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 Received : 2019.02.05
  • Accepted : 2019.03.2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in the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To accomplish this purpose, pre-survey & pre-survey, sucess case method, and return on expectation were investigated after 3 months complet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population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136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who complet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at the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in July, 2018, and it was conducted by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job implementation. Among the 136 trainees who completed the training, 75 responded to the job implementation survey and 4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ccessful case technique. As a result, the average value of job implementation was 4.17 out of 5 points, which was relatively high. The success case technique was analyzed by interviewing success cases and failure cases. Behavior change according to job implementation was the biggest role of Planner, followed by role of Instructor, role of Career educator, role of Learner. In addition, the case analysis provided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ers in terms of motivation, competence, and environment for job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 return on expectation, 85.3%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and the net promoter score was .85, indicating that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agai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it will be required to study about new training methods and extra factor analysis.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대혁(2018). 일반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교육부(2017). 2018년도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 교육부 정책보고서.
  3. 문대영(2015). 발명교사 교육센터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87-104.
  4. 서우석(2017). 4차 산업혁명과 진로교육.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12), 23-75.
  5. 안윤정, 임윤서 (2017).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진로교육의 방향모색.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7(18), 329-351.
  6. 오승국, 전주성, 박용호 (2014). 교육요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 보완 연구. 교육문제연구, 53(4), 77-98.
  7. 오인경(2000). Kirkpartrick의 4단계 평가 모델에 따른 기업내 웹 기반 교육의 학습 효과 평가.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1), 1-25.
  8. 윤성현(2017). 해양경찰 교육훈련이 현업적용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9. 이성흠, 김진규, 김기덕(2017). 현업적용도 및 성과향상도 측정을 위한 연수운영 매뉴얼 개발. 중앙교육연수원.
  10. 이지연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진로교육정책과 진로교육의 방향. The HRD Review, 20(5), 20-38.
  11. 이형국 외(2018). 운영성과 분석 및 교육과정 운영 매뉴얼 개발 연구. 중앙교육연수원.
  12. 임윤진, 최유현(2015).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23-39.
  13. 장현진, 이종범(2016).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진로교육연구, 29(3), 1-21.
  14. 홍후조 외(2017). 지능정보사회 대비 교원의 핵심역량 도출 및 교원 연수 분류체계 개발. 중앙교육연수원.
  15. Richey. R. C.(1992). Designing Instruction for the Adult Learner. London : Kogan Page Ltd.
  16. Reichheld, F. F.(2006). The microeconmics of customer relationship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47(2), 73-78.
  17. Wexley, K. N., & Latham, G. P.(1991). Developing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ers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