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Chung, Ae-Kyung (Department of Digital Broadcasting and Media, Dong Seoul College) ;
  • Kim, Ji-Sim (Qualifications Development & Accreditation Division, Korea Productivity Center) ;
  • Kim, Jeong-Hwa (u-Learning Department, Korea Banking Institute)
  • 정애경 (동서울대학교 디지털방송미디어과) ;
  • 김지심 (한국생산성본부 자격개발인증본부) ;
  • 김정화 (한국금융연수원 u-러닝부)
  • Received : 2011.09.06
  • Accepted : 2012.04.17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 total of 52 sampl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 indicated that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variables (job ability self-efficacy, career goal setting self-efficacy) of job search self-efficacy significantly. But time management ability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goal setting self-efficacy.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comparison of mastery goal orientatio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job search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and residence area. In addition, the interview result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the understanding of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search self-efficacy were analyzed.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원.윤지은(2009). 전문대학생의 직업탐색활동이 구직 결정에 미치는 영향.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5(1): 1-24.
  2. 김외숙(2003).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시간전망에 대한 비교연 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1-10.
  3. 류재우(2004). 과학기술 인력의 노동시장 성과 및 근래의 변화. 노동경제논집, 27(1): 107-134.
  4. 박경애.김택호(1994). 청소년시간 및 정신에너지관리: 기초연구. 청소년상담연구(총서).
  5. 박동혁.이민규.신희천(2006). 대학생 시간관리 행동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01-816.
  6. 박은선.이재창(2009). 아버지 애착과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2): 947-965.
  7.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오현진.정지윤(2006).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 효능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3): 101-112.
  9. 윤용옥.김외숙(2007). 대학생의 시간관리: 관련 변수 및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71-82.
  10. 이원령.이한우(2008). 예비특수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 능감과 직업가치에 관한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4(3): 123-142.
  11. 이은경(2000).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주화.김아영(2005).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5.
  13. 이주희.박순희(2008). 대학생의 시간 관리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2): 91-120.
  14. 이현림, 손종하, 김성자, 김순미(2007).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26(1): 46-62.
  15. 이현림.김지영(2001).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2(2): 211-230.
  16. 이현주(2000).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따른 인지양식 차이. 교육학연구, 38(1): 235-257.
  17. 임언.이지연.윤형한(2004).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 색 프로그램 개발(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전명남(2003).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 분석. 교육심리연구, 17(4): 1-28.
  19. 정애경.김지심.민경일.홍유나.김혜선(2011).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직업탐색효능감과 직업방송의 유용성, 용이성이 시청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직업교육연구, 30(2): 73-89.
  20. 조규판.주희진(2009).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9(2): 273-291.
  21. 최정인.박미진.유계식(2001).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13: 257-275.
  22. Ames, C., & Archer, J.(1987). Mothers' belief about the role of ability and effort in school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 409-414.
  23. Ames, C.(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261-271. https://doi.org/10.1037/0022-0663.84.3.261
  24.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5. Britton, B. K., & Tesser, A.(1991). Effects of time 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405-410. https://doi.org/10.1037/0022-0663.83.3.405
  26. Dweck, C. S.(1986).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41: 1040-1048. https://doi.org/10.1037/0003-066X.41.10.1040
  27. Dweck, C. S., & Leggett, E. L.(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 256-273. https://doi.org/10.1037/0033-295X.95.2.256
  28. Elliott, E. S., & Dweck, C. S.(1988). Goals: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5-12. https://doi.org/10.1037/0022-3514.54.1.5
  29. Elliot, A. J., McGregor, H. A., & Gable, S. L.(1999).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A mediationa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 549-563. https://doi.org/10.1037/0022-0663.91.3.549
  30. Feather, N. T., & Bond, M. J.(1983). Time structure and purposeful activity among employed and unemployed university graduate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6: 241-254.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3.tb00131.x
  31. Gross, I. H., Crandall, E. W., & Knoll, M. M.(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32. Hackett, G., & Betz, N.(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33. Harackiewicz, J. M., Barron, K. E., Tauer, J. M., & Elliot, A. J.(2002). Predicting success in college: a longitudinal study of achievement goals and ability measures as predictors of interest and performance from freshman year through gradu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 562-575. https://doi.org/10.1037/0022-0663.94.3.562
  34. Macan, T. H., Shahani, L., Dipboye, R. L., & Phillips, A. E(1990).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760-768. https://doi.org/10.1037/0022-0663.82.4.760
  35. Mazurek, N., & Shoemaker, A.(1997).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ervice provid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2 708).
  36. Pintrich, P. R. (2000).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SD: Academic Press.
  37. Snyder, C. R. (2002).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 249-275.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304_01
  38. Seiwert, L. J.(2003). (성공하는 리더를 위한)시간관리 테크닉. 서울: 미래사.
  39. Solberg, V. S., Good, G. E., Nord, D., Holm, C., Hohner, R., Zima, N., Heffernan, M., & Malen, A.(1994). Assessing career search expectatio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Search 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 111-123. https://doi.org/10.1177/106907279400200202
  40. Taylor, K. M., & Betz, N. E.(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