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AS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AASL(2007)과 ACRL(2015) 정보리터러시 기준에 내재된 정의적 성향 분석 (The Analysis of Affective Dispositions in AASL(2007) and ACRL(2015)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 최재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15-13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2007)'과 ACRL의 '고등교육에서의 정보리터러시 프레임웍(2015)'에서 제시된 정의적 성향(情意的 性向)의 파악을 통해 정보리터러시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해보는데 있다. AASL(2007)에서는 총 18개, ACRL(2015)에서는 총 38개의 정의적 성향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성향의 교육을 위한 제언으로 정의적 목표의 계열화 방안과 평가 수단이 논의되었다. 분석된 AASL(2007)과 ACRL(2015) 기준에서의 정의적 성향들은 초 중 고 및 대학생들의 정의적 능력 향상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ISA Reading Domain and 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3-216
    • /
    • 2012
  • 최근 들어, 공공기관의 책무성이 강화되면서 교육기관의 교육 책무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교육 책무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물론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에 참여하고 있다. 교육기관의 지원을 받는 학교도서관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교육 책무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비교하여 학교도서관이 PISA의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의 독서 리터러시 영역과 PISA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PISA의 설문지에는 학교도서관 관련 요소를 상당수 포함하고 있으며, PISA의 독서 리터러시 영역은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학교도서관기준에 나타난 SLMP의 교육적 이념 (The Educational Idea Presenting In the SLMP's Standards)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21-147
    • /
    • 1985
  • In the modern communicative age, the standards of the school libraries are the qualitative guarantee on the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the guidline, the active guide, the policy documentation and criteria for the professional excellence. The standards of SLMP were revised the sixth time by the school library profession(ALA) with the members or agency of NEA in the U.S. There are the first standard was a quantitative; 'the Certain Report'(by A.L.A., 1920) appearing that the school library is the heart of the school, 2nd 1925; turning up the teaching material source and personel, 'School Libraries for today and tomorrow' (by AASL, 1945) incluse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7th educational ideas in the quantitative feature,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by AASL, 1960) express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 center, communicative environment,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Standards for school media programs' (by DAVI & AASL, 1969) implicating the instructional resource,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the condition precedent of qualitative education for excellence, 'Standards for media programs; District/school (by AASL & AECT, 1975) containing the improving user's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onal freedom on the use of SLMP's services. Through changing the standards of SLMP in the US, We have known that the main educational idea in the standards are; (1) SLMP is the instructional force and resource for qualitative, excellence education by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instructional resource, communicative environment (2) SLMP is the actualizing force and resource for user's self-realization by intellectual and personal excellence, individualizing, humanizing and personalizing education.

  • PDF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merica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that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9-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AASL이 2018년에 발행한 "학습자,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을 위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문서에 제시된 기준의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방향과 내용에 참고할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ASL의 미국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습자 기준과 사서교사 기준, 학교도서관 기준 및 이들 3개의 기준을 통합한 통합 학교도서관 기준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이라는 시설과 공간에서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와 교육자인 사서교사의 교육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이 어느 정도 구축된 상황에서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교육내용과 역량에 관한 기준을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내용을 포함한 자료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 평가기준과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ols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n the United Stat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3-121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기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가 수준과 주정부 수준의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 그리고 자기평가 도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에 맞추어 사서교사 양성, 자격기준, 평가기준의 일관성 있는 전문성 계발 구조를 갖추었으며, 국가 수준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은 미국 전문교사자격 기준위원회의 자격기준과 미국학교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평생교육을 위한 학습" 기준의 사서교사 평가도구가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주정부의 실정에 맞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학교도서관협회는 2012년에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도구인 "사서교사 평가의 21세기 접근법"을 발표하여, 사서교사가 국가수준의 기준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역량과 교육내용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An Exploration for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nd Contents)

  • 박주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9-14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의 역량과 교육내용,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핵심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교육내용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UNESCO의 MIL과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UNESCO의 MIL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정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과 역량을 많이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보다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용어라 할 수 있었다. 셋째, UNESCO의 MIL은 정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보다 많이 반영하였다. 넷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도서관과 정보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담아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역량들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은 문화적 감수성 역량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는 정보 리터러시의 역량을 넘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융합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93-112
    • /
    • 2016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73
    • /
    • 2015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시설을 계획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을 파악하였고, 요구조사 도구에 반영되어야 할 특성으로 교육적 활용성, 시설 접근성, 자료 접근성, 쾌적한 환경, 심미성, 공간성, 편리성, 정보기술, 업무 효율성, 확장성의 10개 특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우리 도서관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요구조사 도구는 설문지 방식으로 계량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학교도서관 상황에 따라 조사도구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Analysis of America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3-223
    • /
    • 2009
  •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의 각 주(州) 정부의 학교도서관 정책은 물론 전 세계 학교도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교육학회(NEA) 주도로 1920년에 처음으로 제정된 이래 교육 및 기술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약 10여 차례 개정되어 왔으며, 가장 최근의 기준으로는 2009년에 AASL에서 발행한 "학습자 힘 기르기"가 있다. "학습자 힘 기르기"는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발행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학교도서관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제정한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과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정책의 바로미터로 삼고자 한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비전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기준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Big6 모델 및 수정 모델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Big6 Skills Model and the Modified Big6 Models)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1-35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Big6 모델과 Big6 수정 모델을 분석하여 Big6 모델의 특징을 찾고 현장에서 Big6 모델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AASL과 ACRL의 정보 리터러시 기준과 Big6 모델을 비교하였으며, 교육목표분류학에 영향을 받은 Big6 모델과 Big6+3 모델, Big8 모델 및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Big6 모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ig6 모델은 정보 문제 해결 모델과 메타인지 활성화 전략 및 학생들의 정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발판으로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구성주의, 탐구기반 학습, 교육과정 통합, 협력교육, ICT기술 모델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은 Big6 모델보다 사서교사나 사서의 Big6 모델의 적용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사서교사와 사서는 Big6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