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보육과정의 연구동향 및 운영실태 관련 연구 분석: 제3차 표준보육과정 시행 이후 연구를 바탕으로

Research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Trend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Based on Research After the 3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 김세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투고 : 2021.04.07
  • 심사 : 2021.06.07
  • 발행 : 2021.06.30

초록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research in relation to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and then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 about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The analytic data utilized in this research contains a total of 45 research results about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methods we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and contents and programs of Childcare Curriculum received high attention. Second, while, childcare teachers showed an awareness of the Childcare Curriculum, they made few effort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it in depth. It was reported that a lack of multiple support systems would serve as an obstacle to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Conclusion/Implications: There is a need for childcare centers, academic circles and the government to pay an even greater deal of attention to the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In addition, structural and policy support is required, such as revitalizing case-based teacher training, lower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for infant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애, 나인선 (2018). 유아교육과정 및 누리과정 연구동향 분석: 2007년~2017년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연구, 20(1), 57-82. doi:10.15409/riece.2018.20.1.57
  2. 김민희 (2015). 누리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49-167. doi:10.14698/jkcce.2015.11.149
  3. 김수연 (2014). 영아반 보육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실, 신애선 (2014).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6년~2012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86, 79-105.
  5. 김지영 (2014).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810-817. doi:10.5392/JKCA.2014.14.10.810
  6. 김지영, 김동례 (2016).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318-326. doi:10.5392/JKCA.2016.16.05.318
  7. 김지현, 양옥승 (2009). 어린이집에서 영아 보육이 지니는 의미: 보살핌과 가르침. 유아교육연구, 29(2), 163-189. doi:10.18023/kjece.2009.29.2.008
  8. 김지혜 (2020).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주 (2016).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389-396. doi:10.5762/KAIS.2016.17.8.389
  10. 남미경, 김인숙 (2017).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자연친화활동에 대한 동향분석과 보육교사의 인식 조사. 생태유아교육연구, 16(3), 173-193.
  11. 박고은 (2018). 표준보육과정의 영아권리에 대한 내용분석과 보육교사의 인식.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라영 (2014). 표준보육과정 과학적 탐구하기를 기초로 한 영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운영 및 요구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하나 (2015). 제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 보육 프로그램의 만2세 신체영역 활동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창현, 이경화, 이민희 (2017).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 성격에 부응하는 누리과정 운영개선방안(연구보고 2017-18).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2&manage_idx=31&board_idx=28399에서 2021년 4월 6일 인출
  15. 보건복지부 (2017. 12).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발표.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 MENU_ID=0403&page=1&CONT_SEQ=343320에서 2021년 5월 18일 인출
  16. 보건복지부 (2021). 보육통계 2020년 12월 말 기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65506에서 2021년 5월 18일 인출
  17. 엄경희 (2015). 표준보육과정 과학적 탐구에 대한 영아반 교사의 필요성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가정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소연 (2018). 만 2세 표준보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육 내용분석: 어린이집 교육계획안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주연, 이승연 (2015). 영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의 힘.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257-288. doi:10.24211/tjkte.2015.32.2.257
  20. 이미화, 민정원, 엄지원, 윤지연 (2013).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연구보고 2013-1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1&manage_idx=30&board_ idx=28321에서 2021년 4월 6일 인출
  21. 이미화, 정주영, 엄지원 (20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만 0-2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육아정책연구, 8(2), 111-131.
  22. 이승연, 권수현, 권연정, 김언경, 나영이, 유주연 등 (2015). 국내외 '영아' 관련 연구물의 최근 동향 분석: 2000년~2013년 발간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과학연구, 46(3), 91-117. doi:10.15854/jes.2015.09.46.3.91
  23. 이영환, 서현아, 윤정진 (2013).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09-342.
  24. 이정미 (2017). 0-2세반 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도와 교수효능감의 관계.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최효미, 이재희, 이윤진 등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보고(11-1352000-000961-1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4&manage_idx=33&board_idx=28628에서 2021년 4월 6일 인출
  26. 장상옥 (2017).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의 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2(2), 1-29. doi:10.20437/KOAECE22-2-01
  27. 장선후 (2020).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만 2세 표준보육과정과의 연계 가능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선아 (2014).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47-164. doi:10.14698/jkcce.2014.10.1.147
  29. 정정희, 이효림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누리과정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389-406. doi:10.20437/KOAECE22-4-17
  30. 주현미 (20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및 운영 실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목화, 이미영, 나종혜 (2011). 영아반 보육계획안 분석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897-915. doi:10.5934/KJHE.2011.20.5.897
  32. Bussey, K., & Hill, D. (2017). Care as curriculum: investigating teachers' views on the learning in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 Care, 187(1), 128-137. doi:10.1080/03004430.2016.1152963
  33. Dodge, D. T. (1995).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 achieving quality child day care programs. Child Welfare, 74(6), 1171-1188.
  34. Bennett, J. (2005). Curriculum issues in national policy-making.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3(2), 5-23. doi:10.1080/13502930585209641
  35. OECD (2012). Star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신동주, 장혜진, 이경옥 옮김).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http://books.google.co.kr/books/about/Starting_Strong_III.html?id=dm0zUy3ie2AC&printsec=frontcover&source=kp_read_button&redir_esc=y#v=onepage&q&f=false 에서 2021년 5월 18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