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각적이미지

검색결과 1,189건 처리시간 0.026초

자연영상에서 교통 표지판의 기울기 보정 및 덱스트 추출 (Skew Compensation and Text Extraction of The Traffic Sign in Natural Scenes)

  • 최규담;김성동;최기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9-28
    • /
    • 2004
  • 본 논문은 자연영상에서 얻은 교통표지판의 기울기를 보정하고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명도 이미지를 대상으로 모든 과정이 4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자연 영상에서 에지 검출을 위한 전처리 및 Canny 에지 추출을 수행하며, 둘째, 영상의 기울기를 추출하기 위해 허프 변환에 대한 전처리와 후처리를 한 후, 셋째로 잡음영상과 선을 제거하고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후보영역 검출을 한다 마지막으로 검출된 텍스트 후보영역 안에서 지역적 이진화를 수행한 후, 불필요한 비텍스트 연결 요소를 추려내기 위해 텍스트와 비텍스트 간의 연결요소에 나타나는 특징 차이를 이용하여 텍스트 추출을 수행한다 100장의 샘플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82.54$\%$ 텍스트 추출률과 79.69$\%$ 추출 정확도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런 길이 평활화 방법이나 퓨리어 변환을 이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텍스트 추출 향상을 보였다. 또한 기울어진 각도 추출에서도 94.3$\%$의 추출률로 기존의 Hough 변환만을 이용한 방법보다 약 26$\%$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시각 장애인 보행 보조 시스템이나 무인 자동차 운행에 있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 PDF

빅데이터를 통한 내국인의 '한식' 인식 연구 :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omestic Consumer's Perception of "Hansik" with Big Data Analysis :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박경원;윤희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45-151
    • /
    • 2020
  • 한국의 국가 브랜드 중 하나인 '한식'에 대한 내국인 소비자 인식 파악을 위해 검색어 '한식'으로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였다. 분석 프로그램 텍스톰(Textom3.5)을 사용하여 2018년 11월 1일부터 2019년 10월 31일까지의 네이버 블로그와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빈도 분석과 TF-IDF 분석 결과, 한식의 인식에서 '뷔페'가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스타 셰프의 방송 콘텐츠가 한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퓨전화'와 '고급화' 등 한식에 대한 인식이 비단 전통성에 머무르고 있지만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UCINET6와 NetDraw를 활용한 CONCOR 분석 결과, 다양한 식문화의 클러스터, 방송에 출연한 고급 레스토랑의 클러스터, 한식 브랜드 클러스터, 한식 뷔페의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한식의 연상 이미지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뷔페 메뉴의 다양성을 차용한 한식 개발, 고급화된 한식 홍보를 위한 미디어 노출, 간편식 수요에 대한 마케팅적 시각과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20세기 전반 동.서양의 시대색에 관한 비교 연구 -시대 복식과 현대 영화 의상에서의 재현비교를 통해- (The Study of Color Images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ulture -A Comparison between Early 20th Century Clothes and the Reinterpretation in Modern Film Costumes-)

  • 윤지영;노주현
    • 복식
    • /
    • 제56권4호
    • /
    • pp.108-123
    • /
    • 2006
  • This Study is about the color images oi clothe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nd the recreation of this color images through modern costume design in fil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early 20th century color has born reinterpreted through present film costumes and how different cultural perspectives can influence color image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30 pictures of clothing, representative of the early 20th century, as well as films which have been internationally recognized for their costume design and strong cultural identity('Farewell M) 'Concubine', 'Raise the Red Lantern', 'Chicago' and 'The English Patient') were chosen and analyzed. The color image of these photographs and scenes from the movies were divided by Pantone Solid Chips and categorized by color groups such as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violet, neutral and metallic.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or ima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ed that the red group was used a lot in both cultures and the orange group was more often used in the West. In regards to the yellow group, goldish yellow were commonly used in the West but pale yellow was preferred in the East. The green group more used In the West but the blue group appears more in the Eas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or combination, texture and technique which demonstrates different cultural color recognition and association. In the case of film color image, present color image was added to past color image. In the West, color was used as a tool for visualizing the state of characters' mind and the mood of movies' story but in the East color image was intended to make the character stand out by changing the value and chroma. By comparing the color image of clothe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color image from film in the West and the Eas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ultural symbolic image of color. This study is one of first trials to analyze the cultural differences in rotor images and their symbolic meaning. Thus, further studies should persu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rotor image in terms of specific quantity and quality.

