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그램교육목표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5초

테마기획 - 대학 Summer School 운영 사례 및 현황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하계대학 -

  • 지홍민
    • 대학교육
    • /
    • 통권160호
    • /
    • pp.57-63
    • /
    • 2009
  • 점점 짙어지는 푸르름과 한층 더해가는 더위 속에 어느덧, 캠퍼스에는 여름방학이 시작되었다.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캠퍼스에는 해외 각국의 학생들이 한국을 공부하기 위해, 저마다의 목표를 위해 붐비고 있다. 대학의 국제화 전략과 함께 국제 하계대학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이화여자대학교의 하계대학프로그램은 1971년 국내 대학 최초로 외국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기 위한 취지로 시작되었다. 국제화 전략의 중요한 프로그램인 "Summer School"을 이화여자대학교의 운영사례와 현황을 통해 살펴본다.

  • PDF

로켓 추진 원리를 이용한 고등학생 대상 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Rocket Science for High School Students)

  • 문영주;이동언;이설하;이은주;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59-367
    • /
    • 2015
  • 우리나라 우주발사체 개발에 대한 청소년들의 흥미 유발과 로켓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로켓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고등학교 물리 1,2, 화학 1,2를 분석한 후 로켓의 추진 원리와 연계하였고, 추진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델로켓 엔진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모델로켓에서 추진제로 사탕, 육포, 초콜릿 등과 같은 고열량 식품들을 사용하여 추진제를 제작하였다. 특히 교육프로그램은 식품을 이용한 추진제 제작, 연소 온도 측정, 추력 측정과 모델 로켓의 제작, 발사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사탕을 이용한 제작한 추진제와 솔비톨로 제작한 추진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성취도 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술적, 교육적 목표를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하여 목표 달성 여부도 판단하였다.

항공사 정기안전교육이 승무원 안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Safety Training Programs on Flight Attendant Safety Recognition and Behavior of Airlines )

  • 이윤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4
    • /
    • 2023
  • 항공사가 매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기 안전 교육 프로그램(Safety Training Programs)을 통한 객실승무원의 안전인식(Safe Recognition) 변화와 직접적인 사고 발생 시 즉시 행동으로 연계되는 안전행동(Safety Behavior)을 연구하여 항공안전의 목표를 달성하고, 사고를 방지하여 항공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다른산업에서 직원안전교육을 수행할 경우 안전교육의 내용,절차, 횟수등을 제시하는 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안전 교육 프로그램이 객실승무원 안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전인식이 정기안전교육 프로그램과 안전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mediating effect)가 있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 PDF

초등 영재교육원 수학 영재캠프 프로그램 분석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Math Camp Program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Case of the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임경진;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10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교육원에서 방학 기간 중에 운영하는 수학 영재캠프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11개 초등 영재교육원 중 권역별로 안배하여 선정한 7개 초등 영재교육원에서 2008년도에 실시한 영재캠프 프로그램을 목표, 내용, 평가 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재캠프 프로그램의 목표는 지적인 측면보다는 정의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둘째, 영재캠프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항목과 지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캠프 프로그램의 내용이 특정 영역이나 측면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영재캠프 프로그램에서 평가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다 폭넓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 신현용;한인기;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0권
    • /
    • pp.19-30
    • /
    • 2000
  • 초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은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꼭 고려해야 할 목표들 중의 하나이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었지만, 창의성 신장을 위한 학습자료들은아직 많은 연구 문제들을 남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영재 아동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100시간 분량으로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개발된 자료들을 초등학교 교수-학습에 투입하여 얻은 긍정적인 결과들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자율주행자동차를 주제로 한 역공학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based on Reverse Engineering on the Subject of Autonomous Vehicle)

