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1.24.4.005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Items between Korea and Japan  

Kim, Bumi (Wonkang University)
Cho, Hyungmi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4, no.4, 2021 , pp. 407-42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athematics assessment items of the middle school's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s in Korea and Japan, recently revised as a competency-focused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ssessment items in each country, the analytic framework is integrated into content areas, contexts, and competenci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assessment items developed for each content area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on developing and improving national-level academic assessment items.
Keywords
Korea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Japanese National Achievement Test; Item analysis; Comparative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동원, 홍진곤, 김선희, 신보미, 김연, 박진형, 탁병주, 황지현, 왕효원, 송창근 (2021).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현장 실태 분석. 한국과학창의재단. BD21010009.
2 김부미, 김윤민 (2019).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통계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495-523.
3 박은조, 방정숙 (2005). 수학 교사들의 증명에 대한 인식. 한국학교수학논문집, 8(1), 101-116.
4 이경화, 김동원, 김선희, 김혜미, 김화경, 박진형, 이 호, 이화영, 임해미, 장정욱, 정종식, 조성민, 최인용, 송창근 (2021).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교육부.
5 교육부 (2020). 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8]. 수정(2020.09.11.). 교육부.
6 이재봉, 김준식, 박지선, 성경희, 이광상, 이소라, 정혜윤, 최소영, 김감영, 안유민, 하민수 (2020).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eNAEA) 도입을 위한 출제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2020-5.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중학교 수학(연구자료 ORM 2021-5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Center for Research on Educational Test(CRET) (2007). Comparison between PISA and Japan's National Achievement Test B-test. Available from : http://www.cret.or.jp/files/fd6c0b98dbf92ff306028b80de9681c6.pdf
9 Hersh, R. (1993). Proving in convincing and explai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4(4), 389-399.   DOI
10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1 최희선 (2019). '화귤과 통계' 교과서에서 제시된 맥락 기반 과제의 학습기회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22(3), 241-256.
12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國立教育政策研究所 (2019). 全國學力.學習状況調査 報告書. 國立教育政策研究所.
14 김미경, 송미영, 최인봉, 남민우, 백준기, 김종훈 (2019). 국가단위 평가의 수요자 중심정보 활용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VII): 웹기반 평가의 교실 적용 및 시스템 최적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9-1.
15 國立教育政策研究所 (2020). 全國學力.學習状況調査 報告書. 學立教育政策研究所.
16 文部科學省 (2017). 中學校學習指導要領. 文部科學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