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세 유아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3초

4세 영재아들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 문화 기술적 사례연구

  • 김혜선;이민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85-12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4세 영재아들이 유아교육 기관에서 일반 유아들과 생활하는 과정을 문화기술적(ethnographic)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 4세 남자 유아와 전주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여자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999년 4월 2일 - 1999년 6월 18일까지 14주 동안 진행되었다. 관찰은 1주일에 2-3회 1시간 정도씩 참여하였다. 교사와의 면담은 6차례에 걸쳐 총 2시간 10분 동안의 면담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와의 면담은 4차례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영재아를 지도해 본 교사 6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사례는 부호화하고 범주화 한 뒤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4세 영재아들은 풍부한 지식과 우수한 기억력, 부한한 상상력, 문제해결 능력과 논리적 추리 능력, 흥미와 집착, 다른 장난과 배회, 포기와 합리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4세 영재아들의 또래 친구들과 자기 중심적 사고와 자기 주장, 갈등과 화합, 놀이 주도자와 창안자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셋째, 부모들은 자녀에 대해 강력한 지지자, 정원사와 같은 신념과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을 영재아 지도에 대해 놀라운 아이, 방해하는 아이로 인식하였으며, 논리적 설득과 중재, 제재와 격리의 방법으로 지도 하고 있었으며, 수용 혹은 지나친 인정, 그리고 방치하는 것에 대해 갈등을 갖고 있었다.

  • PDF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ractal plastic activity for early childhood's mathematics capacity about space and figure)

  • 계영희;하연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453-468
    • /
    • 2016
  • 본 연구자는 만다라를 유아미술교육에 활용하였을 때 유아의 공간과 도형의 개념이 현저하게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은 그 후속연구로 부산광역시 H어린이집의 만3세 유아 44명, 만5세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만다라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공간과 도형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만3세 유아는 4개 영역에서, 만5세 유아는 3개 영역에서 유의미함을 보였다. 만3세 유아는 조형 활동에서 과거의 기억을 표현하기 시작했으며, 만5세 유아는 스토리를 만들며 실물과 유사하게 재현하기도 했다. 또한 만5세의 경우 그림과 지점토의 표현에서 성별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만다라보다 프랙털이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 김효진;손승희;나종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07-127
    • /
    • 2013
  • 본 연구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만 3~4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및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차이와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에 소재한 어린이집 7곳에 다니고 있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만 3~4세 유아 9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손승희(2012)가 개발한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검사와 최나야(2007)의 음운론적 인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 4세 유아가 만 3세 유아보다 환경인쇄물을 더 잘 읽었고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 3세 유아의 경우 환경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점수가 높았으며, 만 4세 유아의 경우 환경 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만 4·5세 유아가 인식한 노인 이미지 연구 (The image of Elderly perceived by age of 4 and 5 years)

  • 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2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지, 또한 이러한 이미지가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K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30명과 만 5세 유아 24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알기 위한 그림그리기 검사와 그림에 대한 면담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가 노인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영역은 가족 관계면 이었고,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영역은 노인의 신체적인 면이었다. 둘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세대 간의 문화 이해와 소통을 위한 연구에 기초자료 제공과 세대프로그램 개발 자료로 의미가 있다.

만4세 자유선택놀이에서 나타나는 또래문화의 특성 (Exploring Four-Year-Old Children's Peer Culture Patterns)

  • 최현주;최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41-2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일어나는 만4세반 유아의 다양한 모습을 관찰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또래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의 내면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장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 어린이집 만4세 하늘반의 자유선택활동을 참여관찰하고 교사와 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 존중하는 또래관계와 순응하는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평화적 또래문화,' 그리고 수직적 또래관계, 배타적 또래관계, 무시형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갈등적 또래문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관계형성 분석을 통해 만4세 유아의 또래문화를 밝혀 봄으로써 유아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유아의 교실문화를 폭넓게 바라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Proficiency and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 이윤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35-1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 72명을 대상으로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운동 능력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의 단축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행 기능은 낮과 밤 과제, 깃발 들기 과제, 카드 분류 과제, 숫자 바로 따라 하기와 숫자 거꾸로 따라 하기 검사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5세 유아의 운동 능력이 4세 유아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 유아의 실행 기능이 4세 유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운동 능력 중 미세 운동조절 능력이 실행 기능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실행 기능 중 행동적 억제, 작업 기억 능력이 운동 능력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발달에서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활동의 내용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3~4 Year 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eachers)

  • 조숙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77-198
    • /
    • 2015
  • 본 연구는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준거에 의해 활동유형 및 활동형태별, 생활주제별로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만3세 유아 '안전교육' 내용은 총 136개였으며 그 가운데 대 소집단활동에서 71개(52.2%)를 나타내었고 만4세는 총 124개를 보인 가운데 대 소집단 활동에서 58개(46.8%)를 나타내었다. 둘째, 만3세는 '생활도구'에서 25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물건, 도구, 기구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21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는 '건강과 안전'에서 33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질병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12개의 활동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만3, 4세 연령에 따른 유아 '안전교육' 활동을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하며 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각종 연수를 계획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유아 '안전교육'에 필요한 매뉴얼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체험시설을 확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긴다.

