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 성찰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12초

중등 수학 수업에서의 나눔 사례를 통한 수업 성찰문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Lesson Reflection through the Lesson Reflection Sharing Case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lass)

  • 황혜정;문두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69-390
    • /
    • 2021
  • 교사 스스로 수업에 대해 성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 나눔을 통해 동료 교사와 함께 수업을 성찰하면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함은 교사로서 온당한 일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성찰과 수업 나눔을 위해 기준과 초점을 제시할 수 있는 수업 성찰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최승현, 2007; 황혜정, 2012)의 수업 평가 기준을 토대로 수업 성찰 요소를 마련하고 수업 성찰문 초안을 마련하였다. 공동 연구자가 재직 중인 C고등학교의 3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동일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동료 교사 4명은 수업 성찰문 초안에 기초하여 수업에 대한 개인 의견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나눔을 실시하고 해당 수업 나눔 사례를 분석하여 수업 성찰문(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수업 성찰문의 문항별 질문 의도를 사전에 공유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의 특정 요소에 국한, 집중하여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 작성과 더불어 수업 나눔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다.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구 (The basic theoretical research for a practice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eaching reflection)

  • 금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57-63
    • /
    • 2016
  • 교수전문성 개발에 있어서 수업성찰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성찰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성찰의 개념, 절차 및 내용을 고찰하여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성찰의 개념은 $Sch{\ddot{o}}n$이 제시한 '행동 중 성찰'이며, 성찰의 절차와 내용은 Korthagen의 Core Reflection 모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Core Reflection 모형은 교수의 수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적 요인과 외현적 요인을 통합하도록 지원하며 교사 개인의 강점을 발전시키는 모형이다.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에 관한 시사점으로 첫째, 교수 개인은 수업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성찰하면서 수업성찰 저널을 작성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개발센타에서는 수업성찰의 내용과 절차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 개인의 성찰이 효과적이기 위해서 동료교수와의 수업나눔이 필요하다.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성찰 실행 연구: 학생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사의 담론 역량을 중심으로 (An action research on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lesson reflection: Focused on the teacher's discourse capability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 박진환;신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63-82
    • /
    • 2022
  •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 성찰이 담론 역량 변화에 작용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사 수업 전문성 개발에의 시사점을 얻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에 중학교 수학 교사가 실제 수업을 실행한 다음, 연구자와의 협의회를 통해 수업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참여를 촉진하는 담론 역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교사는 수업 실행과 성찰을 통해, 수업 중 학생의 발표와 반응을 다루는 2가지 국면에서 자신의 담론 역량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를 수업에서 실행하고 재성찰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담론 생산성과 개방성을 높여 학생의 참여를 촉진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교사의 수업 성찰이 담론 역량 개발과 관련되는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기여함을 보여준다.

성찰일지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의 학습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Programming Learning Applying Reflection Journals)

  • 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127-128
    • /
    • 2019
  •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즉시 복습하고 교수자와의 1:1 질의 응답 활동을 진행한 결과, 성찰일지를 통해 가장 도움이 받은 학습 영역과 얻은 학습 성과가 무엇인지 학습자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프로그래밍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학습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난이도가 높은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습자들의 학습 능력 차이를 줄이고 학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성찰일지를 활용한 학습 동기 및 성적 상승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and Improving Grades by Applying Reflective Journals in Programming Learning)

  • 안유정;김경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225-2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수업 이해를 돕고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학습 활동을 운영해보고 이중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년 동안 담당한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보고 대상 학습자들의 성적 분석을 통해 학습 효과 정도를 제시한다.

  • PDF

성찰일지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의 학습자 유형별 학습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ogramming Languages Class by Applying Reflective Journal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Types)

  • 김경아;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231-232
    • /
    • 2017
  • 학습자가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프로그래밍 수업의 특징 중의 하나는 단계별 학습으로 이전 단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데 어려움이 크다는 점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계별 학습을 유도하는 적절한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찰일지를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찰일지가 프로그래밍 수업의 단계별 학습 효과 및 만족도를 높이고, 특히, 수업시간에는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으나 복습이 부족한 학습태도를 가진 학습자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조사 분석하였다.

