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1.17.01.019

Comparative Effects of Teacher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s and Free Play Time on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Lee, Suhyun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7, no.1, 2021 , pp. 19-3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on children's development in Korea, focusing on teachers' daily practice. By compar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to that of quantitatively measured free play, it tried to add practical implications beyo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512 three-year-ol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and their teacher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and free play time at the age of three was put in the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s to discover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t the age of four, in domains of language,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on every domain of developmental outcomes. However, no facilitative influence of free play time was observed. Conclusion/Implications: The importance of teachers' prac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was emphasized. It was implied that the quantity of free play time itself did not assure the sound development of children.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eacher practice and education.
Keyword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preschool development; free play;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명순 (2005). 표준보육과정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 김명순, 신윤승, 채은화 (2016).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과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43-56. doi:10.5723/kjcs.2016.37.2.43   DOI
3 김수향, 진선량 (2014).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 과정이 만 2 세 영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419-443.
4 김숙자, 김희경 (2010). 표준보육과정의 보육프로그램에 나타난 소비자 교육내용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55-284.
5 김영옥, 조부경, 홍혜경, 김희진 (2005).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유아교육연구, 25(4), 53-80.
6 김은혜 (2009).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이용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영 (2014).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810-817. doi:10.5392/JKCA.2014.14.10.810   DOI
8 강현미, 황해익 (2011).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관찰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32(5), 167-183.   DOI
9 김경미 (2009). 만 2 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원, 민희숙, 방승연 (2014). 누리과정에 근거한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1), 227-249. doi:10.18023/kjece.2014.34.1.010   DOI
11 김지영, 김동례 (2016). 제 3 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318-326. doi:10.5392/JKCA.2016.16.05.318   DOI
12 김현경, 김소향 (2013). 어린이집 만 2세 표준보육과정과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연계성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503-523.
13 김현주 (2016).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389-396. doi:10.5762/KAIS.2016.17.8.389   DOI
14 김은설, 유해미, 엄지원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남미경, 김인숙 (2017).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 의 자연친화활동에 대한 동향분석과 보육교사의 인식조사. 생태유아교육연구, 16(3), 173-193.
16 남미경, 윤갑정 (2015).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 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189-210. doi:10.14698/jkcce.2015.11.189   DOI
17 마미정 (2017).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도가 보육과정 운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8(5), 337-355. doi:10.22143/HSS21.8.5.19   DOI
18 서현, 오선희, 박미자 (2016).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25(1), 119-140. doi:10.17643/KJCE.2016.25.1.07   DOI
19 박고은, 장명희 (2019). 표준보육과정에 나타난 영아권리에 대한 분석 및 보육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50(2), 29-60. doi:10.15854/jes.2019.6.50.2.29   DOI
20 서윤희, 변선주 (2019). 2세 표준보육과정, 3-5 세 누리과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수학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8(2), 149-181. doi:10.21183/kjcm.2019.6.18.2.149   DOI
21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 (2010).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5(1), 5-25. doi:10.16978/ecec.2010.5.1.001   DOI
22 신경옥, 정선영 (2014). 제 3 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영아용 의사소통 척도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465-493.
23 신근영, 이영자, 이기종 (2019). 제 3 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 만 2 세용 사회관계 영역 척도 개발 연구. 문화와융합, 41(3), 1167-1218.
24 안영혜, 정선영, 홍순옥 (2012).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 아동교육, 21(2), 161-180.
25 양옥승 (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20(1), 53-73.
26 엄정애 (2004). 놀이와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 유아교육연구, 24(1), 145-164.
27 오연주 (2007). 한국의 표준보육과정과 일본의 보육지침에서 건강영역의 비교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479-503.
28 오연주 (2009).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의 행복 관련 요소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1), 23-44.
29 유소연, 이순복 (2019). 만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교육논총, 39, 205-226. doi:10.25020/je.2019.39.1.205   DOI
30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 (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살펴본 0-2 세 보육과정, 3-5 세 누리과정의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171-195.
31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곽영숙, 유영의 등 (2008). 영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평가 도구. 서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교육과학기술부.
32 이만수 (2014). 누리과정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1-17.
33 이석순 (2007).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1(4), 183-208.
34 이승미 (2010).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교육과정연구, 28(2), 59-90. doi:10.15708/kscs.28.2.201006.003   DOI
35 이지현, 전홍주, 박은혜 (2012).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4), 253-279.
36 이현숙, 이기숙 (2003).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 운영 현황. 유아교육연구, 23(3), 43-67.
37 이혜은, 황해익 (2006).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 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수학영역 평가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6(6), 128-152.
38 이훈희 (2008).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임영심 (2009). 표준보육과정과 2007 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2), 201-222.
