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Based Education

검색결과 987건 처리시간 0.025초

Myers Briggs Type Indicator(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지역사회 방문간호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의 효과검증 (Effectiveness of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for Community Visit Nursing according to Myers 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s)

  • 장현정;박정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7-58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S-PBL) for community visit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yers Briggs Type Indicator (MBTI) personality types for learner-focused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ubjects having the ST (Sensing-Thinking) and NF (iNtuition-Feeling) personality types, which are conflicting personality types, and forty-one subjec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teen subjects to the control group. The training, provided to subjects once a week, for a total of six times and 100 minutes each time, was with respect to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After training, the self-rated problem-solving competency (t=3.07, p=.003), communication ability (t=2.86, p=.006), and academic self-efficacy (t=2.44, p=.018)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practice ability rated by subjects themselves (t=1.50, p=.140) and by professors (t=1.08, p=.285), and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rated by professors (t=0.72, p=.474). Conclusion: The community visit nursing S-PBL,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is a helpful learn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theory and practice.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의사소통교육을 위한 지능형 적응 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for Communication Education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 구진희;김경애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25-31
    • /
    • 2017
  • As the world enter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represented by advanced technology, it not only changes the industrial field but also the education field. In recent years, Smart Learning has enriched learning by using diverse forms and technologies that utilize vast amount of information about learners' individual knowledge through the emergence of realistic and intelligent contents that combine high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virtual reality and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which can customize individual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method through recent smart education environment, beyond traditional writing-based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he competency of instruct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arious learner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mmunication course and constructed a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based on the instructor's intended smart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of highly personal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digital method in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 및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 (Training Needs Analysis for the Roles and Competency of Field Representatives in Electric Work)

  • 윤현우;윤관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42-162
    • /
    • 2015
  • 본 연구는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 및 역량을 도출하고, 현업에 있는 현장대리인의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여 향후 국내기업에서 현장대리인이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 분석, (2)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량 분석, (3)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분석의 3단계로 연구절차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기공사 현장대리인 전문가 10명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장대리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은 현장대리인의 종요도와 현재 수준 간의 차이를 t 검정으로 분석하고, 역량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차이를 Borich 공식을 활용하여 도출하였으며,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역량 중요도가 높고 불일치수준이 높은 역량을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할은 현장조사자, 서류작성자, 대관업무자 등 13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전기공사 현장대리인의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협력적 태도 등 총 16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현장대리인의 중요도 인식순위는 의사결정력, 의사소통능력, 실천력, 시간관리능력, 분석적사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16개의 역량에 대한 현재수준과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순위로 요구되는 역량은 '의사소통능력'이었고, '실천력', '갈등관리능력', '분석적사고', '시간관리능력' 순이었다. 또한,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결과 제 1사분면(HH)에 포함된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분석적사고', '의사결정력', '전문성', '시간관리능력', '실천력', '업무추진력'으로 7개 역량에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우선 순위군은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의사소통능력', '분석적사고', '시간관리능력', '실천력', '업무추진력' 5개 항목이었고, '의사결정력', '전문성', '갈등관리능력', '부하육성' 4개 항목은 차순위 군으로 분석되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국 고등 교육의 핵심 역량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of Chinese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장연연;김영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57-365
    • /
    • 2018
  • 21세기 들어 창조경제 시대의 도래가 전망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지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비단 학교 교육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평생교육의 목적으로 사회 모든 교육의 장소에서 촉진되고 지원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공식 및 비공식 학습의 가능성과 고등 교육 내 역량 개발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다. 집중 그룹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적이고 질적 연구는 공식 및 비공식 학습 설정의 여러 그룹을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중국에서 경우 또한 창조경제 구현이 새 정부의 주요 국정 방향으로 설정되면서 창조경제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가 주요 정책 과제가 되고 있다. 핵심 역량의 개발은 인지적 비인지적 처분에 기반을 두고 다중 문맥을 요구하는 것이다. 새로운 학습 문화의 목적으로 고등 교육 내에서 공식 및 비공식 학습 환경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을 제공하고 역량 개발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식 및 비공식 학습 설정의 측면을 식별할 수 있지만, 이들 간의 상호 의존성은 아직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실용적 함의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즉, 결과를 토대로, 고등 교육 환경에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는 역량 습득의 주요 측면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결과, 본 연구는 고등 교육 내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한 공식 및 비공식 학습 환경에 대한 함의를 분석하였다.

Nursing Philosophy: Foucault and Cultural Diversity Issues in the Nursing Field

  • Koh, Chin-Ka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8-212
    • /
    • 2007
  • Cultural diversity is a highly important issue in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practice today. This study is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a health care provider and a care recipien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and ethnic minority patients based on the discussions of some Foucauldian concepts that a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cultural competency in nursing practice.

호흡기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시나리오 학습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repiratory pati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clinical skil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 조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00-2108
    • /
    • 2015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보건계열 학생에게 적용한 후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연구로서 J시에 소재한 D대학 보건계열 3학년 학생 5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군 25명에게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진행하였고 대조군 25명에게는 전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3년 11월부터 180분간 주 1회씩 총 2회의 교육과 1회의 평가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기존의 시뮬레이션 교육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보건계열 학생들의 전문직 역량 강화를 위해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개념지도를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using Concept Mapp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of Nursing Students)

  • 정여원;민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7-28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using concept mapp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on colleg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team-based learning using concept mapping.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team-based learning. A total of 7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critical thinking,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or meta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ur essential themes extracted were as follows: (1) Expanding the scope of thinking; (2) Strengthening learning competency; (3)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 and (4) Burden of new learning method.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m-based learning using concept maps may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요소와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연구 (Relations of Key Competencie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양지선;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과 가정과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과 관련한 2개 연구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와 2개 학회(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서 출간된 26편의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을 OECD의 역량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살펴본 결과 각 나라별로 종류나 범주를 달리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교과영역은 개별 교과를 통해서 지적 역량이나 학습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인성이나 역량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간학문적, 통합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되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가정과 사회의 항구적인 문제를 자율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가정과 교육을 통해 추구되어야할 인간상과 관련한 부분이 적절히 반영되어 있다고 어렵다. 셋째, 성취기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이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교과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역량, 목표, 내용체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일관된 진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넷째, 교수 학습과정에 있어서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전략 등을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관련된 학습영역을 통합하거나 학문 이외의 다른 요소들을 교육과정을 위한 설계의 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A Recognition Study of how Child Care Teachers Implicat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임경애;최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5-232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childcare teachers understand and implicate the standards of national competency by searching for and analyzing the awareness of it. Methods: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64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The screening too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tent provided in the child care field of the NCS, an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 Results: Recogni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NCS was very low. The activity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e category of capability proposed by the N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ork experience. The degree of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e category of capability proposed by the N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ork experi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y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degree of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e category of capability proposed by the N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the NCS to be constantly supplemented and ensure that the capability to perform practical functions is fulfilled in daycare centers.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n Professional Intuition through Cultural Competency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 손태복;김기웅;김하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1-73
    • /
    • 2020
  •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ultural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o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focus on the cultural competencies of aviation service college students, who are rarely address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to see how cultural competenc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we divid them into six sub facto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cognitive openness/flexibility, emotional control, patience with uncertainty,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And the 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cultural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are analyz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ultural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apply to the education of aviation service-related departments, it will be a basic data to promote students' adaptation to the department and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nd to train global professional service personnel who can improve their post-employment work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