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의 수학 용어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김도한
    • 과학과기술
    • /
    • 제26권6호통권289호
    • /
    • pp.85-86
    • /
    • 1993
  • 국제정세의 변화와 오랜 통일에의 염원에 따라 남북한 상호간에 많은 교류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해방 후 분단 반세기 동안 남한과 북한은 전혀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상당한 이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수학의 경우에도 분야에 따른 연구상황은 물론, 용어면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우리가 별 노력없이 일본식 한자용어와 영어용어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경향인데 반하여 북한에서는 한글화 작업에 많은 노력을 쏟아와 대부분의 수학용어들이 우리 고유의 한글로 정착되어 있다. 현재 우리의 감각에는 생소하고 어색한 단어들도 많지만 북한의 좋은 한글용어를 보완, 수정하는 등 중요 자료로 받아들여 우리의 수학용어를 체계화시킴으로써 통일된 앞날의 우리 수학발전에 기초로 삼아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중국, 일본의 학교 수학 용어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y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337-347
    • /
    • 2004
  • Korea and China have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since the ancient times along with Japan, which also shares the common Chinese culture. The three major players in Northeast Asia have been recognizing their increasing importanc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Considering thos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ountries, it's necessary to compare and investigate their mathematics termi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erminology of school mathematic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mathematics terms included in the junior high school of Korea were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terms in Chinese and Japanese were identified. Among 133 Korean terms, 72 were shared by three countries, 9 Korean terms were common with China, and the remaining 52 Korean terms were the same as Japanese terms. Korea had more common terms with Japan than China,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influences of the Japanese education during its rule of Korea in the past. The survey with 14 terms which show the discrepancy among 3 countries were conducted for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preferred mathematics terms are different from one group to the other, yet the Korean mathematics terms were more preferred in general. However some terms in Chinese and Japanese were favored in certain degree. This result ma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vise the school mathematics terms in the future.

  • PDF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비교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rmat: centered on elements, areas, objectives, and lesson time numbers)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23-13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08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를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교육의 실제와 부합하지 않는 학년군제의 설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역의 이름인 '수와 연산'을 '수와 계산'으로 환원할 필요가 있다. '연산'은 초등학교 수학과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셋째, 영역의 이름으로 '규칙성'을 사용하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규칙성' 영역의 대부분의 내용은 '수량관계'에 해당한다. 넷째, 영역 이름으로 '확률'을 사용하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비율로 보면, 그것은 앞에서 설정한 '수량관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섯째, 수학과의 목표에 수학과의 성격을 포함시키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수학과의 목표가 수학과의 성격을 포괄한다고 보기 어렵다. 여섯째, 초등교육에서 수학의 위상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 PDF

우리나라와 일본 수학 교과서의 순환소수 내용 비교 (Comparison of Recurring Decimal Contents in Korean and Japanese Mathematics Textbooks)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75-39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5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조화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다룰 때 학습량 적정화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육과정에서 차이가 있게 다루는 순환소수를 교육과정의 연계성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수학 내적 연결성의 계통성과 공유성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개정 교육과정의 순환소수를 도입 시기, 내용, 다루는 방법 등을 비교하고, 두 나라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루는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무리수 개념 도입 전인 중학교 2학년에서 순환소수를 정의하고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를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으로 다루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중학교 3학년에서 무리수를 학습한 후 순환소수의 용어를 간단히 다루고 고등학교 <수학I>에서 순환소수 개념을 다루고 <수학III> 교과목에서 극한 개념을 배울 때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다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학습량 적정화 등을 고려할 때 순환소수를 어떻게 다룰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Items between Korea and Japan)

