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Lesson Reflection through the Lesson Reflection Sharing Case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lass

중등 수학 수업에서의 나눔 사례를 통한 수업 성찰문 개발 연구

  • Received : 2021.11.22
  • Accepted : 2021.12.19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It would be reasonable as a teacher to make efforts not only to reflect on the class on their own but also to improve the teacher' teaching e pertise by reflecting on the class with fellow teachers through lesson reflection sharing. This paper attempted to develop a lesson reflective framework that can provide standards and focus for lesson reflection and lesson sharing. First, based on the class evaluation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class reflection elements and a draft of lesson reflection were prepared. In a class conducted on 27 third graders at C High School where the co-researcher worked as a teacher, four peer teachers at the same high school were required to write personal opinions on the class based on the draft of lesson reflection. Based on this, lesson sharing was conducted, and modifications of the lesson reflection framework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case of class sharing.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indicate the need to clarify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lesson by sharing the intention of each question in advance. In addition to writing lesson reflections, it is necessary to share classes simultaneously.

교사 스스로 수업에 대해 성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 나눔을 통해 동료 교사와 함께 수업을 성찰하면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함은 교사로서 온당한 일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성찰과 수업 나눔을 위해 기준과 초점을 제시할 수 있는 수업 성찰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최승현, 2007; 황혜정, 2012)의 수업 평가 기준을 토대로 수업 성찰 요소를 마련하고 수업 성찰문 초안을 마련하였다. 공동 연구자가 재직 중인 C고등학교의 3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동일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동료 교사 4명은 수업 성찰문 초안에 기초하여 수업에 대한 개인 의견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나눔을 실시하고 해당 수업 나눔 사례를 분석하여 수업 성찰문(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수업 성찰문의 문항별 질문 의도를 사전에 공유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의 특정 요소에 국한, 집중하여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 작성과 더불어 수업 나눔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미, 김정희. (2016). 수업 성찰을 통한 초등미술수업의 본질 탐구. 미술교육연구논총, 45. 35-62.
  2. 김남균, 유제정. (2015).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4(1), 1-11.
  3. 김도기, 김효정. (2013).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 교원교육, 29(3). 131-156.
  4. 김상미. (2018). 소수 나눗셈 수업의 계획, 실행, 비평 과정에서 초등 교사의 성찰관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1(3), 309-327.
  5. 김순희. (2009).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01-121.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2.101
  6. 김영은, 이문복, 이정찬, 안지연. (2018). 학생 역량 강화를 위한 초학문적 융합 수업 현장 실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2018-1.
  7. 김태현. (2012).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서울; 좋은 교사.
  8. 김효수, 김은남, 김선경, 박윤환, 손현탁. (2018). 나와 공동체를 세우는 수업 나눔. 서울; 좋은교사.
  9. 김효수, 진용성. (2017), 수업 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4(3), 81-107.
  10. 김희정 (2017). 수학 교사교육 연구와 실천과제: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으로 분석한 고등학교 수열 단원 수업과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27(4). 639-661.
  11. 나귀수. (2009).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1(4), 583-605.
  12. 류현종. (2004). 사회과 수업 비평: 예술비평적 접근. 박사 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3. 방정숙, 선우진. (2015).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625-647.
  14. 서근원. (2008). 수업 개선의 대안적 방안 탐색-교육인류학의 수업대화. 아시아교육연구, 9(1), 95-132. https://doi.org/10.15753/AJE.2008.9.1.005005
  15. 선우진, 방정숙. (2014).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 계점 분석. 초등수학교육, 17(3). 189-203.
  16. 신을진. (2015). 교사의 성장을 돕는 수업 코칭, 서울; 에듀니티.
  17. 오택근. (2016). 수학 수업의 성찰적 실천을 위하여 : 학교 안 수학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학교수학. 18(1), 105-126.
  18. 유지원, 황혜정. (2020).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 비평문 개발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6(4), 475-492.
  19. 이규철. (2016). 수업코칭, 수업 친구와 함께하는 수업 나눔. 서울; 맘에드림.
  20. 이금선, 강옥기. (2008).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반성에 대한 준거 제안, 학교수학. 10(2), 199-222.
  21. 이동국, 김태숙, 백순주, 장예진, 김갑용, 강종숙, 최윤선, 이정혜, 성은경, 최예정, 주은정, 정향미, 이현정, 심하영, 이봉희, 나영숙, 진은화, 임진명, 우성은, 양준식, 유영택, 안용현. (2019).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과 학습공동체 이야기. 서울; 테크빌교육.
  22. 이혁규. (2007).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 151-185.
  23. 이혁규, (2010).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교육인류학연구, 13(1), 69-94. https://doi.org/10.17318/JAE.2010.13.1.003
  24. 이화진, 오은순, 송현정, 전효선, 강대현, 권점례, 곽영순, 진의남, 유정애, 이경언, 양윤정, 이병천, 이미숙, 김명화, 오상철, 홍선주. (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 2006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2006-1.
  25. 임현정. (2010). 성찰과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수업보기. 초등교육학연구, 17(1), 105-128.
  26. 정재찬. (2006). 국어 수업 비평론. 국어교육학연구, 25집, 389-420.
  27. 최승현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연구보고 RRI 2007-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 최승현, 황혜정 (2008).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29. 황혜정. (2011).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30. 황혜정. (2012).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6(1), 29-55.
  31. 황혜정. (2018). 수학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2(1). 97-111.
  32. 황혜정, 최승현, 조성민, 박지현. (2019). 수학교육학신론2. 용인: 문음사.
  33. Cavanagh, M., & McMaster, H. (2015). A professional experience learning community for secondary mathematics: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7, 471-490. https://doi.org/10.1007/s13394-015-0145-z
  34. Heaton, R. M. (1994). Creating and studying a practice of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for understan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35. Horn, I. S. (2012). Teachers learning together: Pedagogical reasoning in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conversations. In Proceding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ICME-12) 1057-1065.
  36. Kane, T. J. & Staiger, D. O. (2012). Gathering feedback for teaching: Combining high-quality observations with student surveys and achievement gains. Research Paper. MET Project.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3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14).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s success for all. Reston, VA: Author.
  38. She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8155
  39. Van Es, E. A., & sherin, M. 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244-276. https://doi.org/10.1016/j.tate.2006.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