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보육과정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영아보육과정의 연구동향 및 운영실태 관련 연구 분석: 제3차 표준보육과정 시행 이후 연구를 바탕으로 (Research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Trend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Based on Research After the 3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 김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7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research in relation to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and then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 about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The analytic data utilized in this research contains a total of 45 research results about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methods we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and contents and programs of Childcare Curriculum received high attention. Second, while, childcare teachers showed an awareness of the Childcare Curriculum, they made few effort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it in depth. It was reported that a lack of multiple support systems would serve as an obstacle to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Conclusion/Implications: There is a need for childcare centers, academic circles and the government to pay an even greater deal of attention to the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In addition, structural and policy support is required, such as revitalizing case-based teacher training, lower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for infant teachers.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 분석 (The Analysis Level of Implementation b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 Care Teachers)

  • 유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53-171
    • /
    • 2015
  • 본 연구는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행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계수 방법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결과 첫째,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특히 실행 및 지원인식은 이론적 근거 및 성격과 높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만3~4세 누리과정에서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역시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실행수준의 평가와 관계가 있으며 실행 및 지원의 만족도는 자료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 실행 및 지원 인식은 실행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평가 실행수준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누리과정 담당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Drawback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mprovement Plan for Performance of Nuri-educators)

  • 권은희;성영혜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187-200
    • /
    • 2012
  • 우리나라는 2012년 3월부터 만5세 모든 유아들을 위한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무상으로 교육 및 보육서비스를 통합한 국가수준 공통과정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적용함으로써 양질의 교육 보육경험을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5세 누리과정'을 도입하였고 2013년부터는 3월부터는 3 4세 유아들에게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효과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자질을 구비한 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이다. 그럼에도 현재 유아교사 양성시스템이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고 자격기준, 명칭, 교육연한, 교육커리큘럼, 양성기관 등도 모두 달라 유아교사의 균등하고 수준 높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의 확립, 둘째, 이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일원화, 셋째, 이원적인 행정체계의 일원화 및 유아교사의 자격기준 일원화, 넷째,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 재조정, 다섯째, 유아교사의 직무영역과 내용 및 기준의 명확화 및 이에 준한 커리큘럼 체계화, 여섯째, 유아교사 양성기준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미술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만 2세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미술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Guidebook(for 2 years) for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 of Fine Arts)

  • 김순희;이순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83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fine arts were reflected in art related activities in the teacher's manual 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a period of 2 years.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lements of fine art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Kim and Gang(2011) and the same was done for the principles of fine arts based on Lee et al(2015).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contents according to life theme in art related activities, 'artistic expression' appeared the most in all nine life the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2 years based on the elements of fine arts, plane, texture, shape, color, volume, line, spot, space, composition, light and shade appeared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on the principles of fine arts, movement, emphasis, variety, unity, rhythm, proportion, balance and pattern appeared in ord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childcare activities have to be devo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balanced experiences with fine arts activities.

보육시설과 가정의 연계를 통한 감각활동이 영아의 신체발달과 영아-부모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y on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and Infant-Parent Interaction)

  • 이숙화;황성하;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3-125
    • /
    • 2010
  •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영아 감각활동을 가정과 연계하여 실시함으로써 영아의 신체발달과 영아-부모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의 발달과 부모의 자녀양육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K시의 S어린이집과 D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 2세 영아 56명과 영아의 어머니 또는 아버지 56명이다. 연구도구는 교사용 1 2세 영아발달평가도구(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 2002)중 일부와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APECP)(Abbott-Shim & Sibely, 1987)를 수정하여 사용한 선행연구(강숙현, 2002)를 참고하여 영아-부모 상호작용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보육시설-가정연계 감각활동은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육아정책개발센터(2007)에서 개발한 프로그램과 삼성복지재단(2003)의 영아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선정된 감각활동을 보육시설의 월간 계획안에 반영하여 1주일에 3회씩 총 8주에 걸쳐 2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가정연계 감각활동을 적용한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영아의 신체발달에서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가정연계 감각활동을 적용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전체적으로 영아-부모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온반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교재·교구의 의미 (Mean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daily work of class Kaon)

