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Safety Environment around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School Routes -

학교시설 외부 안전환경 현황 조사연구 - 학교 주변 통학로를 중심으로 -

  • 맹준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김관영 (충북대학교 시설과) ;
  • 김성중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박영빈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신소영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김효선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Received : 2020.03.06
  • Accepted : 2020.06.1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Despit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hat have been enacte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school facilities, the number of school accidents has continued to rise, particularly in regards to the number of accidents related to schools. However, school facilities have had a difficult time creating safe school environments for the school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 the school or educational offices, have insufficient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standards and systems for the promotion of safe school environments.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of school facilities. To this end, four safety assessment topics (separation of pedestrians, pedestrian path management, pedestrian visibility, and surrounding risk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the surveyed data for the safety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ol facilities. 179 school facilities nationwide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were analyzed for current cases of accidents that occurred mainly on school roads. Roughly 50% of the analyzed evaluation score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등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안전사고 발생 건수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특히 최근에는 통학 관련한 사고유형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시설은 통학환경에 대한 관리주체가 학교, 교육청 등이 아닌 지자체 등에 있어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고 교육청 및 교육부에서도 별다른 통학 안전 환경에 대한 기준 및 체계 등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시점에서 학교시설 안전을 향상하기 위해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교시설 외부 환경 안전을 위한 조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도출한 4가지(보차분리, 보행로 관리, 보행 시야 확보, 주변 위험요소) 안전평가항목을 설정, 전국 179개 학교시설(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의 국내 사례를 대상으로 통학로를 중심으로 현황 분석하였다. 평가 항목에서 절반 이상의 지역에서 평가 점수의 50% 이하로 평가되었다. 이에 해당 평가 항목을 반영하여 학교시설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개선이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및 행정적 개선 방향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정책네트워크 (2019). 2019년 교육정책네트워크 해외 교육동향 기획기사. 메일진 해외교육동향, (344), 7-32.
  2. 김현정 (2019). 어린이 통학로 운영 국내외 사례 및 시사점. 이슈와논점, (1627).
  3. 유광흠, 진현영 (2013). 영국의 사례를 통해 본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정책.제도 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67), 2-8.
  4. 차경륜 (2009).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5. 최호원 (2018.6). [월드리포트] 日오사카 지진, 통학로 사고에 난리난 이유. SBS뉴스. Retrieved from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23212
  6. 홍다희, 박진우, 임재경 (2018). 안전 취약계층의 교통안전 제고방안. 한국교통연구원.
  7. 어린이 통학로,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 통학로 관리 필요. (2019). 국회입법조사처
  8. 한국형사정책연구원(2010). 학교 CPTED 가이드라인: 학교시설물 및 관리 실태 조사.
  9. KOTI (2016). 교통사고제로화 브리프. 한국교통연구원. 3(1). 2-16
  10. 범죄예방디자인연구정보센터, http://www.cpted.kr
  11.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12. 교육통계서비스, http://www.kess.kedi.re.kr
  13. SRTS guide. Retrieved March 2, 2020 from http://guide.saferoutesinfo.org/introduction/index.cfm
  14. Find safe waking or cycling routes to your child's school. Retrieved March 2, 2020 from https://www.gov.uk/safe-walking-cycling-routes-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