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계발능력의 구성요소

The Constituents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 투고 : 2006.10.30
  • 심사 : 2006.12.20
  • 발행 : 2006.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개발능력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개발능력이란 공학 분야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생애에 걸쳐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며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진로개발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진로 관련 문헌과 직업기초능력 및 공학기초능력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진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검토 및 수정 작업을 거쳐 진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개발능력은 크게 학생들의 진로개발 과정과 공학세계에서 진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되었다. 그 결과 공학인의 진로개발능력에 속하는 구성요소에는 8개의 영역과 42개의 하위요소들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constituent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re for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eans that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should initiatively choose, prepare and adapt themselves for their future career in their lifetime. This study examined all the career-related references that are determined to be linked with the competencies of career development. Also, other referen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at are related to the career key competencies and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this study was approached with two points of views;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for students and the ability to maintain and develop the future career in an engineering field. Ultimately, this study derived the conclusion that there are 8 categories and 42 subordinate constituents i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

참고문헌

  1. 김미희(2002). 대학생의 진로계획과 진로신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 김정한, 황혜자, 설기문, 박영태, 최은영(1994). 대학생의 진로설계 및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학생연구 제22호 39-104.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 김충기(1987). 직업 교육과 진로교육. 교육과학사
  4. 류창열(2005). 기술교육원론. 충남대학교출판부
  5. 문대영, 류창열(1998). 21세기 사회에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 제21권 제1호
  6. 송선희, 조성연(2001). 대학에서 직장으로의 이행과정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4(0), 259-274
  7. 오성환, 권오상, 김금수(2003). 글로벌 시대의 개인경쟁력을 위한 직장예절. 형설출판사
  8. 이무근 외(1997).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교육부
  9. 이지연, 윤형한, 김나라(2005).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이재창(1991). 대학생의 진로지도. 학생생활연구. 건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2호
  11. 이재창(1992).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활용. 대학생활 연구.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10호
  12. 임언(2004). 생애진로개발 지원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장석민, 김애송(1985). 진로교육에 관한 문헌분석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4. 장석민 외(2001).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정철영(1998). 농학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농학계 대학생에 대한 진로교육 및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0(4), 1-24
  16. 정철영 외(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정철영 외(2000).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 직업교육연구, 19(2), 1-22
  18. 정철영 외(2005). CDP-C 직업궁합: 대학생을 위한 직업지도프로그램[학생용 Workbook].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19. 최동선(2003). 청소년 진로개발을 위한 정책 방향성 탐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 하진의(2003). 대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백록논총 5(2), 229-251.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21. 한국교육개발원(1984). 진로교육에 관한 문헌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한국진로교육학회(199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3. Carnevale, A. P., Gainer, L. J. & Meltzer, A. S. (1990).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4. Collin, Audrey. Young, Richard A. (2000). The future of care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Boggs, K. R. (1980). Career dscision making. In W. H. Morrill, et al(Eds)., Dimensions of intervention for student development(pp. 302-314). NY: John Wiley & Sons
  26. Broun, D., Brooks, L. & associates. (1996).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Publishers
  27. Brolin, D. E. (1997). Life Centered Career Education.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8. Haworth, D., & Browne, G. (1992). Key competencies (2nd ed.). ST. Leonards, Australia: New South Wales TAFE Commiss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51 443)
  29. Herr, E. L. & Cramer, S. H. (1979).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 Span. Little, Brown & Company
  30. Knowdell, R. L. (1996). Building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DAVIES-BLACK PUBLISHING Palo Alto, California
  31. Michael Farr, J. & Christophersen, S. (1999). Identify Your Skills for School, Work, and life. JIST Publishing, Inc.
  32. O'Neil, H. F., Jr., Allred, K., & Baker, E. L. (1992). Meaurement of workforce readiness: Review of theoretical frameworks [CSE Technical Report]
  33. SCANS. (1992). Learning a living: A blueprint for high performance. Washington, DC: U.S.
  34.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a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pp. 197-261). San Francisco: Jossey-Bass
  35. Tiedeman, D. V., & O'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Princeton, NJ: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36. http://abeek.or.kr/
  37. http://careernet.re.kr
  38. http://okcareertech.org/cimc
  39. http://www.work.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