  • 김경철;고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42-649
    • /
    • 2016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의 하루일과를 관찰함으로써 교재 교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및 보육 교재교구 인증평가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교재 교구가 영아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하여 문화기술지 방법을 택하였다. 특히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영역별 교재교구를 활용한 활동 뿐 아니라, 식사 시간, 낮잠시간, 및 바깥놀이까지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참여관찰과 교사면담, 현장노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영아의 특성상 언어적 표현 뿐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관찰이 필요할 경우 이를 보다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캠코더 촬영도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자의 관찰기록노트, 교사 면담자료, 표준보육과정 지침서, 어린이집 연간 및 주간보육계획안, 보육과정 평가서 등의 각종 문헌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류하고 유목화하는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영아들에게 교재교구는 첫째, '맞이하고 놀아주는 내 친구', 둘째, '포근한 나의 보금자리' 셋째, ' 또 한분의 선생님' 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토대로 보육시설의 영아용 교재 교구의 비치 기준안을 재정립할 것과 추후 교재 교구 인증평가 시, 영아들이 사용하는 교재 교구의 대상을 비품형 교재 교구까지 폭넓게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영유아 문화센터 프로그램 실태와 교육내용 분석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Curriculum Analysis of the Preschool Private Education Program of Cultural Centers)

  • 이영주;길효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3-289
    • /
    • 2013
  •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보육기관 특별활동 프로그램 구성 요구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영유아 자녀를 가진 학부모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교육의 형태인 문화센터 프로그램의 전국적인 개설 현황 실태와 주된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실태 조사는 전국에 점포를 가진 대형할인점, 백화점의 문화센터 8개소 총 300개 문화센터의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내용분석은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가진 문화센터 3곳의 400개 영유아 프로그램의 강의계획안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분석기준은 영아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유아는 누리교육과정의 영역과 내용범주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태 분석 결과, 영아용 프로그램은 총 12,286개로 나타났으며 종합, 신체운동, 예술경험의 음악 이 순서대로 나타났다. 유아용 프로그램은 15,310개였으며 신체운동 건강, 예술경험의 미술, 자연탐구의 수, 조작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프로그램 내용을 내용범주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영아는 신체운동 영역의 '신체활동 참여하기', 유아용 프로그램은 예술경험 영역의 '예술적 표현하기' 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기관의 특별활동 프로그램 구성에 영아의 경우, 신체 활동 참여를, 유아의 경우 예술적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프로그램을 학부모들이 요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교사의 표준보육·교육과정 실행이 유아의 발달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실내·외 자유놀이 시간과의 비교 (Comparative Effects of Teacher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s and Free Play Time on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 이수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37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on children's development in Korea, focusing on teachers' daily practice. By compar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to that of quantitatively measured free play, it tried to add practical implications beyo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512 three-year-ol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and their teacher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and free play time at the age of three was put in the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s to discover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t the age of four, in domains of language,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on every domain of developmental outcomes. However, no facilitative influence of free play time was observed. Conclusion/Implications: The importance of teachers' prac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was emphasized. It was implied that the quantity of free play time itself did not assure the sound development of children.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eacher practice and education.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Moderates the Effect of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 유승희;김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9-6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 및 강원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500명에게 질문지를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수효능감의 측정을 위해 Luo(2000)의 도구를 정정희(2001a)가 수정, 번안한 영유아교사용 수학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학적 태도의 측정을 위해 Smith(2000)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측정을 위해 홍희주(2012)가 개발한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를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을 통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한다. 즉,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을 경우 수학적 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밝혀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initiativeness)

  • 최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1-238
    • /
    • 2011
  • 본 연구는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 만5세 두 학급의 유아 34명이었다. 실험을 하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에게 주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도성은 정서능력, 의사소통, 성취동기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연극놀이 활동은 실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비교집단에는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표준 보육과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는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극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주도성의 하위 영역인 정서능력, 의사소통, 성취동기 등 하위 요소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