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appiness on Parental Stress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Level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홍성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 탁정화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 강현미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Received : 2013.12.15
  • Accepted : 2014.04.21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happiness of parent us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on their parental stress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level. It's basically mean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6 parents who were us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and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of the parent users of th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were both at a higher level, and their parental stress was slightly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and parental stress of the parents who used th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and happ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level. Third, as for the impact of the happiness of the parent users of th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parental stress was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happiness, followed by family harmony. happiness had the greatest impact on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level,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supportive direction for parenting needs to focus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promoting parents' happiness as well as focusing on the material and structural dimension.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 가정의 조화로운 양립과 직장어린이집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 206명을 대상으로 7개 영역 35문항으로 구성된 행복감 검사도구와 2개 영역 20문항으로 구성된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 및 5개 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된 이용만족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과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양육스트레스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행복감과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은 행복성, 가족의 화목 순으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행복감은 행복성, 대인관계 순으로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지원을 위한 지원 방향이 물질적 구조적 접근뿐만 아니라 부모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정의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예진(2011).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3. 권민아(2002). 보육시설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근로복지공단(2012). 직장보육 세미나 및 우수 보육프로그램. 서울: 근로복지공단.
  5. 근로복지공단(2013). 2013년 직장보육국제 세미나: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을 위한 직장보육 정책의 발전 비전. 서울: 근로복지공단
  6. 김교성, 김경희(2003). 직장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 이용하는 여성근로자의 보육의 질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및 격리불안정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3, 1-22.
  7. 김기현(2000).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지, 9(1), 71-84.
  8.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9. 김기현, 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10.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관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11. 김리진, 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12. 김명소(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2(2), 1-33.
  13. 김명소, 한영석(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조사연구, 7(2), 1-38.
  14. 김미정, 최혜진(2011). 직장보육시설 대학위탁 현황 및 위탁운영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11-434.
  15. 김미정, 하지민(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상관계와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283-303.
  16. 김민정, 김정원(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28.
  17. 김순진(2013). 어머니 변인이 자녀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유미, 김정원(2011).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85-302.
  19. 김주리(2013).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8-298.
  21. 김혜란(2005). 여성근로자의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만족과 효과성 평가: 경기지역 여성근로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43, 179-199.
  22. 김혜순(2007).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2(1), 87-109.
  23.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24.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2009).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복지학, 14(4), 137-153.
  25. 박소형(2007). 직장보육시설 설립주체 유형에 따른 유아부모의 만족도 및 보육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영신, 김의철(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27. 박찬옥, 조현정(2006). 부모와 교사가 인식한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44, 1-18.
  28. 서문희, 김은설, 최진, 안재진, 최혜선, 김유경, 조애저(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9. 서은희, 이미숙(2011). 부모의 직장보육시설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41-65.
  30. 송경섭(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송다영, 장수정, 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내 지워놔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32. 송미숙(2013).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 행복감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34. 심영숙(1998).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돌보기에 대한 교육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오재연, 유구종(2007).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73-94.
  37. 이윤미, 박선영(2010).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부모 관계의 특질. 유아교육학회지, 14(1), 69-91.
  38. 이은희(2012). 어머니의 행복감과 아동의 안녕감 및 낙관성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은옥, 최나야(2013).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1), 103-126.
  40. 정계숙, 김미정, 하은실(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41. 정계숙, 박수홍, 유미숙, 최은실(2013).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영향 변인: 자녀의 연령, 자녀수 및 어머니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아동학회지, 34(4), 105-123. https://doi.org/10.5723/KJCS.2013.34.4.105
  42. 정은선(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정현정, 문혁준(201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21-42.
  44. 최윤정(2010). 대졸 기혼직장 여성의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완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한경혜, 장미나(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가족 균형과 관련 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85-115.
  46. 한명숙(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자아분화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57-76.
  47. 한영주, 박지아, 손난희(2013). 기혼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의 관계: 대처방식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2), 1443-1468.
  48. 한은애(2013).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홍성희, 임소영, 김미정(2012).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생태유아교육연구, 11(1), 123-147.
  50.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211-240.
  51.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63-184.
  52. Barbara, A., & Karol, R. (1988). The employer's guide to child care : Developing programs for working parents. NY: Praeger.
  53. Bruck, C. S., Allen, T. D., & Spector, P. E. (2002).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finger-grained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3), 336-353. https://doi.org/10.1006/jvbe.2001.1836
  54.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55. Diener, E., & Suh, E. M.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The MIT Press.
  56. Elmuti, D., & Payne, S. L. (1991). Ar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programs worth the effort?. Business Forum, 16(2), 22.
  57.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58. Hoggard, L. (2006). 행복. [How to be happy].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본발간일은 2005년).
  5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ger.
  60.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1.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How to happier].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본발간일은 2008년).
  62.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63. Powell, G. N., & Greenhaus, J. (2006). Is the opposite of positive negative? Untangl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enrichment and conflict. The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1, 650-659. https://doi.org/10.1108/13620430610713508
  64. Russell, J. E. A. (2008).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117-131. https://doi.org/10.1177/1069072707308142
  65. Seligman, M. E. P.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Authentic happiness]. (김인자 역).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원본발간일은 2004년).
  66.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67. Thompson, R. A. (1998). Early socail-personality development. In W. Damon & N. Eisenberg(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5th ed), Vol.3. NY : John Wiley & Sons, Inc.'1.

Cited by

  1.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Flourishing in Child Care Teachers vol.37, pp.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4.169
  2.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85
  3.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eeling of happiness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perceived: Q-methodological approach vol.11, pp.3, 2014, https://doi.org/10.16978/ecec.2016.11.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