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 satisfaction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7초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Learners' Satisfaction Index Model for Cyber Education

  • Kim, Chang-Su;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343-347
    • /
    • 2010
  • Cyber education has been predicted that it would become the primary education system of 21st century as a way of education focusing on consumers, with the aspect that it seems to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 about re-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s the acceleration of fast knowledge accumulation throughout every field of society in the digital era. However, cyber education system has a lot of problems which are for that it lacks of human resources for effective interaction, and it can be disadvantageous to certain type of students with a class environment concentrated on reading and writing and with foundation on computer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thesis, We intend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people studying in a situation that cyber education has been required to be a mainstream system of education in the midst of trend of changing paradigm of college education recently, and to suggest some possible solutions for cyber education at university.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 -Case Analysis of Lecture Evaluation of the Same Course by the Same Instructor)

  • 최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78-7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에 대한 서로 다른 수업 유형의 강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업, 온라인 실시간 수업, 온라인과 대면 혼합 수업, 대면 수업 등 4가지 수업 유형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 진행 적절성에 대한 강의 평가 영역에서 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온라인 실시간 수업 유형에서의 강의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콘텐츠 수업, 혼합 수업, 대면 수업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서술형 강의 평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콘텐츠 수업에서는 쉽게 이해 가능하고 재미있는 설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학생들은 철저한 준비와 원활한 소통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혼합 수업에서는 체계적 수업과 열정적 강의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즐거움과 교수자의 열정을 만족도의 주된 이유로 표현하였다. 네 가지 수업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만족도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각각의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설계와 교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가정환경,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School Records of Family Environment, Learner's Attitude, School Life in College Students)

  • 정순철;이원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93-39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가정환경 및 학습태도, 학교생활, 좌석위치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전 소재 D대학교의 OO학과 121명 학생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적을 확인하였다. 모든 참여자로부터 동의서를 받았고, 기관연구심의위원회 승인 후 수행하였다.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21.7세였고, 성별은 남자 54.5% 여자 45.5%로 남자가 많았다. 학교생활과 학습태도는 성적에 의미 있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p=0.001), 가정환경에 대해서는 학교생활(r=0.486, p<0.001)와 학습태도(r=0.454, p<0.001)가 의미 있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학교생활과 학습태도 간에도 의미있는 양의 상관성(r=0.437, p<0.001)을 보였다. 좌석위치에서는 남자 보다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3.40 vs. 3.89, p=0.004) 학년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성적 90%이상그룹과 90%미만 그룹 간에 학교생활(4.35 vs. 4.11, p=0.045), 학습태도(3.75 vs. 3.37, p=0.004), 좌석위치(3.89 vs. 3.45, p=0.007) 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학생은 학교생활와 학습태도, 좌석위치는 학업성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만족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Focus on Adult Learner at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y)

  • 최영준;박금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61-367
    • /
    • 2018
  • 이 연구는 소비자 만족 관점에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를 파악하고자 서울, 경인, 충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성인학습자 1,0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만족도는 전반적인 만족도, 강사,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설 및 환경, 담당직원서비스로 구성하고 연령별, 지역별, 성별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육만족도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강사 관련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담당직원서비스 관련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강사, 교육내용, 시설 및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3개 변인의 설명력은 약 36%였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이들 영역에 대한 고려를 우선시 하여 경영해야 함을 의미한다.

학습자 트레이싱을 통한 원격 교육용 자가 진단 모듈 개발 (The Development of On-line Self-Test Module using Tracing Method)

  • 이규수;손철수;박홍준;심현;오재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9A권3호
    • /
    • pp.147-154
    • /
    • 2012
  • 창의력이나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은 주어진 문제의 정 오답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우며, 진단을 위해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지켜보거나 해결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보고 과정이 요구된다. 더구나 교수자의 학습자에 대한 관찰이 불가능한 온라인 학습이나 버추얼 클래스와 같은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평가하거나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진단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은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을 추적하여 그 과정을 보고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S 오피스군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학습자의 작업 내역을 트레이싱하여 최종적으로 학습자에게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진단해 주고 자신의 능숙도와 소프트웨어를 응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해주는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본 진단 모듈의 효용성 평가를 위하여 실제 MOS 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자 81명에 대한 적용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식경영 시스템을 활용한 신규간호사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Learning Program for Novice Nurses before Beginning to Work in a Hospital Using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 송영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2-89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e-Learn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novice nurses's performance ability Method: The e-Learning program was designed for novice nurses before beginning to work in a hospital using a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2006 to April 2007. The program had progressive steps including design, pilot test & modification, contents development, program application and evaluation. After the program design and pilot test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was analyzed. Result: The program site is http://kms.emc.ac.kr titled, 'Cyber Education Center'. The sixteen part course has been developed as follows: blood sugar test, skin test, insulin test 1, insulin test 2, blood culture, blood sampling, heat therapy, cold therapy, glycerin enema, preparation of operation, oxygen therapy, suction technique, transfusion, foley catheterization and aseptic technique. The overall learner's satisfaction score was 4.08 out of 5 points. Conclusion: E-Learning could be useful for education and nursing work. This method may be effective for clinical nurses.