  • PDF

컴퓨터교육 전공 수업에 적용된 학습성찰의 효과 (Effect of reflection on learning in computer education courses)

  • 허희옥;강의성;소원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25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들의 학습성찰이 그들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습 내용과 경험에 대한 성찰 활동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는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학습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3개의 컴퓨터교육 전공 수업에 수강한 대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에 수업 내용에 대한 성찰 활동을 6번 이상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과제가치, 학습참여, 학업성취도를 학기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에 측정하였다. 또한 성찰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의견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층적인 성찰 활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행동적, 감성적 학습참여,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과제가치를 포함한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성찰 전략의 개발, 협력적 성찰 기회 제공 등이 후속 연구로 제안되었다.

비대면 의사소통 교양 수업 사례 연구 - 성찰일지 및 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Untact Communication liberal Arts Class - focusing on Reflection Journals and Feedback Activities)

  • 최윤희;김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44-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교양 수업을 수강한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학업성찰일지 작성과 피드백 활동 경험을 분석하여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촉진시키고 수업 참여와 몰입에 유용한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동기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심층면담한 내용을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주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찰일지와 피드백 활동이 개인의 학습 이해, 몰입, 태도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습 효과에 의미있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비대면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학습 전략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태도와 긍정적인 수업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다방면에서 모색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대학 공학계열 수업에서의 성찰저널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ying Reflective Journal to The Engineering Classes in College)

  • 홍유나;맹민재;정애경;이상회;김능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7권1호
    • /
    • pp.22-3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향상을 위하여 성찰저널을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성찰저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 특히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도구로서 (1) 5점 Likert 척도로 된 자기평가, (2) 수업에세이, (3) 동료와의 대화, (4) 교수님과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화된 성찰저널'이다. 이러한 성찰저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 8월 24일부터 10월 16일까지 총 8주 동안 공학계열 1학년 94명(이론반 42명, 실험실습반 52명)을 연구반(성찰저널 적용 수업)과 비교반(성찰저널을 적용하지 않는 반)으로 구분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이러한 수업 유형에 따라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찰저널이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Exploring a Teacher's Argumentatio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dentified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Teaching Practice for Science Argumentation)

  • 김선아;이신영;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19-1030
    • /
    • 2015
  •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수업실행 변화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변특이적 PCK의 요소를 확인하고 이것이 수업 실행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과학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 당시 교육경력이 19년이었으며 연구에 참여하기 이전에 논변수업을 지도해 본 경험은 없었다. 논변활동 수업은 중학교 1학년 광합성 단원에 대한 9차시로 구성되었고 수업 이후 주 1회 약 30여분 총 5회에 걸쳐 연구자와 교사 간 협력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협력적 성찰은 녹화, 녹음되었으며, 교사의 사전사후 논변검사지, 수업전사본, 관찰일지, 협력적 성찰 전사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실행은 1~3차시에 해당하는 초반부에는 학생들에게 말하기, 논변 정의하기, 정당화하기 등을 촉진하는 발화가 주로 나타났으나 4차시 이후부터는 교사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기, 대안주장하기, 논변과정 반성해보기 등을 촉진시키는 발화도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성찰과 논변 수업 실행으로부터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발달이 나타났으며, 논변특이적 PCK는 학생에 대한 이해, 논변의 본성에 대한 이해, 논변 과제전략에 대한 이해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참여 교사의 논변 특이적 PCK에 대한 이해는 협력적 성찰과 수업실행이 반복되면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교사는 논변수업에서 학생이 갖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 논변에 대한 이해를 개인적 측면으로부터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것으로 발달시켰다. 또한 논변과제를 자발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과제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