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ay-Insensitiv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6초

A Novel Sensor Data Transferring Method Using Human Data Muling in Delay Insensitive Network

  • Basalamah, Ana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21-28
    • /
    • 2021
  • In this paper, a novel data transferring method is introduced that can transmit sensor data without using data bandwidth or an extra-processing cycle in a delay insensitive network. The proposed method uses human devices as Mules, does not disturb the device owner for permission, and saves energy while transferring sensor data to the collection hub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This paper uses IP addressing technique as the data transferring mechanism by embedding the sensor data with the IP address of a Mule. The collection hub uses the ARP sequence method to extract the embedded data from the IP address. The proposed method follows WiFi standard in its every step and ends when data collection is over. Every step of the proposed method is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help of figures in the paper.

새로운 고속의 NCL 셀 기반의 지연무관 비동기 회로 설계 (Delay Insensitive Asynchronous Circuit Design Based on New High-Speed NCL Cells)

  • 김경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6
    • /
    • 2014
  • 지연 무관방식의 NCL 비동기 설계는 혁신적인 비동기 회로 설계 방식의 하나로써 견고성, 소비전력 그리고 용이한 설계의 재사용과 같은 많은 장접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NCL 게이트 셀들의 트랜지스터-레벨 구조들은 느린 스피드, 높은 영역 오버헤드, 높은 와이어(wire) 복잡도와 같은 약점 또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빠른 스피드, 낮은 영역 오버헤드, 낮은 와이더 복잡도를 위해서 트랜지스터 레벨에서 설계된 새로운 고속의 NCL 게이트 셀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고속의 NCL 게이트 셀들은 회로 지연, 영역, 소모 전력에 의해서 기존의 다른 NCL 게이트 셀들과 비교되었다..

HTPE 둔감추진제 연소/점화/안전도 특성 연구 (The Study of Combustion, Ignition and Safety Characteristics of HTPE Insensitive Propellant)

  • 유지창;정정용;김창기;민병선;류백능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1-3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바인더로 HTPE)/BuNENA를 적용하고 산화제로는 AP와 AN, 금속 연료로 Al을 사용한 HTPE 둔감 추진제 2종에 대한 연소속도, 점화지연시간, 민감도 및 둔감특성을 HTPB 추진제와 비교 고찰하였다. 민감도는 HTPB 추진제와 HTPE 추진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점화지연시간은 HTPE 추진제가 2~3배 크게 나타났고, 둔감성에서는 HTPB 추진제가 EIDS 완속가열시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 반면 HTPE 추진제는 기준에 부합하였다.

  • PDF

GALS 시스템용 전류 모드 다치 논리 회로 기반 저전력 지연무관 데이터 전송 회로 설계 (Design of Low Powered Delay Insensitive Data Transfers based on Current-Mode Multiple Valued Logic)

  • 오명훈;신치훈;하동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23-726
    • /
    • 2005
  • GALS (Globally Asynchronous Locally Synchronous) 시스템 기반의 SoC 설계에 필수적인 DI (Delay Insensitive) 데이터 전송방식 중 기존의 전압 모드 기반 설계 방식은 N 비트 데이터 전송에 물리적으로 2N+1 개의 도선이 필요하다. 이로 인한 전력 소모와 설계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N+1 개의 도선으로 N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류 모드 다치 논리 회로 기반 설계 방식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static 전력의 비중이 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을수록 전력 소모 측면에서 취약하고, 휴지 모드에서도 상당량의 전력을 소비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류 모드 기반 인코더와 디코더 회로를 제안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전류 인코딩 기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전압 모드 및 전류 모드 방식과 delay, 전력 소비 측면에서 비교 데이터를 제시한다.

  • PDF

GALS 시스템에서의 저비용 데이터 전송을 위한 QDI모델 기반 인코더/디코더 회로 설계 (Design of QDI Model Based Encoder/Decoder Circuits for Low Delay-Power Product Data Transfers in GALS Systems)

  • 오명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1호
    • /
    • pp.27-36
    • /
    • 2006
  • 기존의 지연 무관 (Delay-Insensitive(DI)) 데이터 인코딩 방식은 N 비트 데이터 전송에 물리적으로 2N+1 개의 도선이 필요하다. GALS(Globally Asynchronous Locally Synchronous) 시스템과 같은 대규모 칩 설계 시에 많은 도선 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소모와 설계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의사지연 무관 (Quasi D디ay-Insensitive(QDI)) 모델에 기반하고, N+1 개의 도선으로 N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인코더와 디코더 회로를 설계한다. 이 회로들은 전류모드 다치 논리 회로(Current-Mode Multiple Valued Logic(CMMVL))를 사용하여 설계되었으며, 도선수를 줄임으로써 파생되는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0.25 um CMOS 공정에서 기존의 DI 인코딩 방식인 dual-rail 방식 및 1-of-4 방식과 delay-power product ($D{\ast}P$) 값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HSPICE를 통한 모의실험 결과 4 mm 이상의 도선의 길이에서, dual-rail 방식과는 5 MHz의 data rate 이상에서, 1-of-4 방식과는 18 MHz의 data rate 이상에서 제안된 CMML 방식이 유리하였다. 또한, 긴 도선에 버퍼를 장착한 dual-rail 방식, 1-of-4방식과의 비교에서도 개선된 CMMVL 방식이 10 mm 도선, 32 비트 데이터 전송에서 각각 4 MHz, 25 MHz data rate 이상에서 최대 $57.7\%$$17.9\%$$D{\ast}P$ 값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비동기식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의 동작 완료 신호 생성 회로 (A Design Method of a Comple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Memory for Asynchronous System)

