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국가간 상호인증을 위한 기술사 자격의 취득요건 개선방안 (Requirements Improvement Plan of Professional Engineer License for International Mutual Accreditation)

  • 조문선;양성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57-165
    • /
    • 2007
  • Currently,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in professional engineer(PE) licensure system in Korea to be accredited internationally. One is a incompleteness of system connecting the licensure and the accredited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and the other one is a insufficient working experience condition required for achieving PE license. Therefore, these two problems are setbacks hindering Korea's PE license accredited internationally. In this study, international tendency stream on mutual accreditation of PE license are reviewed first, and the PE licensure system of the major countr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requirements improvement plan are suggested and the gradual implementation method are suggested also.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평가'실천을 위한 모형 개발 및 전략에 대한 연구 (Model Development and Strategy plan for Implementing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

  • 김명랑;윤우영;김동환;정진택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29-42
    • /
    • 2007
  • 공학교육인증에 있어서 프로그램학습성과는 공학교육의 질적 향상 정도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이며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프로그램학습성과를 공과대학 졸업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반드시 지녀야 하는 핵심 역량 12가지로 규정하고 있으며 인증을 받고자 하는 모든 공학교육프로그램은 전공 관련 지식을 포함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달성 및 지속적인 개선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이기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학습성과는 크게 두 가지를 만족시켜야만 하는데첫째, 공학프로그램은 졸업생이 12가지 능력과 자질에 대해 달성하고 졸업함을 보장할 것에 대한 요구와 둘째, 12가지 능력 및 자질을 교육시키는 프로그램의 교육 수준의 지속적인 개선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취지에 맞는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CQI와 QC를 실현을 위해 갖추어야 할 체계인 구축 모형을 소개하고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기준에 알맞은 실천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인증기준 실시에 대한 제안 (The Proposal for the Execution KEC2005)

  • 강소연;최금진;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2호
    • /
    • pp.52-63
    • /
    • 2005
  • 공학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양질의 공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입된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은 해를 거듭할수록 참여하는 대학과 프로그램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인원에서는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인증기준을 연구하여 KEC2005를 공표하였다. 이미 인증을 받은 대학이나 현재 인증 평가를 받기위해 인증을 준비하는 대학은 앞으로 이 인증기준을 적용하여 평가를 받아야 하므로 KEC2005를 기준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안고 있다. 따라서 공인원에서 KEC2005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인증기준에 대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인 예시를 통하여 분명히 제시해 주어야 한다. 둘째, 학습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모델과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교수들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 이상에 치우치지 않은 현실적이고 타당성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평가자의 재교육 등의 전문성과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인증을 준비하는 대학에 대한 공인원의 적극적인 자문과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Co-operative Education at University of the Pacific and Its Assessment for ABET Accreditat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Program

  • 이치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76-93
    • /
    • 2008
  • Co-operative (Co-op) education is a college program that integrates classroom studies with paid, productive and real-life work experience. A mandatory Co-op program for the degree is introduced with a sample curriculum from the Mechanical Engineering program at University of the Pacific. The mandatory Co-op program requires a minimum of 7 months of work experience with the option of pursuing a 12 month program. Students also have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an Engineering Industry Fellowship (EIF) program or an International Engineering Co-op program (IECP). University of the Pacific has engineering programs in Bio-Engineering, Civil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Engineering Management, Engineering Physics, and Mechanical Engineering. All the programs are ABET-accredited except the Bio-Engineering program, which is relatively new. The Co-op employers evaluate the Co-op students at the end of the working period before returning to school, and the students also provide an evaluation of their Co-op experience. Co-op employer evaluations of student work are used in ABET assessment methods developed by the Mechanical Engineering program at University of the Pacific.

