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원 수학교육과정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40
    • /
    • 2010
  •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사상과 철학, 문화의 영향으로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관계중심 교육과정으로 변천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과 미국 NCTM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의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연구 중인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에서 내용과 과정, 계열을 정하는데 있어서 문화적, 사회적, 인지적으로 적합하고 적절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활동중심 수학교육의 실천 방안 모색

  • 김창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1-19
    • /
    • 2001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그들의 발달특성과 학습의 효율성 측면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경험과 놀이 활동 등을 이용한 활동중심 교육방법으로 상호 연계성있게 수학을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면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간에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 간에는 수학교육의 방향 및 목표, 내용 영역, 교수학습 방법, 평가 면에서 대체로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러나 교과 편제나 명칭, 세부적인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상에서의 연계 실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학 교육 활동측면에서의 실천 방안으로서 활동중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 영역 설치를 통한 개별화 교육의 실천, 가정과의 협력 방안 등을 제시해 보았다.

  • PDF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Study on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 장혜원;이화영;임미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07-223
    • /
    • 2015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내에서 '수학적 탐구하기'의 위상을 고찰하고, 수학적 내용측면에서 내용 영역의 범주 및 3~5세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1~2학년군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내용 영역에서 역연계 및 비연계 요소가 파악되었으며,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유치원과 초등 1학년의 연계성을 강조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Designing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Continuity of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31-655
    • /
    • 2015
  • 유아수학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으며, 따라서 초등수학과의 연계성 확보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학교수학과는 별개로 연구되고 있는 유치원 수학을 수학과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이점에 근거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 체제를 초 중등의 학제가 아닌 유 초 중등의 학제에 따라 전개하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 선정을 시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수학과 교육과정이 초중등이 아닌 유치원부터 시작하는, 이른바 K-12의 체제를 따르는 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내용 연계 양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기초로, 학습 출발점의 원리, 중복 최소화의 원리, 전-개념을 위한 활동 중심의 원리,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준거의 원리에 따라 영역별로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통해 유 초 수학교육의 연계성 확보 및 차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연계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 연구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sis of Level Relevance for Kindergarten Curriculum in terms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rticulation)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143-1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vel relevance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terms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rticulation. For this purpose, a model was developed to assess the level relevance of the curriculum. Nex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by using this model. Finally, teachers' guidebooks were analyzed, too.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five of the 14 achievement standards are rated as 'relevant', and nine of them were 'irrelevant'. Also, six of the ir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were rated as 'overlap', two of them were rated as 'retrogression', and one of them was rated as 'gap'. I found a lot of problems with the level relevance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s the results to analyze teachers' guidebooks, I found that there were the great frequency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teachers' guidebooks.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수준 적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Level Relevance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권점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3-253
    • /
    • 2014
  • In this study,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o see the level relevance of the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curriculums. As a result, first, the kindergarten curriculum was generally appeared appropriate to the level of kindergarten students. However, in practice, a significant amount of the first grade curriculum were taught in the kindergarten. Second, the variation of mathematical abilities among the begining students was very large, and this variation also affected the students' achievements. Third,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shed for adjustments of the level of mathematics curriculum.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 박교식;김지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9-203
    • /
    • 2015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ll$K-지도서$\gg$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 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ll$K-지도서$\gg$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ll$K-지도서$\gg$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

  • 이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97-60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which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n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2007(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t of balanced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classific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somewhat conflicting belief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perceive space and data analysi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kindergarten teachers also suggested basic and restricted mathematics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related with the problem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specially the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Mental Counting Strategies for Early Arithmetic Learning

  • Koh, Sang-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2호
    • /
    • pp.127-137
    • /
    • 1997
  • 수세기는 초등 수학교육의 기초로서 보통 유치원 과정 이전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서수와 기수의 구별된 사용의 중요성은 미국의 "학교 수학의 교과 과정과 평가 기준" (NCTM 1989)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의 현장에서도 많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직선 (Number line)과 다르게 구조적으로 개발된 Hasse's structured number line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수세기의 의미와 기술을 가르친다면 구체적 경험을 통해 수학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약 Hasse 의 9가지 수준에 따라 다양한 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수업 계획을 세워서 학습을 진행한다면 수업은 역동적이며 매우 흥미로워 질 것이다. 학생들은 말로 나타내기(Verbalization)와 상상(Imagination)의 충분한 경험을 바탕으로 정신적 표현(Mental representation)을 개발하여 수세기 기초를 확립하고 나아가 연산을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소개된 교구들과 학습 활동들은 초등 수학 교육이 암기 위주의 문답식이 아니며 얼마나 역동적이고 흥미로울 수 있나를 보여준다.

  • PDF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수학 내용,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inuity between Math-Related Activities of Nuri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s, Terms and Symbols, and Mathematical Processes -)

  • 장혜원;임미인;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의 중점 중 하나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와 관련된다.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교육과정보다 교과서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1,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내용, 수학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이며, 본 연구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양자 간의 연계성 확보 방안과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