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2.315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Child Abuse  

Kang, Young-Wook (서울한영대학교 유아특수재활학과)
Chae, Shin-Young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and child abuse, and provides basic data on personality education and coping strategies for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326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Incheon, Korea.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Z-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ith using SPSS 20.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job performance, a sub-factor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had an effect on child abu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humanity, creativity and personality, social relations, and job performance had an effect on job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childcare activities,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an effect on child abuse. Fourth, it was found that childcare activities, sub-factors of job stre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job performance and child abuse, a sub-factor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and contain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s, specific plan must be actively prepared to improve job performance skill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and reduce the burden of child care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tress.
Keywords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Child Abuse; Job 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보건복지부, 아동보호전문기관, 2018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2019.
2 오삼광, "아동학대 현황과 대응방안," 젠더리뷰, 제58권, pp.52-60, 2020.
3 보건복지부, 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18.
4 정선아, 장화정, 김경희, 김미경, 박보영, "어린이집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연구," 아동과 권리, 제22권, 제3호, pp.351-382, 2018.
5 유성연,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와 자아개념의 아동학대경향에 대한 관계,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한진원,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치원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태도,"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237-261, 2017.
7 이명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대응방안," 아동보호연구, 제2권, 제1호, pp.99-120, 2017.
8 이용주, 조숙영,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인성, 아동학대 예방행동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12호, pp.235-243, 2019.   DOI
9 김경호, 차은진,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4호, pp.231-262, 2012.   DOI
10 문영희, "아동학대와 영유아발달," 아동보호연구, 제4권, 제1호, pp.1-31, 2019.
11 이근주, 영아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자율 장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 C. S. Tucker, Home-career conflict in dual-career women: an 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 of role conflict,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factor, 1986.
13 K. Walsh, R. Schweitzer, and R. Bridgestock, Critical Factors in Teachers' Detecting and Reporting Child Abuse and Neglect: Implications for Practice. Brisbane,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05.
14 유비, 최진영, 김기현, 김경희, "아동학대행위자의 양육행동 영향요인연구: 아동기 학대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64호, pp.107-143, 2018.
15 김경민, 이현진,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기 학대경험 및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과의 관계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제10호, 제2권, pp.183-203, 2018.
16 최미곤,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김해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7 김수현, 이경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보육효능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9권, 제3호, pp.105-124, 2018.
18 강은주,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소한 비행청소년의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애착관계와 우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9 박혜영, 유아교사의 인성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0 한진원,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치원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 태도,"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237-261, 2017.
21 이세원, "한국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입법적사법적 관점에서의 변화과정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pp.217-246, 2018.   DOI
22 김희영, 윤현석,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7권, 제4호, pp.547-566, 2016.
23 신용숙, 문영희,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신고 및 예방인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보호연구, 제3권, 제2호, pp.55-87, 2018.
24 이종각,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조직 몰입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5 이경민, 최윤정, 박정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2권, 제2호, pp.73-96, 2013.
26 김영은, 이희선,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pp.49-72, 2016.
27 C. Kyriacou, "Teacher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Vol.53, pp.27-35, 2001.   DOI
28 이경숙, 박진아, 최명희,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1권, 제4호, pp.227-252, 2015.
29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29-149, 2015.
30 전재선, 최종욱, "유아교사의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49-174, 2012.
31 전재선,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보육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05-327, 2013.
32 이미자, 강은주, "보육교사의 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9권, 제11호, pp.67-87, 2019.
33 김애련, 유아교육기관 원장을 통해서 본 유아교사 자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34 이민태, "초등학교교사의 인성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公州敎大論叢, 제4권, 1967.
35 김용성, 교사의 인성특성이 아동 인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5.
36 조경자, 특수 유아교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국내석사논문, 1995.
37 계영애, 강정원,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5권, 제1호, pp.55-75, 2001.
38 김근혜, "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행복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제109호, pp.1-19, 2018.
39 권성민, 권화숙, "유아교사의 아동학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인성, 교사전문성,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pp.219-241, 2020.
40 박선미, 장용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공공정책연구, 제36권, 제2호, pp.253-269, 2019.
41 김은경, 곽경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8권, 제4호, pp.271-292, 2019.
42 구민주, 신여울, 박다은,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9권, 제5호, pp.81-92, 2018.   DOI
43 김정희, 조숙영, "영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멜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8호, pp.11-23, 2019.
44 윤선영,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를 중심으로,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45 이진영,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아동학대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6 김영미, 보육교사의 아동기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7 전재선,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8 R. V. D'Arienzo, J. C. Moracco, and R. J. Krajewski,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2.
49 김정자.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0 E. H. Clark,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1980.
51 김영은,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2 L. J. Stone and J. Church, Childhood and Adolescence: A Psychology of Growing Person, 2nd ed., rev., N.Y.: Random House, Inc. pp.348-350, 1968.
53 S. H. Leeper, D. S. Skipper, and R. L. Witherspoon, Good Schools for Young Children, 4th ed., rev. N.Y.: Macmillan Publishing Co., pp.83-85, p.119, p.139, 1979.
54 C. Seefeldt, A Curriculum for Preschools, 2nd ed. Columbus: Charles E. Merrill Publisching Company, p.62, 1980.
55 이영림, 유아교사가 지각한 인성 덕목 실천을 위한 법구경 탐색,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6 염은하,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57 서현, 임지윤, 박미자,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의 의식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7호, pp.41-71, 2013.
58 이혜진, 이수경, "유아교사의 인성, 행복감, 공감능력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4권, 제1호, pp.7-42, 2020.
59 정은희, 유치원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과의 구조적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0 김숙미, 구광현, 김보현, "영유아교사의 인성, 그릿,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91-104, 2020.
61 C. Kyriacou and J. Sutcliffe, "Teacher stress: prevalence, source and symptom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pp.2-13, 1978.
62 J. C. Moracco and O. Mcfadden, "The counselor's role in reducing teacher stress,"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Vol.60, No.9, pp.549-552, 1982.   DOI
63 도명애, 유현숙,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2호, pp.261-289, 2011.
64 김성원, 구본명,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41-55, 2020.
65 신혜영,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66 양안숙,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정책분석," 평가학회보, 제18권, 제4호, pp.455-477, 2008.
67 R. N.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doi:10.1037//0022-3514.51.6.1173   DOI
68 장성예, 이주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5, 2018.   DOI
69 김리진, 홍연애,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제7권, 제2호, pp.263-282, 2013.
70 서의석, 김미숙,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124권, pp.93-116, 2020.
71 홍인실, 전정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pp.189-205. 2020.   DOI
72 조형숙, 정우영, 길민영.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연구동향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22권, 제6호, pp.121-146, 2018.
73 김영미, 강지연, "보육교사가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제51호, pp.133-161, 2015.
74 정영실,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75 이기영,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76 Davaa Munkhzaya,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온석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77 법제처, 아동복지법, 제3조(정의) 제7호, 제17조(금지행위), 법률 제17206, 2020. 4. 7., 일부개정 기준.
78 朝鮮通信社, 兒童虐待防止法案: 朝鮮父母の警醒すべき事, 朝鮮通信, 제1331호, pp.124, 1930.
79 府邑面雜誌社, 法令通牒, 府邑面雜誌, 제3권, 제5호, pp.51-52, 1933.
80 朝鮮社會事業協會, 兒童虐待防止法. 朝鮮社會事業, 제11권, 제10호, pp.78-79.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