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based on Reverse Engineering on the Subject of Autonomous Vehicle

자율주행자동차를 주제로 한 역공학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 Received : 2019.08.10
  • Accepted : 2019.09.1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AM program based on reverse engineer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EAM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subject of autonomous vehi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STEAM program development model based on reverse engineering. Developed in a five step procedur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with the subject of autonomous vehicle. First, in the analysis step, we explored the definition, goal, content area,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STEAM based on reverse engineering. We extracted the goals and content areas to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Second, in the design step, topics were selec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t this time,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TEAM curriculum, we selected and organized educational goals and learning contents. Third, in the development step, we developed a teacher 's guidebook and student' s textbook, and applied the program to 7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OO middle school in Seoul. Fifth, at the evaluation stage, the evaluation was made by experts and students based on the program that was implemented,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역공학을 기반으로 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자율 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공학을 기반으로 한 STEAM 프로그램을 5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자율 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개발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 역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의 정의, 목표, 내용 영역 및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세부 목표와 내용 영역을 추출했다. 두번째, 설계 단계에서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주제를 선정하고, 2015 개정 교육 과정과 STEAM 교육 과정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교육 목표와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개발 단계에서는 교사용 교수학습 지도서와 학생 교과서를 개발하고, 서울 소재 OO중학교 2학년 71명에게 예비 적용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OO중학교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성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교사 및 학생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에 따라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제2차 과학기술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
  2.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 교육과정.
  3. 교육과학기술부(2011). 미술 교육과정.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 교육과정.
  5.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6. 권혁수, 박경숙(2009). 공학적 디자인: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촉진자.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3(2), 207-219.
  7. 김상달, 이상균, 최성봉(2010).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실태 조사. 대한지구과학학회, 3(3), 191-197.
  8. 김영민 외(2015). 공학설계 기반 STEAM 프로그램 모형.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163-168.
  9. 김준(2014). 조선산업의 생산성분석 -한.중.일 조선사를 중심으로-. 한국생산성본부.
  10. 김진연, 김현정, 김영민, 김기수(2013). 중학교 '전자기계기술' 단원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학회, 19(2), 267-288.
  11. 김진연(2014).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3. 백윤수, 박현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한혜숙, 김영민, 최유현, 최종현(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4. 손소영(2007). 특집1:K-12. 공학교육연구, 14(4), 7-9.
  15. 송나래(2014).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 교육 프로그램 개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신재경, 배동윤, 김효상, 정승오(2013). 특성화고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창의발명교육 연합 학술대회, 서울.
  17. 안덕근(2015). 역공학 교육방법을 활용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RSP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안재홍, 권난주(2013).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기술 및 공학 분야에 대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 708-717.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08
  19. 이광형(2011). 거꾸로 배우는 과학 STEAM by RST. 월간 과학 창의, 161, 12-15.
  20. 이영은, 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21. 한국과학창의재단(2012). STEAM 가이드북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22. 한국과학창의재단(2014). STEAM 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및 현장 활용도 향상 기본연구.
  23. 허혜연, 김진연, 김영민, 김상민, 김영숙, 김기수(2015). 무인선박을 주제로 한 공학설계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1(4), 283-298.
  24. 홍혜경(2017).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37(4), 157-18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