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initiativeness  

Choi, Kyoung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숭의여자대학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7, no.3, 2011 , pp. 211-23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rama play activities on child's initiat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34 five-year-old children in two classes of a child care center. Before the experiment, the initiativeness test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initiativeness was categorized into emotional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Drama play activities were directed to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 group while the exist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both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ook the post-test.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by ANCOV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children of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drama play activities showed more effects in all sub area of initiative including emotional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an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mplied that dramatic play activities a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child's initiativeness.
Keywords
dramatic play activities; initiativeness; emotional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chievement motiv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치원 지도서 1(총론). 서울: (주) 두산.
2 김승현 (2006). 교육연극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지성, 이성은 (2004).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5(2), 43-61.
4 나옥선 (2010). 유아 주도적 그룹게임이 주도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5 남현주 (2002). 연극 교육을 위한 연극 놀이 지도방법 연구 : 유아, 초, 중등 연극 교육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박선희 (2000). 유아의 창의적 극놀이를 위한 교수-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29(1), 65-93.
7 배선희 (2005). 몬테소리 교육이 유아의 자기 주도성과 대인 관계 형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백성희 (2000). 연극놀이 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성민정 (2004). 연극놀이를 통한 아동의 정서함양에 관한 연구. 동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송성심 (2005). 교육연극 활용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송순임 (2001).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가 유아의 창의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심영보 (2010). 연극놀이를 통한 아동의 상상력 발현과 상상력 증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오숙현 (2003). 유아기 주도성 형성교육 탐색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27-251.
14 오숙현 (2004).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함양을 위한 주도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소은 (2000). 유아의 일상 활동과 자기 주도성.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3(1), 35-48.
16 이한준 (2003). 연극놀이를 통한 말하기 불안 해소 방안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이혜선 (2008). 아동기의 올바른 성장(의사표현) 활동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임자영, 이대균 (2007).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99-122.
19 장미경 (2010).동시를 활용한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장현진 (2009). 만3세 유아 동극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유진 (2009).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이론과 실천. 19(1), 191-215.
22 정현희 (2007). 인물이야기를 활용한 SWOT 모델 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도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1), 21-36.
23 한지혜 (2008). 자유롭게 움직이고 표현하기. 경남: 경남대학교 출판부.
24 Brockett, R. G. and Hiemstra, R. (1991)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5 Brown, V. & Pleydell, S.(1999). The dramatic difference. Porthmouth, NH: Heinemann.
26 Cornett, C. E. (2007). Creating meaning through literature and the arts: an integrated resource for classroom teachers (3rd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Inc.
27 Erikson,E.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W.W. Norton & Co.
28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1992). The HighScope child observation record for Age $2{\frac{1}{2}}-6$: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ssessment tool. Ypsilanti : High/Scope Press
29 Freeman, G. D., Sullivan, K. C., Fulton, C.R. (2003). Effects of Creative Drama on Self-Concept,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3), 131-138.   DOI   ScienceOn
30 Heining, R.B. & Stillwell. L.H. (1974). Creative dramatics for the classroom teacher.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31 Karakelle, S.(2009). Enhancing Fluent and Flexible Thinking through the Creative Drama Process.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4(2), 124-129.   DOI   ScienceOn
32 Long, H .B. (2001).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information age. Boynton Beach, FL : Motorola University.
33 Mages, W. K.(2008). Does Creative Drama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1), 124-152.   DOI   ScienceOn
34 McCaslin, N.(2000).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and beyond(8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Inc.
35 Oddi, L .F. (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36(2), 97-107.   DOI
36 Raines, S. C. & Isbell, R. T. (1994). The Child's Connections to the Universal Power of Story. Childhood Education, 70 (3), 164-67   DOI
37 Smith, J. T. (1994).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facilitating play in the early years. NJ : Prentice-Hall.
38 Wagner, B. J.(1999). Dorothy heathcote: drama as a learning media(revised ed.). Portland, Maine: Calendar Islands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