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읽기 능력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4초

노안안경과 모노비젼 콘택트렌즈 착용 후 적응 전 읽기 능력 평가 (Presbyopic Spectacle and Monovision for Reading Performance Before Adaptation)

  • 추병선;황정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3-268
    • /
    • 2010
  • 목적: 안구운동과 주시 능력은 독서 시 외적 정보를 얻기 위한 주요한 과정이며 명료한 시생활 조건의 주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주시 거리와 노안교정 방법의 다양한 조건에 의한 읽기능력과 주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평균 $48.1{\pm}4.2$세의 22명이 참여 하였으며, 각 피실험자는 실험에 적합한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안질환이 없으며 이전에 콘택트렌즈 사용 경험이 없고 단초점 근용안경을 제외한 어떠한 형태의 노안교정 경험이 없는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읽기시간과 주시 횟수는 단초점렌즈(SV), 이중초점렌즈(BIF), 누진렌즈(PAL) 그리고 모노비젼(MV)를 한 상태에서 안구추적 시스템(Eye Tracking System, ASL Mobile Ey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읽기능력의 평가를 위한 원근 주시 거리는 2m, 40 cm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근거리 읽기능력의 평가에 있어서 읽기시간과 주시 횟수는 본 연구에 사용된 단초점렌즈와 노안교정안경과 모노비젼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01), 특히나 단초점렌즈를 착용하였을 경우, 이중초점, 누진렌즈 그리고 모노비젼을 착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읽기시간과 주시시간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원거리 읽기능력의 평가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의 교정을 목적으로 안경렌즈나 콘택트렌즈와 같은 노안교정방법의 사용은 근업시 읽기와 주시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노안자에게 있어서 근거리 교정이 없는 단초점렌즈의 사용은 근거리에 대한 조절력 부족으로 인해 읽기시간의 증가와 주시 횟수 또한 증가함을 보였다. 추후 연구에는 본 연구에서는 노안교정의 무경험자를 대상으로 측정했으나 적응 능력을 고려한 노안교정 유경험자에 대한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출력활동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수 방안 연구 - 다시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Reading Educational Method by Using Output Task - focused on cases of retelling activity -)

  • 조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02-410
    • /
    • 2020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읽기 능력은 수업에서 강의를 듣거나 보고서를 쓰는 등의 활동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읽기 능력의 향상은 한국어 습득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출력가설을 이해하고 다시 말하기 활동을 제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한다. 출력은 보통 말하고 쓰는 능력의 향상을 위해 목표 언어를 발화하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을 강조하는 가설로 인식되곤 한다. 그러나 읽기 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도 출력활동의 효율성은 검증되고 있고 계속 연구되어 오고 있다. 출력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발화하도록 돕고 자신의 발화를 통해 목표언어와의 차이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지식을 내재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력가설의 한 활동으로 다시 말하기 활동을 제안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실제 수업의 예를 보여줌으로써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 또한 보여주고자 한다.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 김효진;손승희;나종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07-127
    • /
    • 2013
  • 본 연구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만 3~4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및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차이와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에 소재한 어린이집 7곳에 다니고 있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만 3~4세 유아 9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손승희(2012)가 개발한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검사와 최나야(2007)의 음운론적 인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 4세 유아가 만 3세 유아보다 환경인쇄물을 더 잘 읽었고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 3세 유아의 경우 환경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점수가 높았으며, 만 4세 유아의 경우 환경 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교육방안 연구 (The Study on Reading Education Method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for the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

  • 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23-131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부사관과 학생들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교육방안을 고찰하였다. 읽기의 정보 처리 과정에서 인지 능력이 부족할 경우 정보의 파악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를 정의하고 인지 능력과 관련된 읽기학습-기록-점검-변화라는 읽기 교육의 단계를 설정하였다. 부사관과에 적합한 읽기 교육은 교육여건을 반영한 읽기 자료를 선정하고 이를 의사소통 교육의 과제로서 부과하는 것이다. 포트폴리오 교수학습 전략을 통해 학습자가 포트폴리오 점검표, 회차 별 구성, 자가 점검 및 실천방향을 작성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인지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읽기와 점검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안이다. 끝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PDF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과학 텍스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mplementing Semantic Mapping Reading Strategy in Science Clas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Text Reading Ability)

