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2.25.4.004

Comparison of Recurring Decimal Contents in Korean and Japanese Mathematics Textbooks  

Kim, Bumi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5, no.4, 2022 , pp. 375-3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paper, to provide an idea for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by restructuring the content of the 2015 mathematics curriculum, the content elements of recurring decimals of textbooks, which showed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Korea,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repeating decimals were defined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peating decimals and rational numbers was dealt with. In Japan, after studying irrational numbers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the terminology of repeating decimals is briefly dealt with. Then, when learning the concept of limit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III>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numbers and repeating decimals is dealt wi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relation to the optimization of the amount of learning in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circular decimal number, alternatives to the level of its content,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oposed.
Keywords
Recurring decimal; Mathematics Curriculum; 201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of Japan; Japanese math textbook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藤井 齊亮 외 84명(2021). 新しい數學3. 東京書籍.
2 相馬 一彦 외 25명(2021). 數學の世界3. 大日本図書.
3 相野義明 외 13명(2021). 新しい數學I. 東京書籍株式會社.
4 戸瀬 信之 외 15명(2021). 數學. 數硏出版株式會社
5 俣野 博 외 26명(2021) 新數學III. 東京書籍株式會社 
6 김선희, 이은정, 김수민, 안세인(2020). 국제 공인 수준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C1015119-01-01).
7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배수경, 지은정,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김윤희(2021). 중학교 수학2, 비상교육.
8 김흥기(2004). 중학교에서 순환소수 취급과 무리수 도입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4(1), 1-17.
9 도종훈(2016). 중학교 수학 학습 내용의 연결성. 장혜원 외 26명 공저, 학교수학과 수학적 연결성(pp.289-310). 경문사.
10 류희찬, 선우하식, 신보미, 정동승, 장영훈, 설정수, 박슬히(2021). 중학교수학2, 천재교육.
11 매일경제(2022.05.09.). "2022 교육과정 수학 수업시간 줄고 내용 늘어...선행 심화 우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407343/
12 박경미 외 41명(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 BD-1511-0002.
13 박교식, 이종희, 김진환, 남진영, 김남희, 임재훈, 유연주, 권석일, 김선희, 김재원, 박소현, 양수영, 이은영, 정미라, 정미선, 정주연, 주미, 최수연, 황지연 (2021a). 중학교 수학2, 동아출판.
14 박교식, 이종희, 김진환, 남진영, 김남희, 임재훈, 유연주, 권석일, 김선희, 김재원, 박소현, 양수영, 이은영, 정미라, 정미선, 정주연, 주미, 최수연, 황지연 (2021b). 미적분, 동아출판.
15 박선용(2016). '어떤 실수로의 극한'을 사용하지 않고 무한소수를 정의하기, 수학교육학연구, 26(2), 159-172.
16 이지현(2014). 무한소수 기호 : 불투명성과 투명성. 수학교육학연구, 24(4), 587-597.
17 이지현(2015).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수학교육학연구, 25(3), 263-279.
18 장혜원(2016). 수학교육과 수학적 연결성. 장혜원 외 26명 공저, 학교수학과 수학적 연결성(pp3-12). 경문사.
19 조상식 외(2020). 총론 주요 사항 및 교과 교육과정 현황 국제 비교 연구. 교육부, (연구보고 11-1342000-000615-01).
20 조한혁, 최영기(1999). 정적 동적 관점에서의 순환소수. 학교수학, 1(2), 605-615.
21 최수일(2022). 앞으로 잃어버릴 7년:수학 교육과정과 수학교육의 정상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 자료집, 91-103.
22 황선욱, 강범개, 윤갑진, 이광연, 김수영, 이문호, 김원일, 박문환, 박상의(2021). 고등학교 미적분. 주) 미래엔.
23 Barmby, P., Harries, T., Hinggins, S., & Suggate, J. (2009). The array representation and primary children's understanding and reasoning in multipl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0(3), 217-241. http://dx.doi.org/10.1007/s10649-008-9145-1.   DOI
24 Blum, W., Galbraith, P. I., Henn, H. W., & Niss, M. (2007). Mode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New York: Spriger. http://dx.doi.org/10.1007/978-0-387-29822-1.   DOI
25 Department for Education(2016). Further mathematics AS and A level content in England. Department for Education:England.
26 강정기(2016). 표기 관점에서 무리수 개념 학습의 어려움과 대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63-82.
27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보도자료(2021. 11. 24).
28 Li, L.(2011). A new approach to the real numbers. Retrieved from http://arxiv.org/abs/1101.1800.
29 김남희(2016). 중학교 수학에서의 수학적 연결성. 장혜원 외 26명 공저, 학교수학과 수학적 연결성(pp.209-222). 경문사.
30 구나영, 송은영, 최은정, 이경화(2020). 피타고라스 정리의 이동으로 인한 제곱근과 실수 단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3), 277-297.   DOI
31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202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제3판). 경문사.
32 김부미, 김윤민(2019).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495-523.
33 김부미, 강현영, 김선희, 남진영, 박미미, 서동엽, 이동환, 이환철, 조진우(2019). 세계의 수학교육 둘러 보기. 경문사
34 김부윤, 정영우(2008). 중학교에서의 무리수 지도에 관하여. 한국수학사학회지, 21(1), 139-156.
35 Zazkis, R. & Sirotic, N.(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the missing link.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16, 1-27.   DOI
36 文部科學省(2008).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0 年告示)-數學編. 文部科學省.
37 文部科學省(2017a).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9 年告示)-數學編. 文部科學省.
38 文部科學省(2017b).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9 年告示)解説-數學編. 文部科學省.
39 文部科學省(2017c). 高等學校學習指導要-數學編. 文部科學省.
40 文部科學省(2017d). 高等學校學習指導要領解説-數學編. 文部科學省.
41 양성현, 이환철(2012). 수학 내적 연결성에 관한 형식적 측면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395-410.
42 박윤희, 박달원, 정인철(2004). 중학교 수학에서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습자의 이해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99-116.
43 변희현(2005). 소수에 의한 실수 정의의 의미. 한국수학사학회지, 18(3), 55-66.
44 신보미(2008).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을 위한 유리수의 재해석에 대하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285-298.
45 연합뉴스(2022.05.09.). "2022 교육과정 수학 수업시간 줄고 내용 늘어...선행 심화 우려". https://www.yna.co.kr/view/AKR20220509057800530.
46 오국환, 방정숙, 권오남(2017).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수학교육, 56(2), 131-145.
47 우정호(2000).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48 우정호, 변희현 (2005).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5(3), 287-313.
49 이강섭, 엄규연(2007). 순환소수 지도에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학교수학, 9(1), 1-12.
50 이경화, 김동원, 김선희, 김혜미, 김화경, 박진형, 이호, 이화영, 임해미, 장정욱, 정종식, 조성민, 최인용(2020).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세종: 교육부.
51 이선비(2013).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3), 499-518.
52 이영란, 이경화(2006).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16(4), 297-312.
53 임해미, 김부미(2022). 우리나라, 일본, IB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증명 내용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89-117.
54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김상미, 원유미, 강해기, 김성철, 강순구(2019). 중학교 3학년 수학 지도서. 천재교육.
55 Sirotic, N. & Zazkis, R.(2007). Irrational numbers on the number line-where are the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8(4), 477-488.   DOI
56 Moreira, P. C. & David, M. M.(2008). Academic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knowledge needed in school teaching practice: Some conflicting element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1), 23-4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