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기질이 유아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hat infant temperament has on the infant's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 장경자;김종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05-71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질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질의 적응성, 활동성, 자아존중감의 인지적능력, 동료수용의 경우 어린이집의 평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질의 반응성, 자아존중감의 어머니수용, 동료관계, 또래유능성의 사교성은 유치원의 평점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남아의 '생리적규칙성'이 여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기질,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기질의 '반응성'의 경우 만 5세가 a그룹으로 만 3세, 만4세가 b그룹으로 나뉘어 차이를 보였으며 '생리적규칙성'의 경우 만3세의 규칙성이 가장 컸으며 만5세의 규칙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감에서는 만4, 5세가 만3세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교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variables effecting on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 Focusing o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7-167
    • /
    • 2013
  • 본 연구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와 교사관계 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연구대상은 기초생활수급 계층, 차상위계층, 차차상위계층의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들이었다. 조사도구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 교사관계 질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또래관계의 질,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신뢰,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 교사와 우호적 관계가 제시되었다. 둘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의 질,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요인은 부모의 애정 및 감독, 양육태도의 일관성, 또래로부터의 비소외감, 의사소통 및 신뢰, 교사와 우호적 관계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빈곤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 복지프로그램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ren's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on Self-esteem among Children in Out-of-home Car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giver and Peer Attachment-)

  • 김소연;전종설;강현아;노충래;우석진;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3호
    • /
    • pp.51-7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아동복지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에서 426명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친부모와의 정기적 만남을 통해 친부모와의 관계 개선 및 이를 통한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하였다.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또래지위 및 공격성과의 관련성 탐색 (Classifying the Latent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Social Achievement Goals Types and the Exploration of Peer Status and Aggression)

  • 최은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2호
    • /
    • pp.223-24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성취목표의 세 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를 잠재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이 또래지위와 공격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취목표와 사이버 공격성은 자기보고 방식으로, 또래지위와 외현적 공격성과 대인관계 공격성은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나누었으며, 또래지위는 지각된 인기와 사회적 선호로, 공격성은 외현적 공격성, 대인관계 공격성, 사이버 공격성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은 클래스넷 4차년도 자료 중 학년 비율을 고려해 무작위 추출한 초등학생 1,239명(남 633명, 여 606명)이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해 사회적 성취목표 유형을 분류한 결과 세 집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취목표의 세 집단은 각각 '숙달지향 성취목표형(184명, 14.9%)', '평균 성취목표형(852명, 68.8%)', '고사회적 성취목표형(203명, 16.4%)'으로 명명되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또래지위 및 공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1차 시기 사회적 선호가 높을수록 고사회적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았고, 사이버 공격성이 높을수록 숙달지향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았다. 또한 2차 시기 대인관계 공격성이 높을수록 평균 성취목표형 집단보다 고사회적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이중매개효과와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rop-out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 박혜진;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81-91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그릿을 통하여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메카니즘을 파악하여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의 3개 시군에서 편의표집한 고등학생 28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중단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 그릿, 또래관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은 자 아존중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증진시키는 상승역할 뿐만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자아존중감→또래관계→학업중단의도의 경로를 조절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그릿이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애-비장애 유아 통합 그룹에 적용된 이야기 기반 상호적 음악 활동에 따른 유아의 또래수용 및 놀이상호작용 변화 (Changes in Peer Acceptance and Play Interactions in Integrated Group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Story-Based Interactive Music Activities)

