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상담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9초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조동헌;이형국;배성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0-208
    • /
    • 2019
  •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Families on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장옥수;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3-236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 60명(실험 30명, 통제 3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진로인식이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진로인식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의 하위요소인 자기이해, 직업세계 인식, 진로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PDF

고등학생의 개인적·사회적요인, 학교진로교육 경험과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social factors, and school career experience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 김미란;한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99-405
    • /
    • 2018
  • 본 연구는 융복합연구로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7년 5월 2일부터 12월 2일까지 대전 충청지역 소재 8개 고등학교 1~3학년 총 143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한 조사연구이다. 설문은 진로관련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학교진로교육 경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포함하였다. 기술분석과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는 진로에 대한 가족상담의 경험과 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것처럼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에는 부모가 자녀의 진로탐색에 상담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부모를 포함시켜야 하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상담심리학 전공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Psychology Major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박종환;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06-420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상담심리학 전공 인식에 관하여 Glaser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상담심리학을 전공하는 3, 4학년 학생 중에서 19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는데, 5개월 동안 이들을 중심으로 개별 인터뷰 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는 103개의 개념, 26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 범주, 1개의 핵심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참여자들은 사람들의 마음의 짐을 덜어주고 싶고, 치료자가 되고 싶은 희망을 품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 중에는 전공영역에 대한 자신의 성격과 적성면에서 '전공과 잘 어울린다.' '잘 선택했다.'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 등의 기쁨과 만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적성의 부조화, 상담사 역할의 부담감, 전공에 대한 거부감 등, 전공의 부적합성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이 전공 학습에서 유용성을 발휘하였을지라도 전공영역의 진로에 대한 인식은 고민과 갈등으로 작용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고민과 갈등은 앞으로 장기간 공부함으로 생기는 금전적 어려움, 직업적 열악한 조건, 감정소모가 심한 직업에 대한 부담감, 상담직에 대한 두려움, 학부 졸업의 한계, 진로의 불확실성 등에 관한 인식으로 전공 진로 선택의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이해와 성장 그리고 상담사의 꿈 실현 의지'라고 하는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이 가진 전공 인식은 자신에 대한 변화와 성장 그리고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 형성, 더불어 전공과 자신의 적성과의 적합성에 대한 만족 등은 진로에 대한 고민과 갈등 상황에서도 전문 상담사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의지를 간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 박대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59-367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진로 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취업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 G도, B와 G광역시에 소재한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임의선정 및 편의표집을 통하여 450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7일부터 9일까지 참여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4.0 for Window를 이용하여, 4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고, 전공과 직업선택에 있어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및 지원이 요구된다.

지식기반 학사지원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박득;고일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21세기지식경영과 정보기술
    • /
    • pp.713-721
    • /
    • 1999
  • 최근 대학들은 학부제 시행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목선택권이 확대됨으로써 수강신청시 학사진도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맞는 좀 더 바람직한 교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는데 체계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목표\ulcorner진로에 맞는 교과과정을 원활히 이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교과목선정에 대한 상담을 지원하는 지식기반 학사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고자 한다. 개발될 학사지원시스템은 지도교수의 시간부담을 줄이고, 학생들에게는 언제든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강신청시 교과목 선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실태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Guidance at Vocational High Schools)

  • 이병욱;정현옥;이찬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7-106
    • /
    • 2012
  • 이 연구는 전문계 고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진로지도 실태 및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한 학생, 교원, 학생과 교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전문계 고교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 전문계 고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미흡하다고 나타났으며, 진학지도에 비해서 취업지도가 더 미흡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대체로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진로지도를 위한 전담교사 배치, 진로상담실, 최신 진로 정보 확보 및 활용, 진로지도를 위한 인터넷 사용가능 정보 검색 시스템은 충분하다고 응답한 반면,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 진로상담실의 운영예산,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는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진로지도 여건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교장, 교감, 교사 순으로 충분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장은 모든 문항에서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감은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과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에 대해서만 부족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는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에 대해서만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장, 교감 교사 사이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서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을 제외하고 교장은 교사에 비해서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학생은 모든 문항에서 부족하다고 응답했지만, 교원은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충분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중에서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것은 인터넷 사용 가능 정보검색 시스템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235-250
    • /
    • 201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이들 두 집단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성별,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고,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발달의 하위영역 중 학업 직업탐색 영역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면 두 집단 모두 진로발달과 자아개념은 매우 높은 상관이 있는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경우 상관 정도가 약간 높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모두 학업적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공통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이 갖는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학령기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Influencing Factors)

  • 최정아;서준호;양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03-217
    • /
    • 2020
  • 본 연구는 특정전공 대학생들이 해당전공을 선택하기까지 전 학령기에 걸쳐 형성되는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을 조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커리어오그램을 사용하여 글로벌통상학과와 영문학과 대학생들이 초·중·고·대학에 이르는 진로발달과정자료를 수집, 텍스트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 진로발달양상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달시기별 진로목표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맥락적 요소는 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의 경우 전 학령기 중 중학교 시기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가정환경 및 친구와 함께 개인의 진로포부수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진로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빅데이터와 상담학 두 분야의 융합을 통한 학령기 진로지도 및 교육 분야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와 진로인식 (Career Interest and Career Awaren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1-1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성별, 연령별, 다문화 여부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과 전남의 4-6학년 초등학생 341명(다문화: 165명, 일반: 17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흥미는 성별 주효과가 있었는데, 탐구형은 남학생이 높고, 예술형과 사회형은 여학생이 높았다. 다문화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로인식은 다문화와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다문화의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태도 및 진로인식 총점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성별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인식 총점에서 유의하였으며 여학생이 높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을 보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으며, 진로인식의 경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직업세계 인식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전 영역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의 상관관계는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보다 뚜렷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이 진로인식과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여부가 직업세계 인식과 진로태도, 진로인식 총점에 대해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진로인식에 영향력 있는 진로흥미는 사회형과 예술형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의 영향이 컸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관련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