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藤井 齊亮 외 84명(2021). 新しい數學3. 東京書籍.
|
2 |
相馬 一彦 외 25명(2021). 數學の世界3. 大日本図書.
|
3 |
相野義明 외 13명(2021). 新しい數學I. 東京書籍株式會社.
|
4 |
戸瀬 信之 외 15명(2021). 數學. 數硏出版株式會社
|
5 |
俣野 博 외 26명(2021) 新數學III. 東京書籍株式會社
|
6 |
김선희, 이은정, 김수민, 안세인(2020). 국제 공인 수준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C1015119-01-01).
|
7 |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배수경, 지은정,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김윤희(2021). 중학교 수학2, 비상교육.
|
8 |
김흥기(2004). 중학교에서 순환소수 취급과 무리수 도입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4(1), 1-17.
|
9 |
도종훈(2016). 중학교 수학 학습 내용의 연결성. 장혜원 외 26명 공저, 학교수학과 수학적 연결성(pp.289-310). 경문사.
|
10 |
류희찬, 선우하식, 신보미, 정동승, 장영훈, 설정수, 박슬히(2021). 중학교수학2, 천재교육.
|
11 |
매일경제(2022.05.09.). "2022 교육과정 수학 수업시간 줄고 내용 늘어...선행 심화 우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407343/
|
12 |
박경미 외 41명(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11-0002.
|
13 |
박교식, 이종희, 김진환, 남진영, 김남희, 임재훈, 유연주, 권석일, 김선희, 김재원, 박소현, 양수영, 이은영, 정미라, 정미선, 정주연, 주미, 최수연, 황지연 (2021a). 중학교 수학2, 동아출판.
|
14 |
박교식, 이종희, 김진환, 남진영, 김남희, 임재훈, 유연주, 권석일, 김선희, 김재원, 박소현, 양수영, 이은영, 정미라, 정미선, 정주연, 주미, 최수연, 황지연 (2021b). 미적분, 동아출판.
|
15 |
박선용(2016). '어떤 실수로의 극한'을 사용하지 않고 무한소수를 정의하기, 수학교육학연구, 26(2), 159-172.
|
16 |
이지현(2014). 무한소수 기호 : 불투명성과 투명성. 수학교육학연구, 24(4), 587-597.
|
17 |
이지현(2015).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수학교육학연구, 25(3), 263-279.
|
18 |
장혜원(2016). 수학교육과 수학적 연결성. 장혜원 외 26명 공저, 학교수학과 수학적 연결성(pp3-12). 경문사.
|
19 |
조상식 외(2020). 총론 주요 사항 및 교과 교육과정 현황 국제 비교 연구. 교육부, (연구보고 11-1342000-000615-01).
|
20 |
조한혁, 최영기(1999). 정적 동적 관점에서의 순환소수. 학교수학, 1(2), 605-615.
|
21 |
최수일(2022). 앞으로 잃어버릴 7년:수학 교육과정과 수학교육의 정상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 자료집, 91-103.
|
22 |
황선욱, 강범개, 윤갑진, 이광연, 김수영, 이문호, 김원일, 박문환, 박상의(2021). 고등학교 미적분. 주) 미래엔.
|
23 |
Barmby, P., Harries, T., Hinggins, S., & Suggate, J. (2009). The array representation and primary children's understanding and reasoning in multipl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0(3), 217-241. http://dx.doi.org/10.1007/s10649-008-9145-1.
DOI
|
24 |
Blum, W., Galbraith, P. I., Henn, H. W., & Niss, M. (2007). Mode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New York: Spriger. http://dx.doi.org/10.1007/978-0-387-29822-1.
DOI
|
25 |
Department for Education(2016). Further mathematics AS and A level content in England. Department for Education:England.
|
26 |
강정기(2016). 표기 관점에서 무리수 개념 학습의 어려움과 대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63-82.
|
27 |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보도자료(2021. 11. 24).
|
28 |
Li, L.(2011). A new approach to the real numbers. Retrieved from http://arxiv.org/abs/1101.1800.
|
29 |
김남희(2016). 중학교 수학에서의 수학적 연결성. 장혜원 외 26명 공저, 학교수학과 수학적 연결성(pp.209-222). 경문사.
|
30 |
구나영, 송은영, 최은정, 이경화(2020). 피타고라스 정리의 이동으로 인한 제곱근과 실수 단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3), 277-297.
DOI
|
31 |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202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제3판). 경문사.
|
32 |
김부미, 김윤민(2019).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495-523.
|
33 |
김부미, 강현영, 김선희, 남진영, 박미미, 서동엽, 이동환, 이환철, 조진우(2019). 세계의 수학교육 둘러 보기. 경문사
|
34 |
김부윤, 정영우(2008). 중학교에서의 무리수 지도에 관하여. 한국수학사학회지, 21(1), 139-156.
|
35 |
Zazkis, R. & Sirotic, N.(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the missing link.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16, 1-27.
DOI
|
36 |
文部科學省(2008).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0 年告示)-數學編. 文部科學省.
|
37 |
文部科學省(2017a).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9 年告示)-數學編. 文部科學省.
|
38 |
文部科學省(2017b).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9 年告示)解説-數學編. 文部科學省.
|
39 |
文部科學省(2017c). 高等學校學習指導要-數學編. 文部科學省.
|
40 |
文部科學省(2017d). 高等學校學習指導要領解説-數學編. 文部科學省.
|
41 |
양성현, 이환철(2012). 수학 내적 연결성에 관한 형식적 측면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395-410.
|
42 |
박윤희, 박달원, 정인철(2004). 중학교 수학에서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습자의 이해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99-116.
|
43 |
변희현(2005). 소수에 의한 실수 정의의 의미. 한국수학사학회지, 18(3), 55-66.
|
44 |
신보미(2008).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을 위한 유리수의 재해석에 대하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285-298.
|
45 |
연합뉴스(2022.05.09.). "2022 교육과정 수학 수업시간 줄고 내용 늘어...선행 심화 우려". https://www.yna.co.kr/view/AKR20220509057800530.
|
46 |
오국환, 방정숙, 권오남(2017).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수학교육, 56(2), 131-145.
|
47 |
우정호(2000).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
48 |
우정호, 변희현 (2005).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5(3), 287-313.
|
49 |
이강섭, 엄규연(2007). 순환소수 지도에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학교수학, 9(1), 1-12.
|
50 |
이경화, 김동원, 김선희, 김혜미, 김화경, 박진형, 이호, 이화영, 임해미, 장정욱, 정종식, 조성민, 최인용(2020).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세종: 교육부.
|
51 |
이선비(2013).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3), 499-518.
|
52 |
이영란, 이경화(2006).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16(4), 297-312.
|
53 |
임해미, 김부미(2022). 우리나라, 일본, IB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증명 내용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89-117.
|
54 |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김상미, 원유미, 강해기, 김성철, 강순구(2019). 중학교 3학년 수학 지도서. 천재교육.
|
55 |
Sirotic, N. & Zazkis, R.(2007). Irrational numbers on the number line-where are the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8(4), 477-488.
DOI
|
56 |
Moreira, P. C. & David, M. M.(2008). Academic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knowledge needed in school teaching practice: Some conflicting element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1), 23-40.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