애니메이션 광고 캐릭터에서 나타난 젠더표현 연구 (The study of the gender's expression in the animation advertising)

  • 유소의;박성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103-123
    • /
    • 2017
  • 최근 다수한국화장품 브랜드에서 남성 BB Cream을 출시하는 등 화장품은 여성전용이 아니라 많은 남성도 사용하기 시작 하였다. 연예인 김기수는 여성 화장품 메이크업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지금 현대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젠더 스테레오타입은 2차원대립성 성별 다문화로 발전하고 있다. 2016년 서울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을 시발점으로 사회에서 여성 혐오 인식에 대한 화제도 거론되기 시작 하였다. 이 사건으로 페미니즘운동이 다시 일어났고 사회적으로 젠더 문제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졌으며 사람들은 사회 건설의 주요한 남녀평등화 문제를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을 통하여 대중들은 사회생활 중 스테레오타입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을 희망하고 있고 애니메이션 광고도 남녀 젠더 스테레오타입이 남성에 치우쳐 있던것으로부터 변화되기 시작하면서 남녀 캐릭터 성별 다양화와 내용전환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 광고가 번영하던 초기 광고들의 내용은 남성의 시각을 중심으로 스테레오타입화해서 캐릭터를 표현하였으며 남성 캐릭터를 미화하고 권력과 지위를 짊어지게 하였다. 광고 속 여성은 대부분 종속관계 역할을 맡았지만 페미니즘 운동이 부흥하면서 여성은 자아가치관과 사회평등성에 대해 욕구가 생겨나기 시작 하였다. 이런 현상들은 애니메이션 광고가 남녀 캐릭터를 디자인할 때 예전 전통을 깨뜨리고 스테레오타입이 변화된 새로운 남녀 캐릭터를 디자인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젠더 스테레오 타입의 네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60년대 Rosenkrantz,et al.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정의 관념에 대한 조사를 연구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광고 중에서 남녀 성별 표현을 조사한 결과 애니메이션 광고 중의 남녀 이미지 성별표현의 변화는 사회문화의 영향 하에 변화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 변화하고 있는 사회 현상에 따라 애니메이션 광고도 대중 성향에 맞는 작품을 구성 한다면 더욱 쉽게 대중과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일 수 있고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배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과 양성에 관한 토론을 애니메이션 광고에 응용하여 남녀 캐릭터를 디자인 한다면 애니메이션 광고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개척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한 강릉 해안림의 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st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Considering Parallax Effect in Gangneung)

  • 서미령;김충식;안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27
    • /
    • 2012
  • 본 연구는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하여 동해안 곰솔림의 경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10개 동해안의 곰솔림에 대해 폭원, 간격, 직경이 조사되었다. 곰솔림 관리방법으로 정량 솎아베기 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를 통해 경관(바다, 논, 산, 주거지, 상업지), 수목의 직경(16cm, 22cm, 28cm), 수목의 간격(5m, 7m, 10m)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을 조합하여 작성된 45개의 경관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대해 어의구별척도와 리커트척도로 경관선호도가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선호도의 평균 비교 결과, 자연적 요소(바다, 산, 논)는 경관선호도가 높고 인공적 요소(주거, 상업)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바다에서 곰솔의 간격이 7m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녹지, 하늘, 건물, 도로 등)의 시각량과 경관선호도는 상관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깊이감(78%), 다양함(15.6%), 공간감(6.4%)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깊이감과 공간감요인은 직경 28c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직경이 클 때 입체감이 커져 원근감을 강하게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수목 간격은 5, 7, 10m의 공간감이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10m를 기준으로 곰솔림의 솎아베기가 경관관리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관박쥐 망막의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뮬러세포 동정 (Localization of the Major Retinal Neurotransmitters and Receptors and Müller Glia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 이준석;권오주;전태헌;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1-396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관박쥐 망막에서의 시각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 내 글루타메이트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아세틸콜린과 같은 중추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신경교세포인 뮬러세포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법: 성체 한국관박쥐의 망막을 대상으로 하였다. 망막을 수직 절편한 다음,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적용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면역형광이미지 내 면역반응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글루타메이트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들은 주로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였다. GABA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신경세포들은 내핵층에 주요하게 분포했으며, GABA의 수용체들은 내망상층에 존재하였다. 아세틸콜린의 면역반응성 신경세포들은 주로 내핵층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각각의 면역반응성들은 대부분 내망상층에 밀집해 있었다.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신경교세포 중 하나인 뮬러세포는 신경절 세포층에서 외핵층까지 길게 뻗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도 다른 포유동물의 망막에 있는 주요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뮬러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관박쥐는 조직화된 망막 신경회로를 가지는 기능적 망막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about science s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and scientist)

