54. 이철재, 한애란, 정강현, 김호정, 김태성 (2006. 4). 코시안 정치세력화 가능성 2020년엔 신생아 3명 중1명이 혼혈. 중앙일보 http://www.kinds.or.kr에서 2006년 9월 1일 검색.
  55. 이혜경(2007).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56. 임경혜(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 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7. 장수현(2007). 다문화청소년정책의 과제와 방향 워크숍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58. 장영희(1997).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개념 및 교수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35, 295-314.
  59. 장인실(2003). 다문화교육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이 주는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21(3), 27-53.
  60. 장인실(2007). 다문화청소년정책의 과제와 방향 워크숍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1. 정선희(1997).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2. 정윤정(2007).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전라북도지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3.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64.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2007). 다문화청소년 이해론. 서울: 양서원.
  65. 정현영(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6.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7. 조은경(2006). 아이를 '다름'에 적응시켜라. 한겨레21. 한겨레신문사, 623, 46-47.
  68. 채영란(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 효능감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3), 165-190.
  69. 최충옥, 모경환(2007).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연구. 시민연구, 39(4), 163-182.
  70. 통계청(2008). 각 년도 혼인.이혼 통계결과. http://www.nso.go.kr.
  71. 펄벅 재단(2001). 혼혈인의 미국이민대책. 대화와 모임 발췌자료. 8-11.
  72. 한경아(1994). 한국 혼혈인의 실태와 문제: 펄벅 재단에 등록된 미국계 혼혈인을 중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3. 한만길(1999). 북한이탈주민의 남한교육 적응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4.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 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30.
  75. 한혜원(2001). 혼혈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6. 행정자치부(2007). 행정자치부 보도 자료: 외국인 주민 1년 동안 35% 증가 행정자치부, 지자체별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07년 8월 2일. http://mogaha.go.kr.
  77. 홍영숙(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8.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현, 이동주(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9. 황희숙, 구영지, 윤소정(2007). 초중등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5(3), 173-197.
  80. Appadurai, A.(1991). Global ethnoscapes: Notes and queries for a transnational anthropology. In R. G. Fox (Eg.), Recapturing anthropology:Working in the present(pp. 191-210). Santa Fe: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81. Guyton, E. M., & Wesche, M. V.(2005).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Multicultural Perspective, 7(4), 21-29. https://doi.org/10.1207/s15327892mcp0704_4
  82. Kearney, M.(1995). The local and the global: The anthropology of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24, 547-565. https://doi.org/10.1146/annurev.an.24.100195.002555
  83. Munroe, A., & Pearson, C.(2006).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5), 819-834. https://doi.org/10.1177/0013164405285542
  84. Pascarella, E. T., Edison, M., Haqedom, L. S., Nora, A., & Terenzini, P.T.(1996). Influence on students' opennestt to diversity and challenge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37(6), 731-756.
  85. Sia, A. P., & Mosher, D.(1994).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Concepts by Preservice Teachers in Two Institu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367-603.
  86. Silva, P. D.(2009). Television, public sphere, and minorities. Media Development, 4, 51-55.
  87. UNESCO(2001).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88. Zhai, L., & Scheer, S. D.(2004). Global perspective and attitudes toward culture diversity among summer agriculture student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45(2), 39-51. https://doi.org/10.5032/jae.2004.02039

Cited by

  1. Effects of Multicultural Society Recogni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n Cultural Sensitiv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Perception vol.51, pp.1, 2013, https://doi.org/10.6115/khea.2013.51.1.107
  2.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 Parents' Stereotype on Multicultural a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15, pp.5,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749
  3. Cultural Awareness of Students in a Nursing Education Program vol.19, pp.3,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446
  4.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vol.19, pp.8,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8.19.8.211
  5.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vol.32, pp.1, 2020,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