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Reading Education Method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for the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교육방안 연구

  • 유용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5.31
  • Accepted : 2018.06.29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deeper into a reading education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ies of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 level. Lack of the cognitive ability through the passing status of reading information processing highly can cause a problem for understanding information of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redefines the reading step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also, it sets up progress steps; material selection - learning - inspection - practice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ies. To achieve those goals, there are two major ways. The first, setting up a proper reading assignment that is suitable for petty officer major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 level is a key step for this study. Second, the instructor leads the students to judge their own cognitive ability objectively by using a portfolio curriculum which contains a checking list of the portfolio, structuring a curriculum based on weekly achievements, self-checking, and setting up a direction of practice. The two presented ways are the most effective ways to develop students' cognitive ability based on continuous reading and checking. For the last, the study mentions a proposal for further tasks in this field of the study.

본 연구는 전문대학 부사관과 학생들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교육방안을 고찰하였다. 읽기의 정보 처리 과정에서 인지 능력이 부족할 경우 정보의 파악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를 정의하고 인지 능력과 관련된 읽기학습-기록-점검-변화라는 읽기 교육의 단계를 설정하였다. 부사관과에 적합한 읽기 교육은 교육여건을 반영한 읽기 자료를 선정하고 이를 의사소통 교육의 과제로서 부과하는 것이다. 포트폴리오 교수학습 전략을 통해 학습자가 포트폴리오 점검표, 회차 별 구성, 자가 점검 및 실천방향을 작성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인지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읽기와 점검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안이다. 끝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환, '독서교육과 독서활동', 강남대학교 출판부, pp.33-35, 2006. 참조.
  2. 남강우, "미래전장 양상변화에 따른 영상정보 활용 및 네트워크 구축 방안", 아주대 석사논문, p.11, 2004.
  3. 유용태, "안보환경에 적합한 해군부사관과의 의사소통 교육방안 연구", 융합보안, 제16권 제3호, pp.3-4. 2016.
  4. 신규철, '자발적 다독법을 통한 통합적 읽기교육 연구', 한국학술정보, pp.72-73, 2006. 참조.
  5. LaBerge & Samuels, Toward a theory of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in reading, Cognitive Psychology 6, pp.293-323, 1974. https://doi.org/10.1016/0010-0285(74)90015-2
  6. Diane H. Tracey.Lesley Mandel Morrow 저, 박태호 외 역, '읽기 교육 이론의 새로운 지평', 아카데미프레스, pp.217-227, 2015. 참조.
  7. 가경신, "읽기 능력과 읽기 인지 변인과의 상관", 독서연구, 제15호, pp.244-247, 2006.
  8. 히로카와 쿠니노부 저, 오세웅 역, '미련 없이 버리는 정보활용술', 새물결, pp. 14-31, 2001. 참조.
  9. Anne Polselli Sweet & Catherine E. Sonw 저, 엄해영 외 역, '독서 교육에 관한 새로운 이해', 한국문화사, pp. 31-32, 2007. 참조.
  10. 남시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 사고도구어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 p.58, 2017. 참조.
  11. 곽동우, '탄탄한 독서력', 카시오페이아, p.73, 2016.
  12. 피터 애플러백 저, 조병영 외 역, '독서 평가의 이해와 사용', 한국문화사, p.115, 2010.
  13. 스티브 레빈 저, 송승하 역, '전략적 책읽기', 밀리언 하우스, pp.133-137, 2007.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