  • 박종석;심규철;육근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85-97
    • /
    • 2001
  • 현재 각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센터 사업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 중 과학영재들과 관련되어 그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도 중요한 한가지 요소가 될 것이다. 이에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직업 의식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는 설문으로 이루어졌는데, ‘과학과 사회’, ‘과학과 과학자’, ‘과학과 나’, ‘과학’ 등의 영역에서 8가지 세부 항목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과학 영재들은 과학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주로 생활의 편리성을 들었고, 주로 환경오염 등을 제시하였다. 과학자를 보는 시각은 연구를 하는 사람, 노력하는 사람, 그래서 다른 일에 소홀히 하는 사람으로 보고 있다. 존경하는 과학자로는 아인슈타인이나 에디슨 등 외국 과학자가 많았다.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는 과학자가 주를 이루었고, 과학교사나 연구원 등이 있었다. 한편 모든 직업이 과학과 관련된다고 여기는 과학영재들도 있었다. 원하는 직업으로는 과학자가 많았지만, 의사나 한의사, 사업가, 가수 등도 있었다. 과학이란 단어가 주는 이미지는 신기함이나 어려움, 복잡함, 과학자, 인공위성, 원소, 화학 등 매우 다양하였다.

  • PDF

아시아지역의 공개교육자원 활용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OER(Open Educational Resources) Usage in Asia)

  • 이은정;김용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1-53
    • /
    • 2012
  • OER은 상호지식정보 교류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와 기관 모두에게 비용절감, 콘텐츠 품질 향상, 관계 형성 등의 이점을 가져다준다. OER 관련 연구는 정규교육과의 연계, 저작권 동향, 기업이러닝과 관련하여 진행된 바 있다. 그렇지만 활용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R의 활성화를 위해 기관들을 대상으로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관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황조사는 아시아 14개 지역의 20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료로는 '이미지, 시각자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상의 저해요인으로는 '인식부족', '기술부족', '보상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에 대한 참여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OER의 활성화를 위해서 각 기관에서는 인식과 활용 기술, 저작권에 대한 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상시스템과 활용을 위한 환경 구축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그리고 OER 공유를 위한 기관 간 협력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한국 남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과 여성 헤어스타일에 대한 선호도와의 상관성 연구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en A Study on Correlation with Preference for Female Hair Style)

  • 손광현;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63-270
    • /
    • 2018
  • 본 논문은 연령, 학력, 결혼여부, 직업군, 월평균소득, 거주지 등 한국 남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요인과 여성 그레쥬에이션 선호도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이다. 설문지 배포후 수합된 333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남성들의 여성 그레쥬에이션 커트 길이 단차에 따른 선호도에 관하여 알아보고, 가장 선호하는 그레쥬에이션 커트형태의 정립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설문지 분석결과 전체 남성의 51.1%가 커트 길이의 단차가 많은 그레쥬에이션형을 선호 하였으며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단차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 되었다(p<0.05).본 연구를 통해 남성들이 시각적으로 가장 선호하며 아름답다고 보는 여성의 헤어스타일 중 그레쥬에이션 커트스타일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가능해진다. 또한 헤어살롱에서 고객만족의 중대를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여성의 미적인 이미지를 극대화 시키면서 보다 다양하고 응용이 가능한 그레쥬에이션 커트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기초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RFID와 GPS를 활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GPS)

  • 허대철;이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07
  • 현재 물류, 유통 산업분야에서 RFID를 활용하여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많다. 그리하여 RFID로 물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관리하고, GPS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활용하여 물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정보를 보다 수월하게 관리 가능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차량에 RFID Reader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한 물품의 수량과 제품정보, 배송상태, 분실여부 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차량이 이동하면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차량에 적재한 물품의 실시간 위치정보, 유통경로, 생산지 등의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기록, 관리되어지고, Google map과 연동하여 물품의 유통정보를 웹서비스를 통해 위성지도에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중심의 서비스로 관리자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서비스와는 다르다. 또한 RFID와 GPS가 산업 전반에 활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물류, 유통 산업뿐만 아니라 교통, 운송, 관광 산업 등 기타 산업과 함께 연계하여 연구 개발된다면 보다 폭 넓게 활용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