  • PDF

The Effects of Visual Stimulation and Body Gesture on Language Learning Achievement and Course Interest

  • CHOI, Dongyeon;KIM, Minje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2호
    • /
    • pp.141-16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visual stimulation and gesture, namely embodied language learning,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er's course interest in the EFL classroom.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urpose, thirty two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assigned into four English learning class conditions (i.e., using animated graphic and gestures condition, using only animated graphic condition, using still pictures and gesture condition, and control condi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ddressed below: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post and delayed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imitating gesture group and non-imitating one and between animated graphic group and still picture one?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course interest between imitating gesture group and non-imitating one and between animated graphic group and still picture one? The Embodiment-based English learning system for this study was designed by using Microsoft's Kinect sensing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of imitating gesture group memorized and retained better words and sentence structure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As for learner's course interest measurement, imitating gesture group showed a highly positive response to attention, relevance, and satisfaction for curriculum and using animated graphic influenced satisfaction as well. This finding can be attributed to the embodied cognition, which proposes that the body and the mind are inseparable in the constitution of cognition and thus students using visual simulation and imitating related gesture regard the embodied language learning approach more satisfactory and acceptable than the conventional ones.

기혼여성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갈등과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onflict and Satisfaction on Learning of Married Woman Learners)

  • 이현정;원효헌;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760-768
    • /
    • 2016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married woman learners' types of learning desire, factors of conflict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subjects were 165 married women who were in attendance at general graduate schools located in Busan city and Gyeong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arried woman learners preferred schools of natural sciences to schools of liberal arts, and entered graduate schools mainly according to their wishes. Secondly, Their learning desire type was followed by purpose-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types. Thirdly, internal factor in their conflict factor was higher than external factor. Lastly, positive aspect in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negative aspect.

줌과 스페이셜의 학습자 경험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Learner's Experience on Zoom and Spatial)

  • 이예진;정광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35-541
    • /
    • 2022
  • 줌(zoom)은 COVID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도구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메타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수업 목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로블록스, 제페토, 스페이셜 등의 여러가지 유형이 있지만,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학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수업에서 스페이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줌과 비교한 스페이셜의 학습자경험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경험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성, 몰입감, 만족도의 정량 분석과 학습자 의견에 대한 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SUS(System Usability Scale)를 활용하였고, 몰입감과 만족도 평가를 위하여 Magnitude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줌과 스페이셜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했던 35명이 본 연구의 피실험자로 참여하였다. 줌과 스페이셜에 대한 사용성과 만족도는 줌이 스페이셜보다 유의수준 0.0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업에 대한 몰입감은 스페이셜이 줌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줌을 스페이셜보다 더 편하고 만족스럽게 생각하였다. 하지만,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인터랙션과 재미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업에의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스페이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대학 수업에서 줌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mpact of Technology Adoption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Higher Education: An Empirical Study from Vietnam

  • HOANG, Linh;DANG, H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2호
    • /
    • pp.241-251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echnology adoption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Vietnam.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education sector in particular and many economic sectors in Vietnam have witnessed an explosion of applications and interventions in teaching-learning. However, these innovations have also received a lot of criticism regarding their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Although the numerous benefits that technology adoption has brought to education are apparent, many practitioners have not adjusted to this transition, resulting in lower learner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more than 2472 university students in Vietnam, the results fi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dop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We also test how nine contingent factors including gender, income, major, self-study time, learning methods, technology administration, self-ability in adopting technology, technology accessibility, and purpose of using technology can moderate that relationship. Indeed, technology adoption acts as a facilitator to make learning more convenient, effective, and accessible, rather than completely affecting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self-motivation is an important and decisive factor in improving satisfaction through choosing and applying technology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