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Guidance at Vocational High Schools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실태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 이병욱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계.금속공학교육과) ;
  • 정현옥 (유성구 평생학습센터) ;
  • 이찬주 (양평공업고등학교)
  • Received : 2012.02.01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an efficient career guidance method of Vocational High Schools on the basis of analyzing awareness differences in students,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s well as awareness differences according to a position of teachers in terms of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guidance and improvements with the target of students and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awareness of students on the career guidance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s is insufficient, and students answered that employment guidance is more insufficient compared to educational guidance.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students on the career guidance conditions appeared to be generally insufficient. Second, in case of awareness of teachers on the career guidance condi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eachers answered that arrangement of teachers in full charge of career guidance, career counselling room, securing and utilization of latest care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 systems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for career guidance are sufficient, whereas they answered that time for career guidance, operating budget of a career counselling room and linkage with external institutions are insufficient. Third, they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generally sufficient in the order of a principal, vice-principal and teachers. The principal is cognizing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sufficient all question items, and the vice-principal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insufficient in only operating budget of a career counselling room and linkage with external institutions. Teachers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insufficient in only time for career guidance, operating budget of a career counselling room and linkage with external institutions. In addition, compared to teachers, the principal was cognizing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sufficient except operating budget of the career counselling room through analysis of awareness difference among principle, vice-principle and teachers. Fourth, students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insufficient in all question items, but teachers cogniz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sufficient in all question items excluding time for career guidance. Among them, what showed a difference of the biggest awareness was analyzed as information search systems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이 연구는 전문계 고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진로지도 실태 및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한 학생, 교원, 학생과 교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전문계 고교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 전문계 고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미흡하다고 나타났으며, 진학지도에 비해서 취업지도가 더 미흡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대체로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진로지도를 위한 전담교사 배치, 진로상담실, 최신 진로 정보 확보 및 활용, 진로지도를 위한 인터넷 사용가능 정보 검색 시스템은 충분하다고 응답한 반면,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 진로상담실의 운영예산,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는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진로지도 여건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교장, 교감, 교사 순으로 충분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장은 모든 문항에서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감은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과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에 대해서만 부족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는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에 대해서만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장, 교감 교사 사이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서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을 제외하고 교장은 교사에 비해서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학생은 모든 문항에서 부족하다고 응답했지만, 교원은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충분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중에서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것은 인터넷 사용 가능 정보검색 시스템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규 (2004).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지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나라 (2008).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개발 실태 분석: 일반계 고교생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김충기(198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배영사
  4. 김평훈(2008).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 및 진로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맹영임, 임경희 (2008).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박정민 (2006). 부산광역시 실업계 고등학교 진로지도 실태 및 개선방안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윤성남 (2007). 울산광역시 실업계고등학생의 진로지도 실태와 개선방안.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8. 이병욱(2005). 직업교육기피 현상의 원인인 "학벌주의"에 대한 인식과 극복 방안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0(1), 149-159.
  9. 이영동(2006). 실업계고등학교 진로지도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정근(1992).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1. 이지연. 최동선. 정일동(2005). 초중등 진로직업교육 혁신방안 :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임병웅 (2009).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개선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 34(1), 171-195.
  13. 장유식 (200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아인식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연순, 유병민, 진성미, 남영옥 (2010). 계열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2), 185-212.
  15. 정혜란(2001).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조강희 (2007). 특성화 고교의 진로지도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산업과 경영, 20(1), 237-252.
  17. 최인재 (2010). 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