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influence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9초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권오형;문재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27-333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2017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2차 조사 대상자 4,400명중 1,483명을 대상으로 SPSS 21.0에 의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일상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은 일상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계와 일상생활 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했다. 원활한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일상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바탕으로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 증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Does Apparel Purchase Involve Joint Purchase Decision-Making? -Interpersonal Influences between Spouse or Significant Others-

  • Kang, Joohee;Lee, Yoo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99-811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factors that influenced susceptibility to dyadic influences between opposite-gender couples on making apparel purchase decisions. This study focused on main effects of couple identity, product knowledge, clothing involvement and gender,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with other factors for normative and informational influen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5 males and 166 females currently married or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living in South Korea. For normative influence, the main effects of joint couple identity and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terest, symbolism, and pleasur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terest)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other variables were insignificant. For informational influence, the main effects of partner's product knowledge, pleasure, and gender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fashion interest and gender, and between pleasure and gender were significant. Marketers may find implications from the study results on how couples influence each other in making apparel purchase decisions.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 competence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Kwag, Youn-K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49-156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대인관계성향 및 정서지능의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9년 11월 29일부터 12월 16일까지 B시의 일 대학교 간호학과 및 물리치료학과 재학생들에게 질문지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7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은 평균 4.10, 8개 대인관계유형 중 사려성-비사려성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지능 평균은 2.73이었다.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끼친 대인관계성향은 주도성-동조성, 공격성-비공격성이었고, 설명력은 29.4%였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대인관계성향은 주도성-동조성이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정서지능은 자기감정표현, 타인조절, 동기화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24.0% 이었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정서지능은 동기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있어 그들의 대인관계성향과 정서지능 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공감능력과 우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Leadership, Empathic Ability, and Depression on the Interperson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미영;최윤숙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26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empathic ability, and depression on their interpersonal skills. Methods : This study applie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involv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315 nursing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to May 6,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WIN 23.0 program. Results : The participants' self-leadership score was 3.63±.65, their empathic ability score was 3.35±.40, their depression score was .84±.50, and their interpersonal skills score was 3.64±.80. Among the sub-categories, others' temperament scored the highest at 3.70±.86, followed by communication at 3.67±.86 and promoting relationships at 3.53±.86. Interpersonal skil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self-leadership (r=.48, p<.001) and empathic ability (r=.33, p<.001).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athic ability (r=.17, p<.05),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27, p<.001).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with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relationships were, in descending order, self-leadership (β=.49, p<.001), empathic ability (β=.19, p<.001), and gender (β=.10, p=.033); the factors affecting others' temperament were, in descending order, self-leadership (β=.37, p<.001), empathic ability (β=.30, p<.001), severe depression (β=.14, p=.008), gender (β=.13, p=.010), and grade (β=-.13, p=.037); while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were, in descending order, self-leadership (β=.41, p<.001), empathic ability (β=.23, p<.001), and gender (β=.11, p=.035). Moreover, the explanatory power of promoting relationships scored the highest at 31 %, followed by others' temperament at 27 % and communication at 26 %.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To increas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regular curricula and programs designed to strengthen their self-leadership and empathic ability and to reduce their depression through reflecting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nd grades.

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적 갈등상황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of Discussion of Moral Conflicts Found in Traditional Fairy Tales)

  • 김명희;김영옥
    • 아동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9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n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of discussion with children of moral conflicts in traditional fairy tales. The subjects were forty 4-to 5-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discussion after hearing traditional fairy tales showing moral conflict, and the control group only listened to the fairy tales. Statistical analysis was by the SAS program. Conclusions were that discussion of moral conflicts found in traditional fairy tales brings about a positive result in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 PDF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대인불안 및 자기통제가 메신저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Control on Messenger Immersion of Adolescents)

  • 소현하;한유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81-1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control in messenger immersion. Questionnaires regarding internet addiction,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control were administered to 600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rovince of Seoul, South Korea. A total of 59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s statistical methods, Cronbach'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SPSS 10.0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In observing the degree of messenger Immersion by the sex and grade of the adolesc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ntage in the top group and the middle group appears higher for school boys than school girls as well as 6th grade school-children rather than for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2) A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messenger immersion factor in school-boys' and that in school-girls'.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The Convergenc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fficacy: Lack of Slee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Parameters)

  • 이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15-32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융합적 연구이다. J도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263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는 정(+)의 상관관계,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과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을 관리하고 예방하며,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계획과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박동영;정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37-34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 정도와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은 문화적 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은 문화적 역량을 18.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며,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Ego-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 한희정;서현아;오소라;하지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43-164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각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ho took Blended Learning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신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92-4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133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간호학과 선택동기 순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44.3%이었다. 결론적으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일수 있도록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