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생활교육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과 일본의 중등 가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녹색생활교육 (Content Analyses of Green life-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a)

  • 장상옥;이연숙;박미정;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3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중등 가정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 학습방법, 평가/내용취급에 명시된 녹색생활 교육내용의 관점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한국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가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 가정과학과 일본의 2008 고시 중학교 기술 가정, 2009 고시 고등학교 가정기초 가정총합, 생활디자인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정 교육과정 분석결과, 양국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 학습 밥법, 평가/내용취급' 요소에 모두 녹색 생활 교육의 다양한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양국 모두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에 녹색생활 교육 측면이 가장 많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반면 '성격'과 '목표' 요소에는 반영 정도도 낮고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으로 반영되어 있다. 양국 교육과정 전반에 나타난 가정교과에서의 녹색생활 교육은 이론적 측면보다는 가정생활 전반에 걸쳐 실천적이고 체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었다. 녹색생활 교육 요소가 적고 편중된 내용영역은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발할 때 관련 내용의 보완이 요구되며, 핵심 내용요소는 사실적 지식 제시를 넘어서 환경과의 관련성에서 구성해야 할 것이다.

  • PDF

한.일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녹색생활 학습자료 분석 (Content Analyses of Green Life-Teaching Materials in Korean and Japanese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조재순;박미정;장상옥;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3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에 실린 녹색생활교육 학습자료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l학년 기술 가정교과서 6권과 일본의 고등학교 교과서 4권을 포함하여 총 10권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분석 결과, 두 나라 모두 녹색생활교육 자료가 가정경영/소비생활 영역에 가장 많고, 학습 자료 유형은 표/그림/사진 자료가 가장 많았다. 한국 가정교과서에는 녹색생활교육 관련 내용과 실천적 활동 학습자료가 전 영역에 거쳐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나 출판사별 차이를 감안할 때 현장교사는 학교에서 채택한 교과서 이외에 다양한 교과서를 참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차기 가정과교육과정에는 선행연구에서 밝힌 녹색생활 내용요소들을 고루 포함하고, 중학교의 학습 자료 내용과 차별하여 심화된 실천적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한.일 중학교 가정교과서의 녹색생활교육 내용분석 (Content Analyses of Green Life-Educational Materials in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Horne Economics Textbooks)

  • 박미정;조재순;장상옥;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가정 교과서에 실린 녹색생활교육 학습자료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l학년과 2학년의 한국 교과서 8권과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 2권을 포함하여 총 10권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정교과서 분석 결과, 한국 교과서는 모든 영역의 학습자료 유형 중 표/그림/사진 자료가 가장 많고 용어/용어 설명이 많았던 반면, 일본은 구체적인 활동자료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학습자료 유형이나 분량은 교과서별 영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과정에 명시된 것은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었다. 자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구체적인 녹색생활교육 내용을 명시하교 학습자료를 단순 지식보다는 태도와 행동의 변화나 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in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on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 강인숙;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33-158
    • /
    • 2014
  •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 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 지원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가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논의 결과, 유아녹색성장교육 활동이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되어 유아의 녹색생활이 일과 속에 실천되어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생활이 실천될 수 있도록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기술.가정교과에서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 연구 (A Study on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in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 남승권;최완식;윤자룡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1-148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가정교과에서의 녹색성장 교육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을 개발하고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녹색 정보기술 교육의 실천방안을 개발하였고,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을 적용한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둘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셋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 검사지를 통해 대전에 위치한 D중학교 학생(남 62명, 여 59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 적용 수업이 컴퓨터, 모니터 및 데이터 둥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직접적으로 접하는 항목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점을 통해 향후 기술 가정 교과에서 녹색성장 교육과정 개발 시 생활과 밀접한 내용을 보다 많이 고려하여 편성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 적용 수업이 프린터, 주변기기 및 기타 항목에서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향후 보다 많은 학생들이 프린터 및 주변기기를 보유할 것을 예상하여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실천 방안을 보다 면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녹색성장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편성할 때 남학생과 여학생을 특별히 구분하여 개발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녹색소비 실천교육이 유아의 녹색소비 인식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een Consumption Practi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 전예화;제미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27-537
    • /
    • 2012
  • Green consumption refers to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use and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 and disposing of products in an eco-friendly manner.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green consumption education and awareness program offered to young children in a university-sponsored daycare. The education and awareness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young children's knowledge and behaviors toward the environment through green consumption education. The program was presented to 22 5-year old children in 15-20 minutes sessions, once a week for 4 weeks.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Upon the completion of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noticeable changes in children's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 the environment. Mothers of participating children reported that children's environmental behaviors changed significantly, displaying a stronger green consumption attitude. This study suggest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du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hildren'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and conservation practices.

