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on five-year-old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09.02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on five-year-old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For this study, two classes consisting of five-year-old children in HATBEAT kindergarten in D city were selected. One class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the control group. The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on the control group. The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was carried out for 8 weeks. The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in the order of pre-test,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by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nglish read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en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Also, for sub-factors of English reading such as alphabet and English word read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en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in the English book reading ability as a sub- factor of the English reading,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 resul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English writ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en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잡힌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유치원 만5세 유아 36명을(실험, 통제집단 각 18명씩)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을 8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활용한 검사도구는 알파벳 읽기능력과 단어읽기능력은 이옥섭(1999)의 단어읽기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책읽기 능력은 Sulzby(1985)의 읽기 발달단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아들의 쓰기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ildreth(1936)와 Schikedanz(1986)의 쓰기 발달단계에 기초하여 이경화(199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읽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하위 요인가운데 알파벳 읽기와 단어읽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어책읽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쓰기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은(1999). 초등영어 읽기 학습 방법에 관한 고찰. 초등영어교육, 5(1), 49-80.
  2. 강성숙. 한석실(2007). 균형적 언어 접근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회, 27(4), 187-207.
  3. 김영철(2002). 통합적인 초등영어 읽기, 쓰기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7(2), 37-58.
  4. 김진영. 김현희. 김영실(2000). 우리나라 유치원 영어교육의 현황.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4, 72-117.
  5. 마송희(1998). 이야기 들려주기가 유아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18(2), 215-237.
  6. 박시주(2002). 균형적인 읽기, 쓰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및 사고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안지영(2003).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 신념, 양육스트레스 및 성취압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1), 95-103.
  8. 엄윤재(2004). 유아를 위한 문해 교수법의 효과비교: 균형 잡힌 문해 교수법과 발음 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향선(1996). 어머니와 교사개입에 의한 상호작용적 문해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윤희정(2003).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육에서 문자언어 활용의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경화(1997).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큰 책 접근법'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영자. 이종숙(1990). 유아의 문어발달과 비 지시적 지도 방법이 문어 발달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8(2), 105-123.
  13. 이옥섭(1999). 균형 있는 문해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 쓰기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완기(2005). 제7차 초등영어교육과정의 실행학습과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편집). 초등 영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53-55.
  15. 이지현. 마송희. 김수영. 정정희(2009)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경기 : 공동체.
  16. 이정은(2002). 균형적 읽기 교수법을 통한 읽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차숙(2005). 유아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8. 이화자(1998).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문자언어의 도입 시기에 관한 연구. 응용언어학, 14(2). 305-337.
  19. 임양금(2005). 유아의 이름글자를 활용한 균형 잡힌 문자언어 접근법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임유경(2003). 영아기 조기 특수교육의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장향진(2004). 균형적 언어 교수접근법을 통한 문자 지도의 효과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동빈(2008). 초등영어문자지도. 서울: 한국문화사.
  23. 정승혜(200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주영희(2001). 유아 언어발달과 교육, 서울: 교문사.
  25. 한숙희(2006). 입문기 기초 문식성에 기초방안.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Adams, M, J. (1990).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A: MIT Press.
  27. Bus, A. G., & Van Ijendoorn, M. H. (1988). Mother-Child Interactions, Attachment, and Emergent Literacy: A Cross-Sectional Study. Child Development, 59, 1262-1272. https://doi.org/10.2307/1130489
  28. Carrell, P. L. (1988). Introduction Interac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Reading. In P. L. Carrell, J. Devine, and Eskey, D. E. (eds.). Interac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Fowler, D. (1998). Balanced reading instruction in practice. Educational Leadership, 55(6), 11-12.
  30. Guilford, J. P. & Fruchter, B. (1981). Fundamental statist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31. Heath, S. B. (1983). Ways with Wor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Hildreth, G. (1936). Developmental Sequences in Name Writing. Child Development, 7, 291-303. https://doi.org/10.2307/1125581
  33. Holdaway, D. (1979). The Foundations of literacy. Portsmouth, NH: Heinemann.
  34. Honig, W. (1996). Teaching our children to read: The Role of skills in a comprehensive reading program.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5. Jolly, Yukiko. (1975). The Use Of Song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Modern Language Journal, 59, 11-14. https://doi.org/10.2307/325440
  36. Juel, C. (1994). Learning to read and write in one elementary school. New York: Springer-Verlag.
  37. Mason, J., & McCormick, C. (1981). An investigation of Prereading Instruct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Function for Literac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12988.
  38. Mooney, M. E. (1990). Reading to, with and by children. katonah. New York.
  39. Morrow, L. M. & Rand, M. K. (1994). Physical and Social Contexts for Motivation Reading and Writing. The WRAP Program, National Reading Research Center.
  40. Needly, L. P. (2001).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Children Learn What They Live. Young Children, 56(3), 32-37.
  41. Pearson, P. D. (1993). Teaching and learning reading: A reserach Perspective(focus on research). Language Arts, 70(6), 502-511.
  42. Pressley, M. (1998).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The case for balanced teaching. New York: Guilford Press.
  43. Reutzel, D. R., & Cooter, J. R. B. (1996). Teaching children to rea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44. Schikedanz, J. A. (1982). The acquisition of written language in young children. In B. spodek (ED). Hand book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242-263.
  45. Schikedanz, J. A. (1986). More than the ABCs: the early stage on reading and writing. Washington P. C: NAEYC.
  46. Share, D. E., & Stanovich, K. E. (1995). Cognitive processes in early reading development: A model of acquisi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 Issues in Education Contributions from Educational Psychology, 1, 1-35.
  47. Stahl, S. A. (1997). To buh-e or not buh-3 that is the question: Thinking aloud about phonic. Council Journal, 25(4), 54-58.
  48. Strickland, D. S. (1998). What is basic in beginning reading? Finding common ground. Educational Leadership, 55(6). 6-10.
  49. Sulzby, E. (1985).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A Developmental Study. Research Quarterly, 20(4), 458-481.
  50. Sulzby, E. (1986). Writing and Reading Sings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Organization in The Young Child. In W. Teals, & E, Sulzby(Eds),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51. Teale, W. H., & Sulzby, E. (1986). Introduction: Emergent literacy as a perspective for examining how young children become writers and readers. In W. H. Teale,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pp. vii-xxv).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