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atisfaction

검색결과 2,040건 처리시간 0.025초

서맥 환자의 응급 처치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만족도 조사 -응급구조학과 학생 대상- (Satisfaction with simulation-based learning in an emergency intervention for bradycardia patients among paramedic students)

  • 박진옥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7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paramedic students with simulation-based learning in an emergency intervention for bradycardia patients.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72 paramedic students who experienced simulation-based learning. Data on satisfaction with the interven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 The mean satisfaction score for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intervention was 4.28 by Likert 5 point scale. Conclusion: Simulation-based learning can facilitate adaptation to the scene of an emergency among paramedic students.

간호학과 신입생의 심리자본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freshmen)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5-6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만족에 대한 심리자본의 융합적 영향을 확인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164명의 자료를 SPSS 21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자본과 학습만족은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고, 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 점수가 가장 높았다. 심리자본과 학습만족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r=.665, p<.001),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학교성적(${\beta}=.311$), 학교생활만족도(${\beta}=.191$) 및 심리자본(${\beta}=.522$)이 학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F=37.651, p=.004). 학습만족에 대한 변수들의 설명력은 57.4%이었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만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시 이들 영향요인을 반영함이 필요하지만, 일개 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가상강의에 대한 소비자만족모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Consumer Satisfaction Model for Cyber Learning: Focused on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 유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5-310
    • /
    • 2010
  • This study measured college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cyber learning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tudents who had taken one or more cyber learning before. 500 returned and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SPSS WIN 12.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ir cyber learning. Their decision to take the cyber learning was initiated more by emotional motives (m=3.13) than by rational motives (m=3.35). Secon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the 'Expectation for service quality' and the 'Expectation for economy,' and their 'Expectation for economy'(m=4.02) was higher than their 'Expectations for service quality'(m=3.60). Thir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and the results of the cyber learning were analyzed, and a discrepancy between these two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of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howed that the average of the resul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pectations, which means that the cyber learning did not meet the consumers' expectations in every aspect, However,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was 3.20, which means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cyber learning overall. Fourth,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internal factors due to personal matters and external factors due to classes and other factors. It was found that dissatisfaction due to internal factors was greater than that due to external factors. Lastly,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nd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e for its use affected the formation of expectat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ffected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positively. However, the effect of dissatisfaction on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ED 활용 영어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PLS-SEM 적용 (Analyz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English Classes Using TED : using PLS-SEM)

  • 주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59-36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TED talk을 활용한 영어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TED talk이 수업 재료로의 활용이 적절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양영어 과목으로 50-60분간 한 학기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의 영어학습동기, TED talk 활용학습에 대한 학습 흥미도, 학습 태도, 학습 만족도, 학습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PLS-SEM 모델을 적용하여 SMART PLS 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학습동기는 수업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학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TED talk 활용 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학습태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태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TED talk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대학 영어수업에서 TED talk은 학습자에게 흥미와 만족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학습효과가 있으며 영어교육에서 활용할만한 가치와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Lesson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of the University)

  • 김진;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1-1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플립러닝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A 시의 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인 원시실험설계이다. 사전과 사후조사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플립러닝 강의를 실험군에게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였고 실험 전과 후의 효과 검정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수업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플립러닝 교육방법은 자기주도학습능력(t=-8.73, p<.001), 학습태도(t=-6.99, p<.001)와 수업만족도(t=-2.17, p<.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of Medical Studen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전성주;유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5-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자 관련 변인인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고 학습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C지역의 의과대학 의예과 1, 2학년과 의학과 1, 2학년 총 47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집중시간은 31-40분이(38.9%) 가장 높았고,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가(65.5%) 비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보다(34.5%) 많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평균 4.03(±0.86), 자기주도성은 평균 4.49(±0.97), 학습만족도는 평균 4.38(±1.01)이었다. 학년, 학습집중시간, 학습규칙성에 따라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학습몰입, 자기주도성이었으며, 설명력은 72.5%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의과대학의 온라인 학습환경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온라인 학습관리체제 구축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OVID-19 상황으로 인한 대면과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 학습몰입도가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Flow on Satisfaction with Practicum Programs i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amid COVID-19)

  • 정진희;이혜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um, confid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and learning flow, and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practicum program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for nursing students amid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9 junior nursing students from two colleges of nursing located in D and C city,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dows 23.0. Results: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in performance (r=.55, p<.001) and learning flow (r=.70, p<.001) in face-to-face class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practicum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in performance (r=.56, p<.001) and learning flow (r=.73, p<.001) in online clas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were learning flow (β=.51,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β=.30, p<.001) for face-to-face classes, and motivation for application (β=.14, p=.034), learning flow (β=.58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β=.19, p=.015) for online classes. These factors explained 53% and 60% of the satisfaction with practicum in face-to-face classes (F=23.07, p<.001) and online classes (F=20.6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Learning flow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learning strategy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um in both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코로나19로 시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2년제 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의 만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Remote Learning between Two-Yea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 정승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76-28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시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2년제 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에서는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면과 비대면의 혼합형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유형의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2년제 학생이 4년제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에서는 4년제에서 학년에 따른 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 중 대면과 비대면의 혼합형 강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원격수업의 운영·내용·교수와의 상호작용·시험 등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2년제 학생이 4년제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에 따른 원격수업의 만족도에서는 2년제와 4년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유형에 따라 전반적으로 원격수업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2년제 학생이 4년제 학생보다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유형별 학습자의 특성을 반드시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초등 혼합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y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etermination, Teaching Presence, Learning Outcomes of Elementary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강명희;박남수;유은진;김유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는 사이버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장점을 결합한 초등 혼합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간의 구조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A기업의 혼합형 수학학습서비스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5, 6학년생 1,39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높았고, 학습지속의지와 학습만족도도 높았다.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이에 혼합형 학습환경에서 초등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지를 높이려면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높여주는 전략이 우선 처방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학습과정(학습내용의 구조화와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을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u-Learning 시스템 속성이 지각된 상호작용성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Learning Systems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Interactivity and Learning Performance)

  • 이동만;이상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7-15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gative factors affecting personnel u-Learning acceptance and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among the factors in this research model.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voidable convenience and reliant convenience, based on pilot test results, and learning performance and perceived interactivity,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problem was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577 respondents in 23 universities.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analyzed a model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ly, that the higher reliant convenience is negatively affecting the degree of system use and learner’s satisfaction, whereas avoidable convenience is only affect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Secondly, the higher learning performance and stronger perceived interactivity affects the degree of system use as well as learner’s satisfaction. Finally, the degree of system use affects the learner’s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