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onvergence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3초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패션디자인 창의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reative Thinking-Based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Creativity Improvement)

  • 임소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150-16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ashion design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reative thinking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create a creative fashion design in the fashion education field, an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is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creativity. To this end, a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combining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ce thinking was designed, a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fashion design department. Creativ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evaluating students' creative ability and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results. In addition,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learners' opinions on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and the convergence process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reative thinking improves the creative competency of major learners of fashion design and is the learning performance competenc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reativ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 basic study that proposes a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 to fost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fashion design majors, and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IT & 디자인 분야의 융합 교육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Education of IT & Design for Training Creative Talent)

  • 권효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354-1362
    • /
    • 2014
  • In order to solve the complicated problems faced by the spread of diversified information devices and changes in the user environment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raining creative talent as well as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approach have emerged. As a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design sector for training creative talent in the IT field is also urgent.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problems of the convergent approach between IT and design sector by examining the convergence theory and cases with a focus on effective creativity development and sought a new direc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n the convergent approach of college students and analyzing the results. This will be able to have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for discovering creative and innovative convergent talent in the IT and design sector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basic competence.

Island 표면구조의 P(VDF-TrFE) 몰드를 임프린트한 Spike 형태의 고투과성 외부광추출 필름 (Spike type high-transmittance external light extraction film imprinted with P(VDF-TrFE) mold with island surface structure)

  • 성백상;조재혁;임영지;;이현아;이장원;우승완;김동수;이재현;김민회;이종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22-3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후 Island 표면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 Poly(vinylidenefluoride-co-trifluoroethylene) [P(VDF-TrFE)]를 사용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Island 구조의 P(VDF-TrFE) 표면 위에 임프린트한 polydimethylsiloxane (PDMS)는 Spike 구조를 띄고 이를 통해 전류 및 외부양자 효율을 약 20%을 향상시켰다. 제작된 필름은 8.2의 낮은 Haze특성을 보이며, 93.4% 우수한 투과도 특성으로 인해 Pixel blur 없이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환경디자인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Design STEAM Program in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윤희;이명아;한혜련;반자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5-22
    • /
    • 2016
  • Recent changes in the Korean education policies are promoting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ivating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 educational program is Korean styled convergence program for creative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onvergence hand-on educational program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development of the program,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about the climate change, and allocated in the creative learning standard frame. Also, we selected themes related the climat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For more effective program to build the convergence competency, we analyzed the program based on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4 core competency(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caring) elements. In conclusion, the STEAM program needs to develop by school curriculum and leaner's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EAM program consists with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the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would analyze by the creative PBL process and convergence competency elements. So, this developing program has brought the promo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t talented person for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공학분야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융합 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di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 박성미;양황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63-972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variables(collaboration, convergence motive, convergence thinking) on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522 students among engineering colleges in Pusan and Ulsan were sampl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by AMOS 18.0 was applied.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e hypothesized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On the basis of the hypothesized model, collaboration effected to directly convergence motiv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nvergence motive effected to directly convergence thinking, convergence motive effected to directly creative problem solving, convergence thinking effected to directl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on effected to indirectly convergence thinking by convergence mo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ollaboration, convergence motive and convergence thinking are significantly variables to facilitat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knowledge fusion in engineering.

Synthesis of a PEGylated tracer for radioiodination and evaluation of potential in tumor targeting

  • Abhinav Bhise;Sushil K Dwivedi;Kiwoong Lee;Jeong Eun Lim;Subramani Rajkumar;Woonghee Lee;Seong Hwan Cho;Jeongsoo Yoo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9-84
    • /
    • 2021
  • Radiopharmaceuticals are important for tumor diagnosis and therapy. To deliver a radiotracer at the desired target excluding non-targeted tissues is difficult The development of a targeted tracer that has a good clearance profile while maintaining high biostability and biocompatibility is key to optimizing its biodistribution and transport across biological barriers. Improving the hydrophilicity of radiotracers by PEGylation can reduce serum binding, allowing the tracer to circulate without retention and reducing its affinity for non-targeted tissues.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new benzamido tracer (SnBz-PEG36) with the introduction of a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glycol unit (PEG36, ~2,100 Da). The tumor targeting efficiency and biodistribution of [131I]-Bz-PEG36 or radiotracer-loaded liposomes were evaluated after their administration to normal mice or mouse tumor models including CT26 (xenograft) and 4T1 (xenograft and orthotopic). Most of the radiotracer was cleared out rapidly (1-24 h post-administration) through the kidney and there was little tumor uptake.

