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Development and Strategy plan for Implementing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평가'실천을 위한 모형 개발 및 전략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 is an important criterion evaluating of engineering education in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BEEK prescribes program outcomes which are the basic capabilities in the application of the fundamental knowledge and practical tools of the engineering field. Also ABEEK asks to prove that all programs are constructed a proper educational curriculum and are satisfied program outcomes and CQI. Therefore program outcomes must satisfy both two key points. First, as a quality control aspect, engineering programs must prove that graduates of accredited programs can perform twelve capabilities. Second, as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spect, accredited programs have to upgrade a level of engineering educational quality. Consequently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troduce a new model for CQI and QC systems, implementing strategies as an actualizing of program outcomes.

공학교육인증에 있어서 프로그램학습성과는 공학교육의 질적 향상 정도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이며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프로그램학습성과를 공과대학 졸업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반드시 지녀야 하는 핵심 역량 12가지로 규정하고 있으며 인증을 받고자 하는 모든 공학교육프로그램은 전공 관련 지식을 포함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달성 및 지속적인 개선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이기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학습성과는 크게 두 가지를 만족시켜야만 하는데첫째, 공학프로그램은 졸업생이 12가지 능력과 자질에 대해 달성하고 졸업함을 보장할 것에 대한 요구와 둘째, 12가지 능력 및 자질을 교육시키는 프로그램의 교육 수준의 지속적인 개선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취지에 맞는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CQI와 QC를 실현을 위해 갖추어야 할 체계인 구축 모형을 소개하고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기준에 알맞은 실천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배호순(1999). 프로그램평가론. 원미사
  2. 김명랑, 윤우영(2004). 학습성과를 기초로 한 공학교육연구: 일반적 방법론 및 평생학습의 예. 공학교육연구 7(1), 79-86
  3.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4). 공학인증기준 2000(KEC 2000)
  4. 김명랑, 윤우영, 김동환, 정진택(2004).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1 초 점그룹. 공학교육연구 7(4), 22-31
  5. 김명랑, 윤우영, 김동환, 정진택(2005).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2 학 생 포트폴리오. 공학교육연구 8(4), 64-71
  6.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5). 공학인증기준설명서 2005(KEC2005)
  7. 김명랑, 윤우영, 김동환, 정진택(2007).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3 졸 업논문. 공학교육연구 10(1), 97-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