  • 서준영;이제훈;조경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0호
    • /
    • pp.105-113
    • /
    • 2004
  • 본 논문은 B-I (delay insensitive) 모델을 사용하는 비동기 프로세서의 메모리 동작 완료 신호 생성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설계 방법은 더미셀과 완료 신호 생성 회로를 이용하여 메모리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의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비트라인과 메모리 셀의 지연을 고려하여 메모리를 지수적 블록 크기로 나누어 최소의 완료 신호 회로를 추가하여 D-I 모델로 동작하는 메모리를 설계하였다. 각 구역의 크기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도록 메모리를 분할하는 제안된 분할 알고리즘은 기존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구역들로 메모리를 분할하는 방법에 비해 약 40% 정도 동작 지연을 개선하였다.

의사 NMOS 형태의 NCL 게이트를 사용한 고속의 비동기 회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synchronous Circuits using Pseudo-NMOS NCL Gates)

  • 김경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회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의사 NMOS (pseudo-NMOS) 구조를 결합한 새로운 지연 무관 방식의 고속 비동기 회로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대표적인 지연 무관 방식의 NCL 비동기 회로 설계는 고신뢰성, 저전력 그리고 반도체 공정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회로를 재사용할 수 있는 용이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NCL 게이트 셀들의 트랜지스터-레벨 구조들은 많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서 회로 지연의 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새로운 NCL 게이트와 비동기 파이프라인(pipeline)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SK-Hynix $0.18{\mu}m$ 공정에서 설계된 $4{\times}4$ 곱셈기를 통해서 적용되었고, 설계된 곱셈기는 모든 경우의 데이터 입력에 대한 전력과 지연이 측정되었고, 기존 NCL 방법과 비교되었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NCL 구조가 기존의 NCL 구조보다 지연에서 85%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DS-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유형별 제공률 분석 및 성능 개선 방법 (Probability Analysi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Scheme of Handoff in DS-CDMA Cellular Systems)

  • 권수근;전형구;조경록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9호
    • /
    • pp.1-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멀티 주파수채널을 사용하는 DS-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두가지 핸드오프(하드핸드오프, 소프트 핸드오프)의 제공률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핸드오프 성능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전송지연에 민감한 서비스에 대해 핸드오프 처리시 전송 에러가 많이 발생하는 하드 핸드오프 제공률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전송지연에 민감한 호의 핸드오프 발생시 소프트 핸드오프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주파수채널을 사용중인 전송지연 허용 호를 기지국내의 다른 주파수채널로 핸드오프 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한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지연에 민감한 호의 소프트 핸드오프를 제공해 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혼합 지연 모델에 기반한 비동기 명령어 캐시 설계 (Design of an Asynchronous Instruction Cache based on a Mixed Delay Model)

  • 전광배;김석만;이제훈;오명훈;조경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4-71
    • /
    • 2010
  • 최근에는 프로세서의 고성능화에 따라 명령어 캐시와 데이타 캐시를 분리하는 구조의 설계가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혼합 지연모델을 갖는 비동기식 명령어 캐쉬구조를 제안하며, 데이타 패스에는 지연무관인 회로모델을 적용하고 메모리 에는 번들지연모델을 도입하였다. 요소기술로는 명령어 캐시는 CPU, 프로그램 메모리와 4-상 핸드쉐이크(hand-shake)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8-K바이트, 4상 연관의 맵핑 구조를 가지며 Pseudo-LRU 엔트리 교체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성능분석을 위하여 제안된 명령어 캐시를 게이트레벨로 합성하고 32비트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연동하는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플랫폼에서 MI벤치마크 프로그램을 테스트하여 99%의 캐시히트율과 레이턴시가 68%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빠른 lock-on time을 위한 선택적 시작점을 갖는 DLL (A Fast lock-on time Delay Locked Loop with selective starting point)

  • 김신호;장일권;곽계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79-82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delay locked loop with selective starting point for use in a high-frequency systems. SSRDLL (selective starting point RDLL) has been simulated in a 0.25$\mu\textrm{m}$ standard n-well CMOS process parameter to realize a fast lock-on time. This DLL is shown to be insensitive to variations in PVTL. The simulated lock time of the proposed SSRDLL is within 4 clock cycles at 333㎒ clock inp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