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적간호역량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4초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 영적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ction Learning on Spiritual Needs,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홍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85-29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에 기반을 둔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 영적안녕 그리고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이며 연구 참여자는 간호대학생 2학년이었다. 학생들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16회에 걸친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가설검증은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를 감소시키고,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증진시켰다. 아울러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적인 간호사의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액션러닝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 임현정;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61-2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7년 2월 27일부터 5월 19일까지 J시 소재 간호대학생 83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1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영성교육은 자기 인식과 영성 및 간호의 영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1회에 120분씩, 5주 동안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확인하였고 가설 검증은 χ2-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수의 변화는 실험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영성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자아정체감, 영적 안녕과 삶의 만족도 및 영적간호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교육을 시행하고 5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에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은 전인간호를 위한 영적 간호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감, 영적간호역량,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nursing competence, and attitude toward death of nursing students)

  • 윤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71-378
    • /
    • 2022
  •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감, 영적간호역량, 죽음에 대한 태도 정도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융합적 관련성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C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85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종교적 안녕감은 전공만족도가 매우 만족하는 학생의 경우, 성적이 상 수준의 학생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영적간호역량은 여학생, 전공만족도가 매우 만족하는 경우, 성적이 상 수준의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영적안녕감은 영적간호역량,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상자에게 영적인 건강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영적안녕감 강화 중재 방안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간호사를 위한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 최수경;김진;김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67-77
    • /
    • 2019
  • 본 연구는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G 광역시 C대학의 간호학 학사학위과정 중에 있는 간호사 63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었다. 실험군은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에 7회기 동안 참석하였으며, 회기는 회당 90분, 주 1회, 7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군의 자료 수집과 실험 처치는 2017년 10월 10일부터 12월 5일까지 시행되었고 대조군은 2018년 4월 24일에 사전조사, 6월 5일에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존적 안녕(p<.025)과 영적간호역량(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기 환자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임종간호 태도,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alliative care practical training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death, end-of-life care nursing attitude, and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 김경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6-28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palliative care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included 38 third-grade nursing students form one university. Practical training, develooed by experts, was provided for 2 weeks (90 h) in a palliative care hospital. Participants received education on palliative care but no clinical practical experi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χ2 test and paired t-test using the WIN SPSS 23.0 program. Results: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retest-posttes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death (t=-2.43, p=.021), end-of-life nursing attitude (t=3.90, p=<.001) and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t=3.82, p=.001).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palliative care practical training w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improve nursing attitude, toward death, end-of-life nursing attitude and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Further studied are needed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of palliative care.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 실존적 안녕감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esteem, Empathy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진;최수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8-33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self-esteem, empathy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357 nursing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in G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1 to April 3, 2015,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sion 21.0. Results: Differences in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experience in providing spiritual care and recognition of need for spiritual ca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empathy and existential well-being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major, satisfaction with life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piritual car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self-esteem, empathy and existential well-being. Factors influencing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recognition of need for spiritual care, self-esteem, empathy and experience in providing spiritual care, which explained about 16%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o strengthen spiritual care competence through improved recognition of needs for spiritual care, self-esteem, empathy and experience in providing spiritual care.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Based on the ASSET Model)

  • 정미자;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73-68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SCEP) for nursing students to help increase their awareness of the essence of spirituality in care so as to enable them to promote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42) or a control group (n=39). From August to October 2009,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CEP, which were held 2 hours a week for 6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aired t-test, t-test with the SPSS WIN 17.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for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tha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EP was effective in improving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및 실존적 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 심미라;김진;최수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6-295
    • /
    • 2017
  • Purpos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dentifies spiritual care as a component of health and thus nursing care. There is a need to identify how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affects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9 nurses in G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April 8, 2016,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1.0. Results: Differences in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ork department, position, having received spiritual care education, experience of providing spiritual care, experience of asking religionist to provide spiritual care for a patient and recognition of need for spiritual car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Factors influencing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communication, experience of providing spiritual care and existential well-being which explained about 37.5%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Conclusion: It's necessary for nurses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strengthen spiritual care competence through improving communic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piritual care and existential well-being.

한국판 영적간호역량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 정미자;박영례;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71-880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K-SCC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K-SCCS consisted of 26 questions to measur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Participants, 228 nurses who had more than 3 years'experience as a nurse, completed th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rrelations of K-SCCS and spiritual well-being (SWB) were used to examine the criterion validity of K-SCCS. Cronbach's alpha was used to test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The construct an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K-SCCS were supported as measures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Cronbach's alpha was .95. Factor loadings of the 26 questions ranged from .60 to .96. Construct validity of K-SCCS was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MSEA=.08, CFI=.90, NFI=.85). Criterion validity compared to the SWB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44,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K-SCCS serves as an appropriate measure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test the verification of the factor analysis related to factor 2 (professionalis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piritual care) and factor 3 (personal support and patient counseling). Therefore, we recommend using the total score without distinguishing subscales.

DNR 결정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활동 변화 (Changes of Nursing Activities on Patients with DNR Orders)

  • 이지윤;장재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1호
    • /
    • pp.46-57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DNR이 결정된 후 간호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고 각 활동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00병상 이상 종합병원 간호사 173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39개 항목의 간호활동이 증가한 간호사의 수는 평균 60.4명(34.9%), 유지는 102.4명(59.2%), 감소는 10.1명(5.9%)이었다. 활동감소가 가장 많이 나타난 영역은 신체적 영역이 12.6명(7.3%)이고, 영적 영역이 10.8명(6.3%)이었다. 항목별 활동이 가장 많이 감소한 항목은 전체 39개 중 '얼굴세안과 부분목욕 간호를 시행한다(19.7%)'였다. 간호사의 지식, 태도, 실천역량, 업무량과 업무 속도가 각 간호활동 증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지식역량은 전체 39개 항목 중 9개, 태도역량은 2개, 실천역량은 4개, 업무량은 14개, 업무속도는 1개 항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DNR 환자에 대한 간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DNR 간호활동에 대한 업무지침을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실무교육을 통해 간호사의 지식역량을 증진시키며, 간호사의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부서의 지원체계와 업무량 조정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