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velopment Ability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개발 (A Development of Career Aptitude Scale for Design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 길임주;양성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83-292
    • /
    • 2006
  • 본 연구는 디자인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이나 디자인내의 세분화된 진로선택을 하는데 갈등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하여 '디자인 진로적성검사'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세분화된 전공 및 진로분야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디자인 진로적성의 하위영역을 '직업공통기초능력', '디자인 기초능력', '디자인 전공심화능력'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문헌 및 자료연구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직업공통기초능력'과 '디자인 기초능력'에 관하여 각 능력에 해당하는 세부요소와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였다. 그 분류를 기반으로 문항시안 개발에 착수하였고, 개발된 문항은 연구의 단계별로 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하여 3차에 걸쳐 타당성을 검증하고 기초조사가 진행되었다.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개발을 위하여 구성된 예비척도(직업 공통기초능력 40문항, 디자인 기초능력 53문항)를 대도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디자인 전공계열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직업공통기초능력은 네 개의 요인(대인관계능력, 목표 추진력, 문제해결력, 자기개발능력)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기초능력 문항은 다섯 개의 요인(디자인기초 소양, 컴퓨터 활용력, 재질감, 조형력, 색채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결과는 직업수행을 위한 디자인 진로적성으로써 매우 정교하고 현실감 있는 합당한 요인구조를 반영해주고 있다. 본 척도의 타당성에 대해 관련 타척도 및 준거집단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나아가서 디자인전공심화능력에 대한 척도를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전공결정과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본다.

  • PDF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계발능력의 구성요소 (The Constituents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 정수진;김대영;김기수;김판욱;노태천;류창열;최완식;최유현;강현무;구진희;노희진;이진우;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7-33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개발능력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개발능력이란 공학 분야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생애에 걸쳐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며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진로개발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진로 관련 문헌과 직업기초능력 및 공학기초능력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진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검토 및 수정 작업을 거쳐 진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개발능력은 크게 학생들의 진로개발 과정과 공학세계에서 진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되었다. 그 결과 공학인의 진로개발능력에 속하는 구성요소에는 8개의 영역과 42개의 하위요소들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Perception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Park, Soo-Auk;Cho, Young-Si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7
    • /
    • 2021
  • Background: Career success is the psychological achievement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s work.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is the behavior of managing individual careers in order to achieve individual career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areer success of dental hygienists as perceiv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Methods: Nationwide convenience sampl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obtained; 354 people were surveyed online, and the data of 350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perception of career success of dental hygienists was assessed using a multiple response method. T-test, ANOVA,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career succ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Career success was recogniz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as "income", "work proficiency", "patient consultation", "self-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superiors" in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0.05). Higher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common in those higher in age, in married participants, i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those with a higher career, better position, and more job change experience (p<0.05). Among the variables of career success perceiv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 profici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p<0.05). "Work proficiency" and "recognition by superiors" were significant in "protean technological development behavior," and they also influenced actual behavior (p<0.05).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ists' career success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clarified. Dental hygienists performed career management behaviors to develop work ability and skill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long-term employment was confirmed.

임상실습이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n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 김정현;김낙상;양한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93-499
    • /
    • 2017
  • 임상실습 교육과정이 자기학습 발전능력 정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수도권에 소재한 방사선학과 3, 4학년생을 대상으로 121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전체 평균은 $3.07{\pm}0.85$로 5점 척도의 기준으로 할 때,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제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대한 결과는 전체 평균은 $3.07{\pm}0.85$로 보통 이상의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으로 학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학과 선택 동기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결과는 학과의 취업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입학한 학생군($3.58{\pm}0.85$)이 높은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적성에 적합하여 입학한 학생군($2.30{\pm}0.40$)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진로선택 방향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전체 평균은 $3.08{\pm}0.76$로 보통 이상의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으로 진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시 자기학습 능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통계적 유의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은 문제점과 다양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Educ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

  • 송기정;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5-284
    • /
    • 2018
  •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의 자녀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며,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인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진로교육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알맞은 진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 실험반이 '진로에 대한 의견 및 태도', '정보탐색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 '직업에 대한 지식' 전 영역에서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연구 결과 비주얼 씽킹과 SNS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진로 인식을 고취하고 진로 탐색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을 위한 제로에너지 주택디자인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STEAM Program Development of Zero Energy House Desig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윤희;이명아;한혜련;이재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4-32
    • /
    • 2017
  • STEAM educ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develop self-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reative thinking. In order to revitalize STEAM education, various program models are being developed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oject-based learing method that includes the process of solving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STEAM element was extracted by linking the zero energy house design with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STEAM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considering career activities. It was analyzed whether the developed program can improve STEAM core competence and job preparation ability.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questionnair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TEAM competency,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and it was able to enhance the ac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career experience could be provided through career exploration programs and various activities. Through this STEAM education program,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ith convergence knowledge and core competency.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Conceptions Toward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View between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and Norm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이재호;최승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13-628
    • /
    • 2014
  • 초등정보과학영재학급의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진로발달과 직업관을 비교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 설정 및 지도에 있어 기초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 82명과 일반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진로발달과 직업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에 대한 의식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과학기술자를, 일반학생은 예술인을 희망하는 선택을 가장 많이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진로에 관한 정보를 부모에게서 얻으며 교사와 상담하는 학생은 매우 드물었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학생들의 꿈을 변화시키는 데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으며, 일반학생은 정보과학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둘째, 진로발달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진로발달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직업관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직업관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진로발달과 직업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진로발달과 직업관은 모든 영역에서 양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발달이 높을수록 확실한 직업관을 가지며, 반대로 확실한 직업관을 가졌다면 진로발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첫째,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 관련 학부모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에게 정보과학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정보과학에 대하여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정보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하여 피상적인 진로교육이 아닌 영재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미래의 직업인으로서 어떻게 공부하고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안내할 수 있는 진로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를 위해 교사들이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관련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진로와 직업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야할 것이다.

공과대학 여대생을 위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Career Development Center Program for Femal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 김지심;문남미;김경아;김혜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59-266
    • /
    • 2017
  • 본 연구는 공과대학 여대생의 진로 및 취업 준비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프로그램의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0개의 4년제 대학교에서 167명의 공과대학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표적 연구결과로 첫째, 목표를 설정한 여대생은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효능감은 평균 수준이었으며, 전공흥미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진출하기 희망하는 정도는 평균 수준을 보였다. 두 번째로 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능력이자 부족한 능력으로는 전공활용능력을 꼽았다. 세 번째, 진로 및 취업을 위한 학교의 지원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2.81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면접준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참여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맞춤형 직장 체험 프로그램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의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SEM(구조방정식모델)의 탐색적 연구를 이용한 근로경력 인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for Recognition of Working-Career on Use to Heuristic of SEM)

  • 박재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5-285
    • /
    • 2008
  •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does not recognised degree of working-career in labor market and an industrial field situation. National qualification is supply to nurture expert manpower and accomplish of self-development and a duty accomplishment ability improvement at a side of personal. So,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that a method for recognition of working-career o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study is designed to questionnaire with BSC(Balaced ScoreCard), SEM(Structure Equation Model) with the delphi method, and is analysed using the AMOS 7.0 program package. Finally, This study is suggested growing to qualification standard for an examination a degree of master craftsman only under the chang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atization as a standard to operation and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