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 of Key Competencie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요소와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연구

  • Yang, Ji S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
  • Yoo, Tae m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 양지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
  • 유태명 (경상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7.21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omponents of key competencies and its relations with Home Economics curriculum though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literature total of 26 relating to key competencies is collected from two research institutes(KICE, KEDI) and two academic Journals(KSCS, KHEEA). The results show, first, every countries suggested different categories and components of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DeSeCo report(OECD, 2005). In subject matter, intellectual and learning capacities are emphasized; where as in inter-disciplinary or trans-disciplinary areas promoting character and competencies are focused. Second, ideal portraits of human being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is not closely related with those in a national curriculum. Third,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stated aligned with competencies, goals and curriculum contents, standards. Final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design framework that teaching learning process incorporates knowledge, skills, and strategies relating other subject areas.

본 연구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과 가정과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과 관련한 2개 연구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와 2개 학회(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서 출간된 26편의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을 OECD의 역량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살펴본 결과 각 나라별로 종류나 범주를 달리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교과영역은 개별 교과를 통해서 지적 역량이나 학습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인성이나 역량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간학문적, 통합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되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가정과 사회의 항구적인 문제를 자율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가정과 교육을 통해 추구되어야할 인간상과 관련한 부분이 적절히 반영되어 있다고 어렵다. 셋째, 성취기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이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교과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역량, 목표, 내용체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일관된 진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넷째, 교수 학습과정에 있어서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전략 등을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관련된 학습영역을 통합하거나 학문 이외의 다른 요소들을 교육과정을 위한 설계의 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