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 문제해결

Search Result 1,33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al-life Problems for Uplifting Problem Solving Skills - Focused on Geometr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문제의 개발과 적용 -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 Pyo, Yong-Soo;Lee, Ji-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1 no.2 s.30
    • /
    • pp.177-197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cerning problem solving, mathematization and real-life problems. Further it examines how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of first grade recognize the real-life problems provides in textbooks concerning the area of geometry. Following those results found from this analysis, this paper reveals the issues and problems that we noticed through the analysis of real-life problems from textbooks, level 8 and level 9, Also we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real-life problems for students' uplifting problem solving skills.

  • PDF

수학 문제해결의 심층적 관찰을 통한 교수 방법의 개선

  • Park, Man-G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217-228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을 통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는 교수법에 대한 반성을 통하여 바람직한 교수 방법으로의 개선을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76명의 예비교사들이 자신들이 만든 수학 문제나 기존의 문제를 한 학생 또는 두 학생의 문제 푸는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한 관찰한 사실을 통하여 어떻게 기존의 교수법을 반성하는가를 살펴보고 교수법의 개선 방안을 고찰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의 문제 풀이를 심층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기존의 교수법의 바람직한 개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 PD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on Conditional Probability (수학 영재 학생들의 조건부 확률 문제해결 방법)

  • Na, Gwi-Soo;Lee, Kyung-Hwa;Han, Dae-Hee;Song, Sang-Hun
    • School Mathematics
    • /
    • v.9 no.3
    • /
    • pp.397-408
    • /
    • 2007
  • This research intends to look into how mathematically gifted 6th graders (age12) who have not learned conditional probability before solve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In this research, 9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were given to 3 gifted students, and their problem solving approaches were analys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interviews. The approaches the gifted students made in solving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were categorized, and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ir approaches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approaches depend on the context included in the problem.

  • PDF

뇌 기능 분화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연구

  • Lee, Gang-Seop;Hwang, Dong-Ju;Hong, Ji-Chang;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01-715
    • /
    • 2002
  • 창의성과 지능, 뇌 기능 분화의 관계와 수학 창의성과 지능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뇌 기능 분화와 수학 창의성,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의 관계를 규명은 미흡한 상태이고, Balka(1974)의 연구에서는 수학 창의성과 일반 창의성은 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생각할 때 뇌 기능 분화와 창의성간의 상관관계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가 수학 창의성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남녀에 따른 뇌기능 분화의 차이와 좌뇌, 우뇌와 전뇌의 수행 수준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구광역시 내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의 40명을 대상으로 뇌 기능 분화 검사,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서로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뇌의 기능 분화 발달은 좌뇌는 남자가 우뇌는 여자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고, 전뇌 집단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가장 높았으므로 전뇌를 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 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수학 퍼즐을 이용한 영재학습 자료의 개발 - 공간 감각을 중심으로 -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97-114
    • /
    • 2003
  • 일선 교육 현장에서 영재를 지도함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는 판별 도구와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영재를 위한 수학 프로그램을 문제 해결형, 수학 탐구형, 과제 해결형의 3가지로 분류할 경우, 퍼즐은 문제 해결형과 수학 탐구형 프로그램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유형으로 수학적 지식의 통합과 연결성. 그리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 및 수학적 원리 ${\cdot}$ 법칙을 체험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있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조작퍼즐은 기존의 대수적 표현 체계로 학습하기가 힘든 관찰력이나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력 친 공간 추론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며, 게임적인 요소가 포함된 퍼즐은 지필에 의존해 왔던 수학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수학 퍼즐의 종류 및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과 영재들의 공감 감각을 기르기 위한 프로그램의 원을 이용한 수학 퍼즐의 개요를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Items for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 Shin, Joon-Sik;Ko, Jung-Hwa;Park, Moon-Hwan;Park, Sung-Sun;Seo, Dong-Yeop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5 no.3
    • /
    • pp.619-640
    • /
    • 2011
  • The study aims the introducing the items for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including mathematical reason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analyzing on the responses of the 5th grade pupils. We categorized the area of mathematical reasoning into deductive reasoning, inductive reasoning, and analogy; problem solving into external problem solving and internal one; and communication into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listening. And we proposed the examples of our items for each area and the 5th grade pupils' responses. When we assess on pupil's mathematical reasoning, we need to develop very appropriate items needing the very ability of each kind of mathematical reasoning. When pupils solve items requesting communication, the impact of the form of each communication seem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mathematical situation or sturucture of the item. We suggested that we need to continue the studies on mathematical assessment and on the constitution and utilization of cognitive areas, and we also need to in-service teacher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ssessments, based on this study.

  • PDF

The Design of Instruction & Learning System to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문제해결 능력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 중심 -)

  • Bak, So-Yeong;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35-343
    • /
    • 2007
  • 수학적 지식과 능력을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의 신장이야말로 수학교육의 목표이자, 수학 학습의 근본적인 이유가 된다. 그러나 문제해결 능력이 가장 많이 필요한 문장제 문제해결과,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학생들은 해결하기 어려워한다. 다른 단원보다 명확하게 식을 찾을 수 있는 연산 문제들과 다르고, 책에 제시되어 있는 방법을 쉽게 사용을 하지 못하며. 그 문제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문제를 푸는데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시스템 설계를 목적으로 학습의 과정별, 특성별, 연계별 학습 내용을 고려하여 학년 통합, 내용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모듈, 평가 모듈, 상호작용 모듈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학습자들의 수준에 적합한 개별화 학습을 제공하고, 웹을 이용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에 자신감을 기르고,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ociodynamical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dure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사회역학적 기능)

  • Do, Joowon;Paik, Suckyoo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0 no.1
    • /
    • pp.85-99
    • /
    • 2017
  •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has been a need for research on practical application of meta-affect which i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blem-solving procedu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dynamical aspects of the meta-affective factor of the successful problem-solving procedure of small groups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on, which is known that it overcomes difficulties in research methods for meta-affect and activates positive meta-affect, and works effectively in actual problem-solv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meta-functional type of meta-affect and transact elements of collaboration were identified as the criterion for analysis. This study grasps the characteristics about sociodynamical function of meta-affect that results in successful problem solving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ase of the transact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meta-functional type of meta-affect appearing in actual episode unit of the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successfu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the aspect of affective-sociodynamics.

A Study on Analyzing and Solving Problems Related with Equation of High School Mathematics (고등학교 수학의 방정식에 관련된 문제의 분석 및 해결에 관한 연구)

  • Lyou, Ik-Seung;Han, In-K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3
    • /
    • pp.793-806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meaning and methods of analyzing problems related with equation of high school mathematics. By analyzing problem we can get two types of informations. Based on these informations we suggest some problem solving methods. Especially we try to extract second type information using analysis through synthesis. This second type information can help us to find new non-routine problem solving method.

A Study on Children's Proportional Reasoning Based on An Ill-Structured Problem (초등수학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비례적 추론)

  • Hong, Jee Yun;Kim, Min Kyeong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4
    • /
    • pp.723-74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proportional reasoning process on an ill-structured "architectural drawing" problem solving and to investigate their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proportional reasoning. As results, they showed various perspective and several level of proportional reasoning such as illogical, additive, multiplicative, and functional approach. Furthermore, they showed their expanded proportional reasoning from the early stage of perception of various types of quantities and their proportional relation in the problem to application stage of their expanded and generalized relation.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proportional reasoning by experiencing various quantity in ration and proportion situ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