  • 정해영;김기수;윤지아;김영민;허혜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4-18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역공학을 기반으로 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자율 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공학을 기반으로 한 STEAM 프로그램을 5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자율 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개발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 역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의 정의, 목표, 내용 영역 및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세부 목표와 내용 영역을 추출했다. 두번째, 설계 단계에서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주제를 선정하고, 2015 개정 교육 과정과 STEAM 교육 과정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교육 목표와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개발 단계에서는 교사용 교수학습 지도서와 학생 교과서를 개발하고, 서울 소재 OO중학교 2학년 71명에게 예비 적용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OO중학교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성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교사 및 학생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에 따라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 김복기;박진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46-57
    • /
    • 2008
  • 공학교육인증의 핵심은 "성과중심(outcomes based)" 교육을 바탕으로 지속적 자율 개선 구조를 통하여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공학교육 인증기준 중 학습성과의 경우 교육평가, 교육목표, 교육과정과의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먼저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기술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와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도구의 구체적 실행 방법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립된 평가도구를 통하여 대학현장에서 학습성과 평가가 실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영어발음지도 (Teaching Children English Pronunciation)

  • 박주경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2월 학술대회지
    • /
    • pp.63-73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영어교육을 하기 위하여 그 기초가 되는 영어발음지도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아울러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 먼저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영어교육의 특성과 제문제를 살펴보고, 보라 효과적인 발음지도를 위해 구체적인 발음지도 목표와 그 목표에 맞는 발음지도 법을 알아보았다. 발음지도 목표로는 우선,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발음을 갖추도록 하며, 이를 위해 (1)영어자, 모음 식별 청취 및 발음, (2)올바른 강세와 억양 식별 및 구사, (3)연음 및 기타 주요 발음 현상 식별 및 구사 등을 지도하되, (1)보다 (2)와 (3)을 보다 집중적으로 지도할 것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들 각각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지도 법 및 어린이들을 위한 학습활동들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자질을 고루 갖춘 초등학교 영어교사 양성이야말로 성공적인 영어교육의 제일조건임을 강조하고 보다 실제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 Based on t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 손주영;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3-12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육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천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 대상의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을 토대로 재구성하여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과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교폭력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핵심 구성요소, 구성 원리, 목표 및 실제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등을 파악하고, 프로그램 적용 모형으로 Laster의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개발 방향 및 구성 개요를 설정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보호요인과 가정교과 내용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요소를 선정하고,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의 목적 및 영역별 목표, 영역별 실천적 문제와 학습목표를 진술하고 주요 활동 내용을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실천적 행동 수업모형을 적용한 주제별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 교사용 참고자료 및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교육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타당도 검사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발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인식변화, 자아존중감 향상, 타인과 관계 맺기, 배려와 나눔의 실천, 폭력예방 실천의지 다지기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 5개 영역 당 1~2개씩 총 7개의 실천적 문제(서로 돕고 배려하는 친구관계 형성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배려와 나눔의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배려와 나눔의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나누어 총 24차시로 개발되었다. 실천적 문제에 따라 문제인식, 실천적 추론, 행동, 평가의 4단계를 거치는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추론을 위한 질문을 제시하였고 실천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습 자료는 학생용 자료와 교사용 참고자료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실천적 추론활동 과정에서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학생용 자료는 활동지, 읽기, 동영상, 그림 자료 등으로 총 80편이 개발되었다. 교사용 참고자료는 관련 이론 및 신문자료, 동영상 자료 등으로 총 35편이 개발되었다.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학교폭력 예방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현장교육의 유용성, 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 학습내용과 자료의 적합성 및 충실성,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4.36점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볼 때 본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예방 교육에 효과적이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사물인터넷시대의 유학생의 국내대학 적응을 위한 KSL 교과과정과 ESL 교과과정 비교 (Comparison of KSL Curriculum and ESL Curriculum for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Internet of Things era to Domestic Universities)

  • 강현주;정세리;최장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1-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4차산업으로 인해 미래교육으로 교육들이 전화되고 있는 시대에 유학생들이 한국에 적응하여 정착시키기 위해 한국어 교육 과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유학생들이 접하는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상황에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유학생 적응에 대한 문화 적응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인 언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의사소통에 문제로 대학 수학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어권 국가의 ESL프로그램과 한국의 KSL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유학생들에게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교육 목표, 교과과정, 교육방법을 설정하고 커리큘럼과 학습 과정을 수립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과정 내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KSL프로그램)도 영어권 국가의 교육과정에 ESL프로그램의 정확한 목표설정과 대학졸업과 연계하는 장점을 받아들여 보완해야 한다. 또한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을 위해서 4차산업 시대에 맞는 IT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통합 과정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