  • 이수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5호
    • /
    • pp.376-389
    • /
    • 2022
  •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과학 텍스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소재의 과학중점학교 3학년 학생들(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사회과학적 이슈와 화학 개념에 대한 8개의 과학 텍스트를 이용하여 의미지도 읽기 전략 수업을 적용하였다.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과학 텍스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사전·사후 과학 읽기 능력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지도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과학 읽기 능력 검사 점수의 평균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읽기 과제를 해결하기 전에 의미지도를 그리는 것은 학생들이 텍스트에서 정보를 찾고, 의미를 추론하는 것에 효과가 나타났다. 학생들 역시 의미지도가 텍스트의 내용을 시각화하여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쉽고, 자신의 배경지식과 텍스트 내용을 연결시킬 수 있어 텍스트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 최선일;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49-6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읽기 이해 구성주의 모형과 읽기 이해 전략 모형에 따라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미성취 영재의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36명의 미성취 영재학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 후 읽기 이해 능력, 읽기 메타 인지 능력, 학교 성적 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을 이외의 다른 미성취 요인들로 인한 미성취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미성취 영재 학생과 그들의 선생님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과 읽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그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36명의 학생들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12명이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성취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게 읽기이해 전략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은 그들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on five-year-old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 차경나;배재정;정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8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잡힌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유치원 만5세 유아 36명을(실험, 통제집단 각 18명씩)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을 8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활용한 검사도구는 알파벳 읽기능력과 단어읽기능력은 이옥섭(1999)의 단어읽기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책읽기 능력은 Sulzby(1985)의 읽기 발달단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아들의 쓰기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ildreth(1936)와 Schikedanz(1986)의 쓰기 발달단계에 기초하여 이경화(199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읽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하위 요인가운데 알파벳 읽기와 단어읽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어책읽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쓰기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챗봇 활용 연구 (A Study on Chatbots for Developing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9-26
    • /
    • 2018
  • 본 연구는 챗봇의 활용이 국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및 읽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실험 참가자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이 챗봇과의 채팅을 통해 실제로 상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46명의 참가자를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누어 1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시작 전과 실험 종료 후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챗봇 활용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평가 결과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모두에서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듣기능력과 관련하여 실험그룹이 통제그룹보다 사후 평가에서 더 많은 상승폭을 보임으로써 듣기 능력 향상에 대한 챗봇 활용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영어 학습을 위한 챗봇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발달성 읽기 장애 진단을 위한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WORD/NONWORD READING TEST AND LETTER-SYMBOL DISCRIMINATION TASK FOR THE DIAGNOSIS OF DEVELOPMENTAL READING DISABILITY)

  • 조수철;이정범;정동선;신성웅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81-94
    • /
    • 2003
  • 목 적:발달성 읽기 장애는 정상적인 읽기 능력의 현저한 발달 저하나 지속적인 오류를 보이는 질환이며, 학령기 아동의 $3{\sim}7$%에서 관찰된다. 기존에 사용되는 기초학습기능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발달성 읽기 장애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 법:DSM-IV의 진단 기준과 임상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읽기 장애 아동 63명(평균 연령 10.48세)과 정상 아동 77명(평균 연령 10.3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기초학습기능검사의 읽기 I과 II목을 실시하였고,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를 시행하였다.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는 각 100문항씩의 익숙한 단어와 의미를 갖지 않는 생소한 비단어를 각각 1.2초와 2.4초안에 읽도록 하여, 이를 통해 자동화된 음운 처리 능력과 의식적인 글자-음소 처리 능력을 평가하였다. 글자기호감별검사를 통해 읽기 장애 환자들이 오류를 일으키는 거울상 반전 글자들의 조합을 판별하는 능력을 검사하였다. 이들 검사의 내적 일치도 등의 신뢰도 검사와 공존타당도, 구성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을 검증하였다. 결 과:단어/비단어 읽기 검사는 내적 일치도가 0.96으로서 신뢰할 수 있고, 기초학습기능검사와 0.94의 공존타당도를 나타내었으며, 단어와 비단어 모두 발달성 읽기 장애와 정상 아동을 통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판별 분석에서 원집단에 속한 83.0%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글자기호감별검사는 내적 일치도가 0.86으로서 신뢰할 수 있고, 기초학습기능검사와 0.86의 공존타당도를 나타내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안구 운동 거울상 처리, 전반적 정확성, 거울상 반전 오류, 정지상 처리, 전반적 기민성 부족, 부주의-충동성 등의 여섯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글자기호감별검사의 각 항목 별로 발달성 읽기 장애와 정상 아동을 통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판별분석에서 원집단에 속한 대상의 87.3%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결 론:발달성 읽기 장애 아동은 읽기 과정의 자동적인 시각-의미 연결 기전과 의식적인 형태소-음소 상응 규칙 적용 능력 모두에서 장애를 보였으며, 거울상 반전 오류 등 시각적 정보 처리 기능의 장애도 나타내었다. 이들 장애는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를 통해 신뢰할 수 있고 타당성 있게 구분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읽기능력과 양안시기능의 관계성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bility and Binocular Vision)

  • 김영지;이민아;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1-177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자가설문조사를 기초로 하여 읽기능력과 양안시기능간의 관계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용된 읽기검사법이 양안시기능 효율성을 감별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1차적으로 대학생 138명에 대해 읽기능력검사를 시행하여 72명(52.2%)을 선정한 다음, 1차 선정자들 중에서 난독증과 광과민성 정도와 관련된 자가설문조사를 통해 정도 수 3개 이상 해당자를 선별하여 38명(52.7%)을 2차선정하여 세 그룹으로 나누어 양안시 검사를 하였다. 양안시 검사로는 폭주근점, 원 근거리 사위량, 조절력, 융합여력, AC/A ratio, 조절 용이성, 버전스용이성을 검사하였다. 결과: 폭주근점은 읽기능력 상위그룹이 가장 가까웠으며 융합여력, AC/A ratio, 조절용이성 및 버전스용이성은 읽기능력 상위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사위도는 읽기능력의 중간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읽기능력과 일부 양안시기능의 관계성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안시기능 중 효율성이 떨어지는 부분과 관련하여 비젼트레이닝을 실시한다면 읽기능력의 증진에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