한국 영·유아의 식생활 현황 연구 : 2013~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Dietary status of young children in Korea based on the data of 2013~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은경;송병춘;주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4호
    • /
    • pp.330-3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5세의 영 유아의 전반적인 식생활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사항, 유아의 식생활과 질병 유무, 영양섭취 상태 및 다소비 식품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영 유아에게 생우유를 먹이기 시작하는 시기는 평균 14 ~ 15개월이었고 이유식 시기는 평균 6.2개월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 5~7회 아침 식사를 하는 대상자는 82.0%, 아침 식사를 거의 하지 않는 대상자는 2.3%였다. 주 5~6회 외식하는 대상자가 35.8%로 가장 많았다. 천식과 아토피, 알레르기성 비염의 유병률은 3~5세 유아의 경우가 1~2세 영 유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영 유아의 영양소 섭취상태는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 주요 영양소는 충분히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주요 무기질 (인, 철 및 나트륨)과 비타민(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및 비타민 C)도 충분히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3~5세의 유아의 칼슘의 평균 필요량이 470 mg (권장량 600 mg)이 칼륨은 2,300 mg인데 실제 섭취량은 칼슘이 438.6 mg이고, 칼륨은 1,873.7 mg으로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에너지 필요 추정량보다 적게 섭취한 대상자는 1~2세에서는 44.1%, 3 ~ 5세에서는 57.4%로 조사되었으며, 칼슘과 칼륨을 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수도 각각 1~2세에서 51%와 79.5%, 3 ~ 5세에서 64%와 75.5%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은 감자 및 전분류, 당류, 채소류, 달걀류, 기름 및 지방, 음료류, 조미료의 섭취량은 3~5세 유아가 1~2세 영 유아보다 많았으나, 콩류와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은 1~2세 영 유아가 3~5세 유아보다 많았다. 그리고 1~2세 영 유아의 다소비식품은 우유, 흰쌀, 사과, 호상 요구르트, 달걀, 액상 요구르트 순으로 나타났다. 3 ~ 5세 유아의 다소비 식품은 우유, 흰쌀, 사과, 달걀, 귤, 과일음료, 호상 요구르트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지속 가능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7세 영유아 자녀의 IPTV 동영상 시청 행태와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Analysis of IPTV VOD Usage Behavior of 2 to 7 Years Old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s about Their Child's Usage)

  • 황정혜;박인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19-430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가입자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IPTV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IPTV 유아 동영상 이용 실태와 자녀의 IPTV 유아 동영상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배경 변인이 자녀의 IPTV 유아 동영상 이용 시간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 자녀의 IPTV 유아 동영상 이용 현황을 진단하고,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IPTV를 좀 더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의 IPTV 이용자 중 2세~7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자녀가 IPTV 유아 동영상을 처음 이용한 시기는 만 1세가 36.6%로 가장 높게 나타나 영아 때부터 IPTV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고, 가정에서 IPTV 유아 동영상을 이용하는 가정이 93.4%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유아 동영상을 일주일에 4일 이상 이용하는 경우가 40.8%로 높게 나타나 매우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 시간을 보면 주중에는 주로 오후에, 주말에는 주로 오전에 이용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유아 동영상의 주 이용 장르는 애니메이션이 4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IPTV 유아 동영상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정에서 IPTV 유아 동영상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녀가 원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59.6%, 유아 동영상 시청시 어머니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항은 과도한 TV의존이 66.0%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TV의존에 대한 염려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 자녀의 요구에 의해 IPTV 유아 동영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학력 및 월평균 가계소득과 IPTV 유아 동영상이용 시간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세와 4세 유아의 마음에 대한 이해 : 틀린 믿음, 조망 수용, 의도를 중심으로 (3- and 4-Year-Old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Mind : False Belief, Perspective Taking, and Intention)

  • 한유진;강민정;단현국
    • 아동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5-270
    • /
    • 2006
  • The present study applied the research of Endres(2003) to investigate understandings of theory of mind by 3- and 4-year-olds based on false belief, perspective taking, and intention. Participants were 86 3- and 96 4-year-old children in three kindergarten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task. Results showed that 4-year-olds scored higher than 3-year-olds on all three variables. Both 3- and 4-year-olds scored highest on perspective taking and lowest on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understandings of the theory of mind are still developing between 3 and 4 years of age an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intention develops more slowly than false belief and perspective ta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