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o-resilienc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제주지역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permissiveness of Ego Resiliency between University School Students' Parental Attachmant and SNS Addiction Tendency: Surveying residing in Jeju)

  • 고보숙;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36-2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형성이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의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 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 분석을 위하여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형성과 SNS중독경성향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 SNS중독경성향에서도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자아탄력성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나 부모애착형성과 자아탄력성은 SNS중독경향성을 낮추는 유의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애착형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연구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앞으로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문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실제적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즉, 대학생의 SNS의 과도한 사용은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자아탄력성을 강화시킴으로써 건전한 SNS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An Application of Latent Mean Analysis and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85-49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자녀 대화, 또래애착, 센터교사만족도,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구조모형의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4차 조사(2017년)의 청소년 438명이 분석 대상이다. 첫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모-자녀 대화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반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자녀 대화 정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또래애착이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센터교사만족도가 자아탄력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체계를 통한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성별에 따른 차별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청소년 자아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청소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Styles in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 이희선;선우현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109-122
    • /
    • 2011
  •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between parent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styles in adolescence.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ed 247 high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using the cognitive appraisal model by Lazarus & Folkman(1984).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as well as ego-resil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ress coping styles. In particular, female teenagers showed evidence that ego-resilience had complete mediation over relationships between a parent's communication styles and their stress coping styles.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Job-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in cSeoul-type Day Care Cente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 김인준;정용충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36-146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서울시 데이케어센터 28곳의 종사자 256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자아탄력성의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 138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및 Hayes가 제시한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 직군이 타 직군보다 직무스트레스 높고 직무만족감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Ego-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 한희정;서현아;오소라;하지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43-164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각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의과대학생의 사회불안장애 증상과 자기존중감,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of Social Anxiety Disorder Symptoms with Self-Esteem,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in Medical Students)

  • 이성은;김승곤;김상훈;박상학;서은현;윤형준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5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ocial anxiety disorder (SAD) and its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factors including self-esteem,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in a sample of medical students. Methods : A total of 405 medica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measures of the Social Phobia Inventory (SPIN), th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RSES), the Ego-Resiliency Scale (ERS), and the Duke-UNC 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DUFSS). The SAD and non-SAD group were defined using the SPIN score of 25 as a cut-of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self-esteem,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with SAD symptoms. Results : A total of 79 subjects (19.5%) were identified with SAD. The total RSES score, ERS score, and DUFSS sco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AD group than the non-SAD group. The total SPIN sco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RSES score (r=-0.481, p<0.001), the ERS score (r=-0.417, p<0.001), and the DUFSS score (r=-0.406, p<0.001). In the multiple regression, SAD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self-esteem (β=-0.549, p<0.001), ego-resiliency (β=-0.395, p<0.001), and social support (β=-0.346, p<0.001).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e prevalence of SAD and its negative association with self-esteem,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among medical students. Our findings indicate that improving self-esteem and ego-resiliency as well as perceived social support may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SAD symptoms among medical students.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and Ego Resilie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 임채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91-197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I전문대학 유아교육과 1, 2, 3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예비유아교사의 SNS중독경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SNS중독 예방 지원 방안으로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Teachers' Recogni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y)

  • 정호경;이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47-368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 정도는 2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교사 집단이 기타 집단보다, 유치원 교사 집단이 어린이집 교사 집단 보다, 그리고 자아탄력성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문제 행동 지도 전략과 관련하여 하위 영역에서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 긍정적 예방전략 I를 많이 행하였으며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 행동 지도 전략 사용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준다. 설명하건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교사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대해 더 많이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행하고 있는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자아탄력성 하위 집단의 교사가 상위집단의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유아 문제 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의 연령과 학력 그리고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 이러한 변인을 고려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자아특성과 대인관계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이 높은 저소득층 아동의 판별분석 (A Discriminant Analysis of a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Low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Low-income School-aged Children using Interpersonal-related Variables and Self-related Variables)

  • 공인숙;민하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201-2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ting a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low-income school-aged children using interpersonal-related variables(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elf-related variables(ego-resiliency, self-control). The subjects were 335 children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4 elementary schools in Daegu. Mean(SD), t-test,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ase on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discriminant functions suggested that the best predict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low-income school-aged children and a low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ego-resiliency. Self-control,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reliably separated the groups. And using ego-resiliency, self-control,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s predictors, the discriminant analysis correctly classified 92.3% of the participants.

청소년 우울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 이용 (Investigation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Depression: Usi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최영진;강홍익;김동욱;성규환;한휘종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5-53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depression and personal factor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Method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taken from the 2014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Of those 2,351 subjects in a data set, data of 1,938 subject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413 subjects with missing inform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multi-variate analysis. In addition, controlling effects of ego-resiliency was analyzed. SPSS 22.0.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depressive index was higher in women than men, and lower in adolescent who has a good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riend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dolescents with high ego-resiliency are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understand and to utilize ego-resiliency of adolescents, in order to reduce adolescents depression. Promoting good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riends will also positively impact to lower adolescents de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