IT 융합 교육 유무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 분석 (Analysis of Undergraduates' Creative Problem Solving with or without IT Convergence Education)

  • 김성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2-374
    • /
    • 2019
  • 제 4차 산업 혁명을 맞이하고 있는 최근 대학 교육은 전문적인 지식의 전수보다 문제해결력이나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융합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T 융합 교육을 실시한 후와 일반 융합 교육을 실시한 후,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융합 교육보다 IT 융합 교육을 받은 수강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해 대학에서는 각종 강좌에 IT 융합 교육을 연계한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창조경제를 위한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CT Convergence Innovation Cluster for Creative Economy)

  • 임종빈;김예슬;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4
    • /
    • 2014
  • 새 정부의 국정방향인 창조경제는 '창의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ICT가 결합하여 활발하게 창업 또는 기존 산업과 융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 산업 및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장전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혁신 클러스터는 그 정책 목표가 유기적 생태계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것이므로 창조경제 실현의 유효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배경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형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정책 시사점을 얻기 위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조성 측면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유연한 대응, 철저한 사전 기획, 민간과 공공의 균형적 참여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우수인력 집적을 위한 정주여건 확보, 융합을 촉진할 다양한 혁신주체들의 집적과 이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창업 촉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등 창업환경 조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융·복합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 김흥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79-88
    • /
    • 2015
  • 창조경제는 아이디어가 대중화되고 사업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이디어의 사업화는 창조경제를 발전시키는 선순환 도구이며 이를 위한 기업가정신과 창업은 창조경제의 핵심동인으로 작용한다. 창조경제에서는 경제주체들의 창의성이나 지적재산권 등이 소득과 고용창출을 이끄는 비즈니스가 발전하고,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된다.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은 항상 20대의 젊은 청년들로부터 많이 나왔다. 그렇기에 젊은 시절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 그리고 쉽게 창업할 수 있는 풍토는 좀 더 많은 우수한 인재들을 창업의 길로 이끌고 바로 그들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제품과 서비스는 국가 경제를 한층 젊고 활기차게 만든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 구축과 함께 창조경제 생태계를 완성시키는 교육과정 개발 역시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그 중 창조경제시대에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창업교육 교육과정의 개발은 최우선 순위인 것이다. 융 복합 창업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임을 고려해 본 연구는 기초통계연구를 통해 프로세스 중심의 융 복합 창업교육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한다.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융합 전략방안 (A Study of Smart Convergence Strategies for Enhancing a Creative Economy: Lessons from Korea)

  • 김용범;곽정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7-79
    • /
    • 2014
  • 최근 한국에서는 기존의 경제구조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성장 동인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의 도입이 핵심정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3년 6월에는 창조경제의 제도적 실행을 위한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창조경제의 개념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과 산업이 융합되면서, 과거 산업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를 창출하는 신 개념의 산업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요소로 ICT 기술과 다양한 산업이 융합되는 스마트융합(smart convergence)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 융합'의 정의를 기초로 미래 스마트 융합시대가 가져올 경제적 효과 및 사회문화의 변화를 예측하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심층면접, 솔로우모형(Solow Model)을 활용한 계량분석을 수행하였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수요 및 공급기반을 고려한 스마트융합, 선택적 집중을 통한 스마트융합, 스마트워크 등 법제도적인 사전정비의 중요성을 정책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이론 정립 위주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정책적 실행가능성을 고려한 정량적 연구라는 차별성을 지닌다. 이러한 한국의 선행경험은 새로운 성장동인 및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창조경제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하는 다른 국가들에게 중요한 교훈(lessons)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