가정교과내 의.식.주생활 영역의 주제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가족의 생활'과 '가정생활의 실제' 단원의 녹색생활요소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lan focused on Green Life of Clothing, Food, and Housing in Home Economics)

  • 김선순;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6
    • /
    • 2014
  • 본 연구는 가정교과내 의 식 주생활 영역을 아우르는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후, 수업 결과물을 분석 평가하여 학교 현장 적용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 두고, ADDIE 모형에 Meinback 연구팀의 주제중심 통합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단계에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주제와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고, 설계단계에서는 주제선정, 주제 조직, 자료수집, 활동과 프로젝트를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는 교수?학습 과정안(6차시)과 교수 학습 자료(동영상, 읽기자료, PPT자료, 개별 및 모둠활동지 등),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고, 실행은 남원시 U중학교 2학년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학생활동 결과물과 학생 설문지를 평가하였으며, SPSS WIN 통계 프로그램 Ver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발한 교과내 주제 중심 통합 교수 학습 과정안은 '녹색 가정생활'이라는 주제 아래 선택(1, 2차시), 사용(3차시), 처리(4차시), 대안(5, 6차시)이라는 과정으로 하위주제를 구성하였고, 각 차시별로 의 식 주생활의 내용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수업 후 학생 활동 분석 결과, 자신의 생활이나 경험과 관련된 통합 사례나 경험활동을 중심으로 통합한 활동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문제를 중심으로 한 활동은 다소 어려워하였기 때문에 활동 전에 예시자료를 제시하여 통합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업을 진행할수록 학생들의 활동지 해결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수업에 적용한다면 통합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학생 설문지 중 교과 내 주제중심 통합 수업에 대한 평가에서는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본 수업을 통해 의 식 주생활이 연관성이 있고, 가정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여러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과 녹색 가정생활은 의 식 주생활과 관련이 있어 여러 영역에서 함께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렇게 의 식 주생활에서 함께 실천한 녹색 가정생활이 지속가능한 삶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업의 전반적인 사항인 수업 이해정도, 실용성, 만족도 평가에서도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녹색 가정생활은 생활의 전 영역에서 이루어지므로 의 식 주생활의 통합 주제로 적합하며, 이 주제가 의 식 주생활이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의 식 주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 실천방안을 강구하는데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촌지역의 단일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후검사만 실시한 결과이므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지역과 학교규모를 달리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rrier Free Composition of Kindergarten)

  • 송정란;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9-17
    • /
    • 2017
  • 본 연구는 단설유치원 교직원과 교육청의 시설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지도와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구축을 위해 강화 또는 완화해야 할 편의시설을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기설 단설유치원의 개선 편의시설에 대해서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현행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유치원의 의무 권장 설치대상 편의시설과 그에 따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기설 유치원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제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 또는 건물 구조상 개선이 어려운 항목은 배점을 낮게 조정하여 기설 유치원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인식적 측면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인증기관을 중심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기존유치원과 신설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조성 방향의 핵심은 보호능력과 안전의식이 부족한 유아의 특성을 감안하는 것이다. 모든 출입구의 높이 차이를 제거하고 자동문을 설치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위생시설은 유아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적절한 높이와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최근 유아기 공동체 활동이 강화됨에 따라 강당이나 도서관의 각종 편의시설 확충과 피난안전시설도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유아들의 교육 생활 공간인 단설유치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기설 유치원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시도된다면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학교 유휴시설 활용 생활형SOC사업 정책 방향 연구 - 일본 유휴교실 및 폐교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of the Life-style SOC Project Using School Idle Facilities - Focusing on the Use of Idle Classes and Closed Schools in Japan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유휴시설 활용에 적합한 지역사회 생활 SOC 사업의 종류와 운영 제안을 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본 유휴교실 및 폐교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적 특성에 따른 바람직한 활용 시설의 종류와 운영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도심 및 읍면등 주민의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의 경우 주민의 생활편의시설의 일환인 도서관, 창업상담 및 전시공간 및 평생교육 등이 바람직하고 인구 감소가 높은 면 지역 등 농·산촌 지역의 경우 지역사회 전통 체험 교육장 등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설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