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rrier Free Composition of Kindergarten

  • 송정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투고 : 2017.11.28
  • 심사 : 2017.12.22
  • 발행 : 2017.12.31

초록

본 연구는 단설유치원 교직원과 교육청의 시설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지도와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구축을 위해 강화 또는 완화해야 할 편의시설을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기설 단설유치원의 개선 편의시설에 대해서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현행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유치원의 의무 권장 설치대상 편의시설과 그에 따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기설 유치원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제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 또는 건물 구조상 개선이 어려운 항목은 배점을 낮게 조정하여 기설 유치원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인식적 측면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인증기관을 중심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기존유치원과 신설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조성 방향의 핵심은 보호능력과 안전의식이 부족한 유아의 특성을 감안하는 것이다. 모든 출입구의 높이 차이를 제거하고 자동문을 설치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위생시설은 유아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적절한 높이와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최근 유아기 공동체 활동이 강화됨에 따라 강당이나 도서관의 각종 편의시설 확충과 피난안전시설도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유아들의 교육 생활 공간인 단설유치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기설 유치원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시도된다면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onvenience facilities to strengthen or mitigate the Barrier Free awareness and Kindergarten Barrier Free for the kindergarten school staff and the public facility officials of the education office. In addition, to improve the Barrier Free, the improvement facilities of the kindergarte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irst, from the institutional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existing regulations of the Act for the Promotion of the Convenience Promotion of Disabled Persons, Elderly and Pregnant Women in Korea, and to change the facilities for duties and recommended install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standards. Second, in order to apply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system to the kindergarten in terms of facility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barrier kind of the kindergarten so as to receive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by lowering the score of the items difficult to improve due to the terrain or building structure. Third, the perception of Barrier Free is still not high in terms of soci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creating a Barrier Free for a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 and living space of children who are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change of Barrier Free in Kindergarten if an attempt is made to improve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index suitable for public kindergarte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근(2010).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추진 및 정책방향. 2010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제도 세미나, 주최 : 보건복지부.국토해양부.
  2. 강희숙(1993). 어린이 우발사고 요인 및 행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3. 국토교통부(2010).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 지침. [국토해양부 공고 제2010-827호]
  4. 김인순(2010).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제도 건축물 분야 인증취득방법. 2010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제도 세미나, 주최 : 보건복지부.국토해양부.
  5. 김해솔, 최영준, 이경회(201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건축물 인증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상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011-05), 93-99.
  6. 박신원, 유인숙, 조영태, 이범규, 김상운(2013).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 성과분석. 토지주택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12, 1-166.
  7. 박준호(2015). 무장애 인증건축물을 이용하는 사회적 약자의 이용 만족도 및 안전의식.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노인의료복지학과 노인의료복지전공.
  8. 변성헌(2006). 통합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9. 서정민(2011). 통합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10. 이경성(2016).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공공시설 분석을 통한 B.F 인증지표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11. 이규일(201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선방향 연구 : 건축물분야 인증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7(4). 25-37.
  12. 이삼이(2015). 장애물 없는 학교시설환경 구성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 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
  13. 이태구(2001). 편의시설 바른 설치.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교육(47-79).
  14.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 2016.8.12.] [법률 제13805호, 2016.1.19., 타법개정]
  15.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17.7.26.] [대통령령 제28211호, 2017.7.26., 타법개정]
  16. 정은영(201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건축 계획적 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공학전공.
  17. 최창규(2013).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적용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건설경영학.
  18. 한국장애인개발원(2013). 장애인편의시설 매뉴얼(교육연구시설편(학교)). 서울: (재)한국장애인개발원.
  19. 황인덕(2001). 통합교육의 물리적 환경 실태와 개선방안 : 대전광역시 초등학교 장애인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