40 장영희, 엄정애, 박수진, 강유선 (2007). 유치원 교육과정'사회생활영역'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연구, 41, 1-34.
41 정선아 (2014).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 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 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47-164. doi:10.14698/jkcce.2014.10.1.147   DOI
42 Buckner, J. C., Mezzacappa, E., & Beardslee, W. R. (2003). Characteristics of resilient youths living in poverty: The role of self-regulatory process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5(1), 139-162. doi:10.1017.S0954579403000087   DOI
43 조주랑 (2011).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13(1), 227-247.
44 조혜영, 황인주 (2012). 5 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32(5), 181-205. doi:10.18023/kjece.2012.32.5.009   DOI
45 지성애 (2008).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2(3), 91-110.
46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 (PIPPS) 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47 Barker, J. E., Semenov, A. D., Michaelson, L., Provan, L. S., Snyder, H. R., & Munakata, Y. (2014). Less-structured time in children's daily lives predicts self-directed executive functioning. Frontiers in Psychology, 5, 1-16. doi:10.3389/fpsyg.2014.00593   DOI
48 Dearing, E., Zachrisson, H. D., Mykletun, A., & Toppelberg, C. O. (2018). Estimating the consequences of Norway's national scale-u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beginning in infancy) for early language skills. Aera Open, 4(1), 1-16. doi:10.1177/2332858418756598   DOI
49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B.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doi:10.1016/S0885-2006(99)80048-9   DOI
50 Fisher, E. P. (1992). The impact of play on development: A meta-analysis. Play & Culture, 5(2), 159-181.
51 Gallagher, T. M. (1993). Language skill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school-age children.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4(4), 199-205. doi:10.1044/0161-1461.2404.199   DOI
52 지성애, 박찬옥, 유구종, 조형숙 (2010).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4(5), 99-133.
53 Hol, T., Van den Berg, C. L., Van Ree, J. M., & Spruijt, B. M. (1999). Isolation during the play period in infancy decreases adult social interactions in rats. Behavioural Brain Research, 100(1), 91-97. doi:10.1016/S0166-4328(98)00116-8   DOI
54 Loeb, S., Bridges, M., Bassok, D., Fuller, B., & Rumberger, R. W. (2007). How much is too much? The influence of preschool centers on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6(1), 52-66. doi:10.1016/j.econedurev.2005.11.005   DOI
55 Ladd, G. W., Price, J. M., & Hart, C. H. (1988). Predicting preschoolers' peer status from their playground behaviors and peer contacts. Child Development, 59(4), 986-992. doi:10.2307/1130265   DOI
56 Lehrer, J. S., Petrakos, H. H., & Venkatesh, V. (2014). Grade 1 students' out-of-school play and its relationship to school-based academic, behavior, and creativity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3), 295-317. doi:10.1080/10409289.2013.81723   DOI
57 Lester, S., & Russell, W. (2010). Children's Right to Play: An Examination of the Importance of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Worldwide [Working Paper No. 57]. The Hague, The Netherlands: Bernard van Leer Foundation.
58 Pellis, S. M., & Pellis, V. C. (2007). Rough-and-tumble play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brai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2), 95-98. doi:10.1111/j.1467-8721.2007.00483.x   DOI
59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4), 960-980.   DOI
60 Orth, U. (2013). How large ar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ersonality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for shared method varia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9(10), 1359-1372. doi:10.1177/0146167213492429   DOI
61 Spinka, M., Newberry, R. C., & Bekoff, M. (2001). Mammalian play: training for the unexpected. Quarterly Review of Biology, 76(2), 141-168. doi:10.1086/393866   DOI
62 Wimmer, H., & Perner, J. (1983). Beliefs about beliefs: Representation and constraining function of wrong beliefs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ception. Cognition, 13(1), 103-128. doi:10.1016/0010-0277(83)90004-5   DOI
63 Ramani, G. B., Brownell, C. A., & Campbell, S. B. (2010).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 in 3-and 4-year-olds in relation to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1(3), 218-250. doi:10.1080/00221320903300353   DOI
64 Van den Berg, C. L., Hol, T., Van Ree, J. M., Spruijt, B. M., Everts, H., & Koolhaas, J. M. (1999). Play is indispensable for an adequate development of coping with social challenges in the rat. Developmental Psychobiology, 34(2), 129-138. doi:10.1002/(SICI)1098-2302(199903)34:2<129::AID-DEV6>3.0.CO;2-L   DOI
65 Veiga, G., Neto, C, & Rieffe, C. (2016). Preschoolers' free play - connections with emotional and social functio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motional Education, 8(1), 48-62.
66 Werner, E. E. (2003). Protective factors and individual resilience. In S. J. Miesels & J. P. Shonkoff (Ed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97-116).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