  • 이예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1권2호
    • /
    • pp.77-105
    • /
    • 2024
  • 본 연구는 통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이야기 기반 상호적 음악 활동이 유아의 놀이 상호작용 행동과 비장애 유아의 장애 유아에 대한 또래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만 3-5세의 발달장애 및 발달 지연 유아 6명, 비장애 유아 21명이다. 대상자는 통합 그룹과 비통합 그룹에 배정되어 30분씩 주 2회, 총 10회기의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다양성 인식, 행동 전략 습득, 재경험 및 확장의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매 회기 중재 이후 자유 놀이 중 나타나는 놀이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에 사회적 측정법을 사용하여 비장애 유아의 또래수용 태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 그룹에 소속된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의 상호놀이 단절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비장애 아동의 공동행동과 장애 유아의 공동주의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합 그룹의 비장애 유아는 또래 수용 태도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비통합 그룹의 비유아는 장애또래에 대한 수용 태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야기 기반 상호적 음악 활동이 장애-비장애 유아 간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반면, 상호작용의 구체적인 변화에 비해 또래수용 태도에서의 미비한 결과는 유아들의 발달수준을 고려할 때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장애와 비장애 유아의 개별적 필요에 따른 맞춤형 개입의 중요성도 강조된다. 본 연구는 장애-비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개입이 강조되는 시점에 체계적 중재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y,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Peer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 최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6호
    • /
    • pp.47-5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emotion regulation on peer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The subjects were 100 preschool children (49 girls and 51 boys; mean age, 70.30 months), their mothers and teachers, recruited from five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area. Each child's language ability was assessed individually with the standardized measure,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and their teachers reported on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Their mothers also reported on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child's emotion regulation by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maternal warmth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ir aggressive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harsh maternal parenting but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maternal warmth predicted peer competence. Third, children's gender, emotion regulation, and harsh maternal parenting predicted aggressive behavior.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grams and services to promote peer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유아의 놀이 선호 유형과 또래유능성 및 또래수용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Play Preferences to Peer Competence and Peer Acceptance)

  • 조경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11-62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play preferences through observation at their classroom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preferences and their peer competence and peer acceptance. The subjects were 55 four-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C city of Chungnam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MANOVA,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ys and girls showed different play preferences except for language play and science play. Boys were better liked by same-sex peers while girls were better liked by other-sex pe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ertain play preferences. Block play preferenc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play preferences. Third, some play prefere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e sub-dimensions of peer competence. Language play display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pro-social behavior, but art play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to leadership. Finally, peer accep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number/manipulation play preferences. Other-sex peer accep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mber/manipulation play preferences and art play preferences but negatively with block play preferences.

또래 괴롭힘과 외현과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횡단 및 종단연구: 성별을 중심으로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n Bullying/Victimization and Overt/Relational Aggression: Focused on gender)

  • 심희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07-1118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sistency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victimiz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victimization and overt/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groups and overt/relational aggression with gender. The subjects were 4th grade children and 2 years later they were contacted again. Instruments were the Bully-Behavior Scale, the Peer-Victimization Scale and the Peer Nomination Instrument. Bullying,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victimization were decreased while there were consistencies in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from 4th to 6th grad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male victims at Time 1 were negatively related to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t both Time 1 and Time 2. Female bull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at both Time 1 and Time 2. In the cross-sectional relations of overt aggression with bullying groups,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al aggression with bullying groups, only bullying group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 of overt aggression with bullying groups, only gende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Males appeared to be more overtly aggressive than females. In the relational aggression, bullying groups, gende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ullying groups and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Female bullies were more likely to be relationally aggressive than other groups.

남녀 아동의 또래괴롭힘과 관련된 변인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Correlates of Peer Victimization in Boys and Girls -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Self-Esteem)

  • 도현심;김선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4호
    • /
    • pp.117-126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self-esteem to peer victimization as well as the gender differences in peer victimization. A sample of 494 5th- and 6th-grade children in Pusan answere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ing,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victimization. Peer victimization consisted of two constructs, bullying and victimization by pun.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orrelations. Boys showed more overt bullying and victimization by peers than girls, but relational peer victimization didn't vary as a function of the gender. Overall, the more boys and girls perceived their mothers as rejective/restricted, protective, and physically abusive, the more they were bullied and victimized. Both boys and girls were bullied and victimized by their peers when they showed lower self-esteem. Especially self-esteem was more highly correlated with victimization by peers than bull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