공학교육 성과 평가에 관한 설문 분석 사례연구 I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ducation Outcomes by Questionnaire Survey)

  • 박용원;김병재;장혁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48-56
    • /
    • 2001
  • 공학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 명지대학교 공과대학에서는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공학교육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된 자료를 기초하여 공학교육 학습성과와 전공분야 설계 경험에 대한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목표를 ABEEK 인증기준의 교육성과 기준에 맞게 재 설정 할 필요가 있으며, 설계 교육의 비중을 강화시키는 공학교육 혁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 조사 및 운영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Management Systems for Non-curriculum Courses to Develop a Proper Management System for Non-curriculum Courses)

  • 최진영;신판석;박윤국;김도영;박종원;윤구영;김우년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69-77
    • /
    • 2011
  • 공학인증 운영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서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교과과정의 경우 프로그램 소속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점에서 이를 통한 프로그램 학습성과가 달성되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교과과정만으로 이를 달성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비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교과과정에서 달성도가 떨어지는 학습성과의 달성도를 높이려는 움직임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운영 및 평가 시 교과과정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소프트 스킬에 대한 대체로서 비교과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40개 인증 프로그램의 비교과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한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총 30개의 비교과과정을 발굴 정리하고 각 과정별 학습성과 평가단위와 가중치를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공학 교육을 위한 MSC 교과목과 전공 교과목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SC and major curriculum for Efficient Engineering Education)

  • 김성철;김혜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73-6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MSC 교과목과 전공교과목의 연계성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교과과정의 개선 및 학생들의 만족도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이수한 MSC 교과목과 전공필수 교과목에 대한 성적 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조사한다.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의 이들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점을 찾는데 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공학교육인증의 필요성에 대한 낮은 인식이 MSC 교과목에서의 불만 원인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에 대한 공학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인식 제고 및 인증을 위한 형식적인 과목 개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전공 교과목에서 필요한 부분에 대한 강조를 통하여 보다 내실 있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울산대학교 공과대학의 공학인증제도 도입과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조사 연구 (Develop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in UOUC for ABEEK Accreditation)

  • 박순규;강희준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15-29
    • /
    • 2004
  • 울산대학교 공과대학은 경쟁력 있는 공과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한 일환으로 1999년 후반부터 ABEEK 인증제도 도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2003년 1월 공과대학 내 10개의 프로그램이 공학인증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추진해온 ABEEK 인증체제 도입에 따른 성과와 앞으로의 추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 Comparison Study on Accredited Architectural Education Contents between US and Korea

  • Kim, Jin-Wook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3-21
    • /
    • 2011
  • Since 2002, Architecture Schools in Korea was changing long traditional architectural education system from 4 years generalized architectural engineering curriculum to 5 years professional architecture program. Until 2010, 76 architecture schools have changed their program to 5 years course which was focused to design studio education. It was a very rapid change and there was not much time develop their own system which could represent institutional identity, character of students and local environment. Korea joined as a regular member of Canberra Accord in 2010 and it is meaningful to compare Korean architecture program contents to another country education contents. US architecture programs were selected for this comparison study.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create a comparable understanding the form of contents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US and Korea and to verify the substantial equivalence of these systems. To achieve above goals, three public institutes of each country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general information, history, resources, curriculum and the matrix of Student Performance Criteria for quantitative comparison. For qualitative comparison education context of programs were analyzed with program missions, the way of advising, professional connection and distribution of faculty loads.

교과목 이수체계도를 이용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위한 교과 이수 지도 도구의 개발 (A Development of an Adviser Tool for the ABEEK Accredited Program using Curriculum Flowchart)

  • 이태호;이명준;이정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97-106
    • /
    • 2009
  •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사단법인으로 공학 및 관련 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기관으로서 국내의 공학 및 관련 사회의 광범위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인증기준을 정하였다. 공학인증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은 인증 기준에 부합되도록 프로그램에서 정한 이수체계에 따라 교과목을 이수하여야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교과과정 이수 상황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된 교과과정 이수 지도 도구의 구조 설계 및 개발 내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구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목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이수체계에 따른 과목별 선수관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학생별로 이수현황표를 분석하여 이수현황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이수체계도상에 표현하였다. 실험결과 개발된 이수 지도 도구를 활용한 이수지도가 수강신청원 위주로 된 방법보다 지도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