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수학교육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7초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 영향 변인 간 공통성 분석 (Commonality Analysis of Context Variables for Math Teachers' Confidence)

  • 박지현;이유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755-768
    • /
    • 2016
  • 교사의 수업자신감은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교사의 직업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도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TIMSS 결과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리나라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수업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교사경력, 수업준비도, 교사협력, 수업제한의 네 가지 맥락변인이 우리나라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변인들이 수업자신감의 변화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네 가지 예측 변인을 투입했을 때 수업준비도, 교사협력, 수업제한의 세 가지 변인이 수업자신감에 영향을 주고, 수업자신감의 변화에 대한 설명력의 경우 다른 변인이 합성되지 않은 수업준비도의 고유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지식에 대한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bout Teacher Knowledge)

  • 심상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443-4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식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임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의 반성과 개선에 대한 지식을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실제 수업에서는 수학적 개념과 학습 내용들 사이의 연계성과 위계성 등 상호 관계에 대한 지식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고 인식한다. 이러한 교사의 지식은 주로 수업 경험과 교사 연수를 통해 형성된다고 인식한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와 평가를 활용하는 지식에 대해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자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초임교사들이 교사의 지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교사 입문 프로그램과 멘토링의 활성화,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의 개선,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

  • PDF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odification of Derivative Tasks)

  • 김하림;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711-7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예비교사가 교과서의 수학 과제(Mathematical task)를 어떻게 변형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어떤 학습 기회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의 미분계수 단원에서 과제를 선정하고 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제 변형 활동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제는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들이 미분계수의 개념적 이해를 추구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둘째, 과제 변형 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학생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협업과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졌다.

수학사를 도입한 수학교육지도방법에 대한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

  • 장미화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6-89
    • /
    • 1984
  • 196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일어난 수학 교육현대화 운동은 범세계적인 문화현상으로서 발전하는 방향으로 철저히 진행되어야 했으나 교재내용을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교육의 현장에 선교사의 창조적 노력보다는 무비판적인 수학교육이 됨으로써 원래의 수학교육목표와는 달리 진도에만 급급하다. 현실적인 요인으로서 중등학교 진학률의 증가 및 평준화에 대한 원인도 있겠지만 시험에만 연결되는 교육에 이상적인 논리주의 구조주의 적인 수학의 도입도 적지않은 문제 요인으로 되어 있다. 앞으로 교과과정의 개선이 있겠지만, 우선 지도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수학사적 자료를 도입하여 수학의 역사 및 수학의 사상적 배경등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교과내용에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 PDF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탐색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Math and Mat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 심영훈;김지현;권민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59-181
    • /
    • 2023
  • 본 연구는 초점 집단 면담(FGI)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을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도구로서 인공지능 중 수학 교수 및 학습 도구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다양한 유형의 수학 수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의 면밀한 파악 및 학생들과 정서적 상호작용에 있어 인공지능 활용에 한계를 제시하였다. 도구로서 인공지능 중 수학 평가 도구로서의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문항 출제 및 채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던 반면, 논술형 문항 채점에서는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교과로서 인공지능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도입 취지와 학습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였으나 이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준비와 교수 학습 및 평가 자료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수학에서도 맞춤형 인공지능 학습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고, 교사들의 평가를 도울 수 있는 인공지능 평가 도구를 개발 및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인공지능 수학> 교과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컨텐츠 위주로 교과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and Utilization of Mathematics Room in the Elementary School)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4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에 관한 내용이 언급된 후, 중등학교에서는 2014년까지 모든 학교에서 수학교과교실제가 전면 시행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이 초등학교로 확장될 것으로 보고,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을 탐색하였다. 수학실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설문을 구성하여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학실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과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주요 기능으로 수학문화체험실, 수학레크리에이션실, 수학특별수업실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중등학교의 수학교과교실과는 차별화되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구성 및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환경 - 현재와 미래 (Learning Environment at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 김덕선;양정모;이상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5-45
    • /
    • 2004
  • "2002년 학술진흥재단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의 성균관대학교의 9과제 중 하나로 3분야인 "신규교과목 또는 교수학습 방법개발" 과제로 대학에서의 "수학강좌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 (선형대수학, 미적분학, 이산수학을 중심으로)" 내용과 그 부산물인 콘텐츠를 소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새로운 강의 환경과 교수법을 소개한다. 이어서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내용을 소개한 후 대학에서 개발되고 검증된 이런 교수법과 교육환경이 중등학교의 수학 교육 현장에 주는 의미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창의력 향상을 위한 JavaMAL Logo

  • 진만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3호통권20호
    • /
    • pp.117-126
    • /
    • 2004
  • Breidenbach et al(1992)는 APOS(Actions, Processes, Objects, Schemas)를 소개하였고 Sfard(1991)는 수학적 개념에서의 Process 와 Object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 발표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 이론들을 기반으로 초등학생(4$^{\sim}$6학년)과 중등 영재학생(1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조한혁의 JavaMAL Logo를 이용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Process와 Object의 의미와 이 개념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관계가 학생들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 PDF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중학교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Focused on the Area of Algebra-)

  • 노정학;양춘우;정환옥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275-294
    • /
    • 2003
  •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Korean and German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we investigated only the area of algebra, which is consisted of the three sections-section of numbers and arithmetic operations, section of letters and expressions, and section of rules and functions. We expect that this paper would contribute o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area in our nation's mathematical educations, including the organiz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curriculum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윤용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99-4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cooperative microteach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it after actual application cas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came into the highlight as a good method to cultiv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ir cooperative microteaching and 16 of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the merits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are to ease the burden of preparing for class, to discuss how to teach mathematics, to debate what lesson is better, to receive valuable feedback form their peer, and so on. Also, it provided them with the chance for self-improvement in that they kept to make up for the week points in their teaching behavior. Meanwhile, they wanted longer time to experience their teaching and their own les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