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한 강릉 해안림의 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st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Considering Parallax Effect in Gangneung

  • 서미령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안경진 (뉴캐슬대학교 건축.계획 조경학과)
  • Seo, Mi-Ryeo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ong-Si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An, Kyoung-Jin (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Landscape,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 투고 : 2011.06.08
  • 심사 : 2012.08.10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는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하여 동해안 곰솔림의 경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10개 동해안의 곰솔림에 대해 폭원, 간격, 직경이 조사되었다. 곰솔림 관리방법으로 정량 솎아베기 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를 통해 경관(바다, 논, 산, 주거지, 상업지), 수목의 직경(16cm, 22cm, 28cm), 수목의 간격(5m, 7m, 10m)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을 조합하여 작성된 45개의 경관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대해 어의구별척도와 리커트척도로 경관선호도가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선호도의 평균 비교 결과, 자연적 요소(바다, 산, 논)는 경관선호도가 높고 인공적 요소(주거, 상업)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바다에서 곰솔의 간격이 7m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녹지, 하늘, 건물, 도로 등)의 시각량과 경관선호도는 상관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깊이감(78%), 다양함(15.6%), 공간감(6.4%)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깊이감과 공간감요인은 직경 28c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직경이 클 때 입체감이 커져 원근감을 강하게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수목 간격은 5, 7, 10m의 공간감이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10m를 기준으로 곰솔림의 솎아베기가 경관관리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management method for a coastal black pine forest landscape considering the parallax effect. For the study, 10 coastal black pine forests in Gangneung were investigated about the average width of the coastal forests, the average diameters, and the intervals of the pines. Categorizations were realized for the 3 types of scene(sea, field, mountain, residential area, commercial area), diameter(16cm, 22cm, 28cm) and interval(5m, 7m, 10m) to produce a total of 45 scenic simulations. An investigation was made on the scenic preferences using 45 simulation images with S.D, and Likert Sca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cording the comparison of scenic preferences, natural landscapes(sea, field, and mountain) ranked high among preferences, with fabricated landscapes(residential area, commercial area) ranked low. The highest scenic preferences were shown with the seascape and an interval of 7m between the trees. On the contrary, the interrelationship was very low between the visual quantity of the scenic's elements(green, sky, building, road etc.) and the scenic preferences. A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he 3 sense factors of "Depth(78.0%)" "Diversity(l5.6%)" and "Spatiality(6.4%)" explained coastal scenic preferences. "Spatia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intervals of 5~7m, and 10m between trees. This shows coastal forest management based on the interval of 10m standard affecting scenic prefer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본아, 이광국, 양위주(2008) 환경심리학적 관점에서의 해양경관의 구성요소와 태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0(2): 5-392.
  2. 김동현(2006) 움직임 시차와 장면 구조 추정을 이용한 2차원 영상의 3차원 변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
  3. 김충식, 이인성(2005) 건축제어 요소가 가로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설계 6(4): 71-91.
  4. 김태경, 김충식(2009) 경포호 주변의 경관영향요인 분석과 고도기준설정. 한국조경학회지 37(2): 104-113.
  5. 노영란(2008) 해안경관 구성요소의 이미지평가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
  6. 노영란, 박성진, 이청웅(2008) 해안경관계획을 위한 물리적 구성요소 개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10(4): 167.
  7. 노재현(2007a) 차폐유형과 차폐도를 달리한 패럴랙스(Parallax)공간의 시각 선호도. 한국조경학회지 35(2): 55-63.
  8. 노재현(2007b) '열린경관'과 '가려진경관'의 이미지와 선호도 비교: 패럴랙스(Parallax) 효과 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105-118.
  9. 박민영(1998) 기존의 단일 이미지로부터 입체 영상용 양안시차 이미지 쌍을 얻는 방법.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
  10. 박완근(2000) 강원 동해안의 해안림 임분구조. 국제 심포지움(2000 International Symposium). pp. 742-749.
  11. 산림청(2000) 산림과 임업기술2. pp. 247-266.
  12. 이능원(2002) 주거지역 내 가로경관의 시각적 깊이감과 개발밀도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
  13. Bernard Mendiburu(2009) 3D Movie Making: Stereoscopic Digital Cinema from Script to Screen. Focal Press.
  14. Susan, R. Barry(2009) Fixing My Gaze: A Scientist's Journey Into Seeing in Three Dimensions. 김미선(역) 3차원의 기적. 서울: 초록물고기. 2010.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Disaster Prevention of a Coastal Forest considering Wave Attenuation Ability vol.14, pp.5,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5.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