  • 김부미;조형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07-4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최신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최초로 시행한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수학 문항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개선을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두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개괄하였고, 두 국가의 중학교 수학 학업성취도평가의 문항을 내용영역, 맥락, 역량에 따른 분석틀에 따라 수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두 국가의 문항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를 반성할 수 있는 문항 개발,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사항을 반영한 평가 문항 개발 등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개선방안과 2022 개정을 앞두고 '증명' 용어의 도입 필요성 및 방법 등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바라보는 한국의 수학교실수업: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What Do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See from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 조형미;김희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07-126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조사된 한국의 교수학적 어휘를 바탕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어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는 호주를 중심으로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체코, 칠레,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총 10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용어를 확인하고 정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수학 교실 수업과 관련한 연구를 확장하거나 10개국 내에서의 국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교수학적 용어로 정리된 103개의 용어에 대하여 현직교사 136명의 응답과 예비교사 127명의 응답을 비교하여 해당 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 현직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범주에 있는 용어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현직교사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국가 주도로 제안된 용어의 친숙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분석 결과,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교수학적 노력이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어휘와 그에 대한 차이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실 관행에 대해 성찰하고 그와 관련하여 논의 및 제언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eaching Contents for Angle and Measure of an Angl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between Korea and Japan)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35-4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을 비교했다. 이러한 비교로부터 다음 다섯 가지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첫째, 각의 정의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각을 정의할 때 이외에는 반직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없고, 각을 정의하는 방식과 직각을 정의하는 방식은 일관되지 않는다. 둘째, 평면도형의 이동에서 돌리기를 $90^{\circ}$, $180^{\circ}$, $270^{\circ}$, $360^{\circ}$와 관련짓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둘을 관련시키는 것은 5학년에서 점대칭도형을 취급하는 것과도 연결된다. 셋째, 각의 크기 비교에서 '각의 크기가 같다'를 취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각의 크기를 비교하면서 두 각을 겹쳐보는 활동을 해 보는 것으로 가능하다. 넷째, 회전각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회전각으로서의 $360^{\circ}$를 취급하는 것은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360^{\circ}$임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섯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평각'은 중학교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정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구하는 것도 중학교에서 취급해야 하는 내용이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지도 방안에 대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 방정숙;권미선;김민정;최인영;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27-654
    • /
    • 2016
  • 측정은 초등 수학 교육에서 중요하지만, 초등학교에서 측정 영역을 의미 있게 지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의 지도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크게 전반적인 학습 내용 및 지도 시기와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을 비교하였고, 이 중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은 측정의 학습 내용에 특화된 교수 학습 요소에 따라 단위의 필요성, 용어의 의미, 적절한 단위 선택, 적절한 측정 도구 선택, 계산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 국가 모두 실생활 소재를 활용하고, 여러 가지 단위 사이의 관계를 중요하게 다루는 등 측정을 지도하는 일반적인 방향은 유사하였다. 반면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 중 용어의 의미, 적절한 단위 선택, 적절한 측정 도구의 선택 등을 중심으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들이와 무게의 지도 방안 및 차기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율의 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finition of Ratio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 이정은;김지원;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5-49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비율 관련 용어(비율, 비, 비의 값, 백분율, 비례식)의 정의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나라의 교과서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 교과서는 우리나라 교과서와는 다르게, 외적 비율과 내적 비율을 구분해서 정의하고 있으며, 비(a:b)를 내적 비율의 하위 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 비와 백분율은 내적 비율에 한정하여 그 표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 개발에서 참고할 수 있을 만한 다음의 4가지 시사점을 결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비율은 내적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적 비율로서의 비율을 내포적으로 정의하여 비의 선행 개념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백분율과 관련해서 1%를 내적 비율을 나타내는 0.01로 정의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넷째, 비를 내적 비율의 표시 방법으로 볼 때, 이 비를 하나의 수로 나타낸 것을 비의 값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 방법 연구: 남북한,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Different Approaches of Introducing the Division Algorithm of Fractions: Comparison of Mathematics Textbooks of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 and Japan)

  • 임재훈;김수미;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2호
    • /
    • pp.103-121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남북한, 중국, 일렬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비교$\cdot$분석하여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을 위한 교재 구성 및 학습 지도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의 의미를 '포함제', '단위비율 결정', '비 또는 측정 단위 세분', '곱셈의 역연산', '분수의 곱셈으로부터의 유추'의 다섯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이어 북한, 중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도입 및 전개 방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얻은 시사점은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첫째, 제수의 역수의 의미와 제수의 역수를 곱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내도록 다루어야 한다. 둘째, 분수 나눗셈을 단위비율 결정 맥락에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셋째, 현재 <7-가 단계> 용어인 '역수'를 <6-나 단계> 분수의 나눗셈 지도 장면에서 제기하거나, 적어도 역수의 의미가 드러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넷째, 분수 나눗셈은 다양한 맥락에서 풍부한 의미로 전달되어야 한다. 끝으로 <5-나 단계>, <6-나 단계>에 걸쳐 여러 지엽적인 주제로 세분되어 있는 현재의 분수 나눗셈 단원 구성은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