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Stress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2초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및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Self-Resilience, Optimism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구상미;김연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09-118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D광역시에서 일하고 있는 보육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자아탄련성, 낙관성 및 직무스트레스를 검사도구를 통해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분석, t-test,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쨰, 자아탄력성과 낙관성은 정적 상관관계,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 낙관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를 낮추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Child Abuse)

  • 강영욱;채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5-32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인성교육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인간애, 창의·인성, 사회관계, 그리고 직무수행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 학부모와의 관계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과 아동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해 보육교사 인성과 관련된 직무수행 능력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의 부담을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ppiness on Parental Stress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Level)

  • 홍성희;탁정화;강현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3-91
    • /
    • 2014
  •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 가정의 조화로운 양립과 직장어린이집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 206명을 대상으로 7개 영역 35문항으로 구성된 행복감 검사도구와 2개 영역 20문항으로 구성된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 및 5개 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된 이용만족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과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양육스트레스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행복감과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은 행복성, 가족의 화목 순으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행복감은 행복성, 대인관계 순으로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지원을 위한 지원 방향이 물질적 구조적 접근뿐만 아니라 부모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정의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가치가 이상적인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육아지원기관 충분성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Value of Children on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 이뿐새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33-144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value of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deal number of children and to verify whether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moderates this mediation relationship.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6th year results (2013)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11 mothers with children aged 60 - 66 months. Result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nfluencing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through the value of children. Second, the enhanc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moderating the value of children and ideal number of children was verified. Third,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had enforcing effects moderating the value of children and ideal number of children and mediation effects moderating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ideal number of children through the value of childre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of national public childcare facilities is a factor strengthening the maternal intention of birth.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cond Childbirth Plans for Employed Mothers with An Infant of 10 Months or Younger)

  • 박찬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11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hways of factors affecting 173 employed mothers' second childbirth plans. Participants were all employed working mothers with an infant under 10 months old. The hypothetical model used in this research proposed that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ill directly affect second childbirth plans. Additionally,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value of childre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ill indirectly influence second childbirth plans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were the factors which directly affected second childbirth plans of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directly influenced second childbirth plans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workplace childcare support and the need for enhancing the value of children. This research further suggests the need for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creasing parenting stress for working mothers who are contemplating second childbirth plans.

의료서비스조직 여성근로자의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le Conflict, Childcare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emale Workers at Hospital Settings)

  • 조희정;지재훈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5-14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ole conflict, childcare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emale workers at hospital settings, and thu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productivity and quality of working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195 female employe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Busan Metropolitan Area by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mong study variables, role conflict(-) and direct-positive stress coping typ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results imply that role conflict, and stress coping type are crucial for managing desirable job attitude of female employees. Therefore,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nsultation programme for diminishing role conflict and adopting appropriate stress coping type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Practice Satisfaction)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30-53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이 지각한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이 보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과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다면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에서는 보육실습 스트레스 내용과 실습환경이,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은 유아와의 갈등과 자신과의 갈등이, 보육실습 만족도에서는 실습교과 및 실습지도와 실습환경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보육실습 만족도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의 하위요인이 보육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전공 학생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을 덜 경험하도록 하는 철저한 실습전 교육 및 현장 직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보육실습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효과적인 방안 모색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김정미;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1-33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자료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의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보육교사의 질병관련 지식,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Job Stress and Self-Esteem on Teacher Efficacy for Childcare Teacher)

  • 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325-8335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병관련 지식,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의 보육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4년 5월 23일에서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21.0 프로그램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평균점수는 $78.80{\pm}8.28$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순상관관계(r=.493, p<.001), 직무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r=-.24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병관련 지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 직위에 의해 30.0%가 설명되었다. 따라서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전략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취업모의 직무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배우자 양육참여의 관계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

  • 금지헌;김동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141-150
    • /
    • 201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2011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431 working mother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frequency, ratio,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obtained using SPSS 21.0. Exploratory factor, variables correl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he structural analysis using AMOS 20.0 i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perform a path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a working mother as the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nd the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a working mother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other.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marital satisfaction has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nd the parenting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working mother. Third, parenting stress does not affect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