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맹학교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7초

학교시설 유지관리 법제화 방안 연구 (A Study Regarding the Legislation of Maintenance for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25
    • /
    • 2014
  • The recent trend has been consistently raised by the media of educational environment issues such as deteriorated existing school facilities, water-leaks due to the lack of proper maintenance and poor toilet facilities.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budget to be used for maintenance of school facilities, an effort to extend the life of the facility to the max is needed. However, current maintenance system of school facilities is to deal with the defects after discovered, and consequently the durable period is shortened due to early deterioration of facilities and efficient budget execution cannot be realized. For this reason, the result emphasizes the need to improv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school facilities, and proposes a systematic bill of school facilities maintenance according to expert investig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school facilities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that is distributed to a number of laws.

녹색지수 개념의 학교시설 녹색건축인증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of school facilities in the concept of the Green Building Index)

  • 맹준호;이상민;이승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1호
    • /
    • pp.35-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schoo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the concept of the Green Building Index by comparing items of domestic system with those of foreign system. School is a public facility for students. S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School must have educational point of view adding to energy saving,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etc. Also school is forming a large part with the apartment hous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o we need to manag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school to meet carbon reduction policy.

미국의 LEED와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비교 연구 -학교시설 사례분석을 통한-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LEED by School Cases)

  • 이승민;이상민;맹준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2호
    • /
    • pp.30-4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items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spread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KGBCC) by comparing items and school cases of KGBCC with those of LEED 2.1. LEED 2.1 is concentrating on 'Energy' and 'Indoor Air Quality' and KGBCC is relatively showing even distribution. And LEED 2.1 is not evaluate 'Ecology' that is important to us. And school cases of KGBCC and LEED 2.1 obtained similar scores by field or those of KGBCC obtained more scores. Domestic buildings need to ontain certification by KGBCC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Also we need to lead activating of KGBCC through incentive programs.

저 탄소 학교건축물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ization Method of Low Carbon School Building)

  • 태성호;조영상;신성우;이승민;맹준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2호
    • /
    • pp.30-37
    • /
    • 2010
  • This study purposed realization and a phase reduction of school building $CO_2$ emissions. Accordingly selected standard school buildings and evaluated life cycle environmental load($CO_2$). This study proposed Green building technology which separated design sector, energy sector, afforestation sector for carbon-neutral city school buildings realization of M-city. As a resul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f M-city built in the year 2013 were required that design sector was Energy Performance Index(EPI) 75 point and energy sector was solar installations more than 25% of the power usage, Solar systems installed more than 10% of total gas consumption and the area of afforesting more than 35% of the ecological area to achieve 30% $CO_2$ reduction compared to the Respectively standard school buildings.

녹색건축물인증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학교시설 용도구분 개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cused on the school use classification-)

  • 이재옥;맹준호;이상민;이승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1권2호
    • /
    • pp.28-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Schoo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comparing items of domestic system with those of foreign system. Especially, we focused on school use classification. Use classific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ust be based on Building Codes and reflect the nature of building use and size. School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preschool, school(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ect. Also they must be set up assessment method reflecting the nature of school use and size.

학교시설 환경개선 공사사례의 공기연장 원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Period Extension Cause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1호
    • /
    • pp.13-27
    • /
    • 2023
  • 본 연구는 학교공사의 공사기간을 산정할 때 공사 목적물의 품질 및 공사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며 공사의 규모와 학사의 일정, 지역여건(민원발생) 등을 고려한 해당 지역 또는 교육청에 최적화된 공사유형별 적정 공사기간 산정을 위해 A교육청의 학교시설 환경개선 공사사례를 바탕으로 공사기간 연장 사유 등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사기간 사례 분석을 위해 A교육청 관할의 학교공사 분석 기상자료개방포털 자료 분석, 2단계 통계분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학교시설 적정공사기간을 산정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향후 학교시설 적정공사기간 산정을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산정하여 공사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시설 외부 안전환경 현황 조사연구 - 학교 주변 통학로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Safety Environment around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School Routes -)

  • 맹준호;김관영;김성중;박영빈;신소영;김효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0
    • /
    • 2020
  • 학교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등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안전사고 발생 건수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특히 최근에는 통학 관련한 사고유형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시설은 통학환경에 대한 관리주체가 학교, 교육청 등이 아닌 지자체 등에 있어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고 교육청 및 교육부에서도 별다른 통학 안전 환경에 대한 기준 및 체계 등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시점에서 학교시설 안전을 향상하기 위해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교시설 외부 환경 안전을 위한 조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도출한 4가지(보차분리, 보행로 관리, 보행 시야 확보, 주변 위험요소) 안전평가항목을 설정, 전국 179개 학교시설(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의 국내 사례를 대상으로 통학로를 중심으로 현황 분석하였다. 평가 항목에서 절반 이상의 지역에서 평가 점수의 50% 이하로 평가되었다. 이에 해당 평가 항목을 반영하여 학교시설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개선이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및 행정적 개선 방향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수학교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사례조사 및 자문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Special School Facilities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Advice-)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특수학교 교육공간이 지니고 있던 문제 및 한계를 벗어나 미래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반영하는 창의적이고 새로운 교육공간의 구체적인 실행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사례조사와 전문가 자문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방향(Criteria)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과 국내 사례시설의 조사, 특수학교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특수학교 계획기준 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시설 모델을 마련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 교육정책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노후 학교시설의 개축 및 리모델링 타당성 판별 방법에 대한 기초연구 -인천광역시 S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 of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of Deteriorated School Facilities - Focusing on the Case of S High School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0
    • /
    • 2022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S 고등학교의 40년 이상 경과된 본관동의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추진을 위한 개축과 리모델링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객관적 사업 근거를 마련하고, 사업 추진 적정예산 수립 및 사업추진 방향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과, 개축과 리모델링의 판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적용 및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제성 검토를 통한 정량적 평가 결과와 교육기능적 검토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종합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 개축과 리모델링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연간발생비용에 따른 경제적 측면에서는 모든 대안에서 개축안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조사의 결과에 따라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 활동의 지원과 교육과정, 특히 곧 시행 예정인 2022 개정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등 새로운 교육방향을 적용하는데 공간 기능적 측면에서의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므로,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리모델링 보다는 개축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후학교시설 개축 판별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Determining the Reconstruction of Retired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2
    • /
    • 2022
  • 본 연구는 노후 학교시설에 대한 합리적인 개축 및 리모델링을 위한 판단기준 마련을 위해, 기능적, 성능적, 구조 안전, 경제성 지표를 정량화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개축 및 리모델링으로 사업유형 결정을 위한 객관적 근거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평가지표의 설정을 위한 주요 방법론은 델파이 분석과 AHP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기능 및 성능성 분야는 34점, 구조 안전성 분야는 51점, 경제성 분야는 15점을 기준으로 한 각 평가항목별 배점을 설정하였다. 향후 평가지표 모형을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개축 여부 판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대상학교 현황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각 대상학교 교사동에 대한 사업유형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