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y on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and Infant-Parent Interaction  

Lee, Sook Hwa (경산시 아이러브어린이집)
Hwang, Sung Ha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Nam, Mi Kyoung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6, no.3, 2010 , pp. 103-1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1 or 2 years old infant to target infant care facilities and the sense of family activitie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and infant-parent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y is effective in the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Second,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y is effective in the infant-pare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6 infants of 1-2 year old and their mother or father 56 people in S and D infant care facilities in K city. S infant care center, experimental group, carry out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y. D infant care center is control group to apply an integrated program. The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y are conduct on 24 times, 3 times a week, totally 8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ies are partially effective on the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home and child care center will be done in conjunction with sensory activities are needed. Second,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infant-parent inter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o improve infant-paren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ies. In conclusion, child care center-family linked sensory activities are correlated in positive effects o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 infant-parent interaction.
Keywords
Child Care Center-Family Link; Sensory Activity; Physical Development; Infant-Parent Inter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숙현 (2002). 교수-학습 과정 되돌아보기: 유아교사의 반성적 평가 탐구. 서울: 창지사.
2 권혜련 (2004). 아동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발달 및 감각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숙 (2008).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중도 중복 장애아동의 신체자아개념 변화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명지 (2002). 감각운동훈련이 영아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5 김성자 (2007). 가정연계 유아 책 읽기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주 (2007).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의 식습관과 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욱 (2007). 청각장애 아동 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8 김현희 (2009). 보육시설-가정연계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이 영아의 읽기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 및 모-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9 김효진 (2005). 엄마와 함께하는 영아놀이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희정 (2009). 가정과 연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민지 (2008). 기질의 같고 다름에 따른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보건복지가족부 (2009). 보육통계.
13 삼성복지재단 (2003). 삼성어린이집 영아프로그램. 서울: 다음세대
14 신의진 (2002). 조기교육발달과 병리적 문제. 한국아동학회 2002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7-42.
15 안은주 (2001).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발생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오혜정 (2008). 부모지원-가정 중재가 청각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여성가족부 (2007). 표준보육과정 총론. 서울: 여성가족부.
18 유은석, 민혜경 (2008).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 관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22.
19 유은석 (2006).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 관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보육프로그램: 1세-2세 영아프로그램. 서울: 여성가족부.
21 이기숙 (2002). 가정에서의 유아조기교육 특기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3), 157∼171.
22 이민경 (2008). 신체발달이 영아의 운동능력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선희 (2007). 가정연계 유아수학 교육활동을 통한 부모의 교육적 인식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수남 (2001). 가정연계 과학활동이 유아의 호기심, 부모의 과학태도 및 부모-자녀의 과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영, 김온기 (2000). 엄마와 함께 하는 영아 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 - 영아 관계 및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3), 67-84.
26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 (2002). 교사용 1.2세 영아의 영아발달평가도구. 서울: 다음세대.
27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아동교육연구부 (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8 장영희 (2000). 영아교육과정. 서울: 양서원.
29 전연주 (2006). 가정연계 자연탐구중심 유아과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조은희 (2008).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이 발달지연아동의 발달 및 감각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주영은 (2009). 감각운동중심 영아프로그램이 운동능력과 애착관계에 미치는 영향: 6∼12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최선경 (2005). 가정과 연계된 유아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 기본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정옥 (2006).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과학개념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헌 (2007).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현미선 (2004). 부모와 함께하는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영아의 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서울 지역의 12∼36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황순각 (2002). 유아 신체활동-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37 황지현 (2002). 가정과 연계한 성 평등 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Abbott-Shim, M. M. & Sibely, A. (1987).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Quality Assist, Inc.
39 Bloom, D. (1985). Reading as social process. Language Arts, 62(2), 122-144.
40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Retrospective and propect. America. J. Orthopsyiat, 52(4), 664-678.
41 Hughes, F., Elicker J., & Veen, L. C. (1995). A program of play for infants and their caregivers. Young Children, 50(2), 52-57.
42 Hunt, J. M. (1961). Intelligence and experience. New York: Ronald.
43 McCurdy, K & Daro. D. (2001). Parent involvement in family support programs: An integrated theory. Family Relations, 50, 133-121.
44 Whaley, L, F., & Wong, D. L. (1993).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5th ed), St. Louis: Mos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