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in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on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 강인숙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4.08.04
  • Accepted : 2014.10.05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is study's aims at seeking ways to suppor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Growth' for children, in order for children to practice green life from their infancy and study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al activity in knowledg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cep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ttitudes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fifty-four children of five years of age attending the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Incheon. Twenty-seven were class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Twenty-seven were in the comparative group.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e t-test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7.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demonstrated higher score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knowledg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cep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ttitudes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s tha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for children, enhances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receptivity to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changes of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then advisable to integrate and apply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to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s from early childhood.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 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 지원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가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논의 결과, 유아녹색성장교육 활동이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되어 유아의 녹색생활이 일과 속에 실천되어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생활이 실천될 수 있도록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갑 (2004). 도시지역 중학생의 환경 친화 행동을 위한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에 관한연구: 한국 숲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정원 (2010). 녹색실천인 양성을 위한 영유아 교육. 녹색 성장 시대!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영유아 교육 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129-156.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5세 누리과정 교사 지도서.
  4. 교육과학기술부 (2012a). 유치원 운영 지원을 위한 유아녹색 성장 프로그램 자료집.
  5. 교육과학기술부 (2012b).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녹색성장교육 정착.확산 방안.
  6.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7. 김경순 (2001). 충북지역 중고등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감수성 및 태도와 환경 친화적 동의 관련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송주 (2007).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 및 유아의 환경 친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세영 (2002). 체험중심의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영주, 이명환 (2013). 5세 누리과정의 녹색성장교육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실천.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499-518.
  11. 김주영 (2007).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1(3), 23-47.
  12. 김지연, 송종은, 손기철 (2010). 유치원 환경교육과정에 기초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예과학 기술지, 28(2), 37-37.
  13. 녹색성장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환경부.행정안전부 (2009. 8. 24). 창의적 녹색 인재 양성을 위한 녹색성장교육 활성화 방안.
  14. 류혜숙, 신금호 (2010). 생태동화를 통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학논집, 14(4), 189-208.
  15. 박성은 (2003). 자연체험활동을 통해 본 유아의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세영 (2012). 환경동화를 활용한 유아 환경 교육활동이 친환경적 태도와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언휘 (2004).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경험세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진희, 장남기 (1999). 환경교육의 평가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2(2), 120-138.
  19. 박현선 (2000). 프로젝트 중심 유아환경 교육의 운영과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희숙 (2009). 가정 연계 모델 중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1-23.
  21. 소경희 (2007).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와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송달용 (1998).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환경친화적 행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송영우 (1994). 환경보전캠페인이 사회책임적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신금호 (2009).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환경보전지식, 환경친화적 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2), 143-160.
  25. 신금호 (2011). 창의적 동작표현활동 중심 환경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6(3), 25-43.
  26. 신민숙 (1998). 유치원에서의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신지현 (2010).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생태미술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안건훈 (2009). 희귀성 멸종동물 복원의 필요성과 그 대책. 문학과 환경학회, 8(1), 29-53.
  29. 유구종, 김은아 (2013). 저탄소 녹색성장 스마트 전자책 제작을 위한 유아교육 자료집 및 교사인식.방안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403-427.
  30. 유구종. 한명옥 (2011). 2007년 개정 [유치원지도서]의 저탄소 녹색성장관련 활동분석 및 홀리스틱 관점에서의 방안모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2), 56-76.
  31. 유혜민 (2005). 자연 놀이경험을 통해 본 3세 유아의 자연에 대한 태도 및 개념이해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유혜숙 (1999).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윤기영, 조경희 (1993). 유치원의 환경교육. 서울: 교문사.
  34. 윤애희, 박정민 (1998). 유아환경교육. 서울: 보육사.
  35. 이규진 (2006).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성덕, 김형균 (2010). 환경 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한양대학교 교육논총, 47(2), 65-88.
  37. 이윤옥 (2012). 통합적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환경친화적 소양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6(5), 97-116.
  38. 이윤진, 양미선, 황미영 (2011). 녹색성장시대 육아지원기관의 대응방안. 육아정책연구소.
  39. 이은희 (2009). 생활주제 중심의 환경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지식 및 환경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현정 (2012). 탐구중심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이혜선 (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자연 친화놀이가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희경 (2012).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의 실천 방안. 유아교육의 창의적 교수학습 실천방안.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집. 39-62.
  43. 이희경 (2013).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제고방안. 제7차 누리과정 발전포럼. 육아정책연구소, 3-27.
  44. 임미진 (2007). 통합적 접근을 통한 생태미술교육 방안 연구: 유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장정애 (2011).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6. 전수옥 (2004).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교육 교재 개발 연구: 자연환경 영상 및 사진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전은정 (2001). 대구시 고등학생의 환경교육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 선택학교를 대상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조형숙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환경 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논집, 7(2), 156-180.
  49. 조형숙 (2010). 영유아를 위한 녹색 성장 교육의 방향. 녹색성장시대!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영유아교육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33-45.
  50. 지옥정 (2011).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고찰. 한국교육연구, 38(3), 53-75.
  51. 지옥정 (2012). 지속가능성과 녹색성장을 위한 유아교육의 국제적 동향. 국제컨퍼런스. 주최: 한국교통대학교. 충북자연사랑 유아교육연구회, 1(1), 1-11.
  52. 지옥정, 이희경, 장정애, 오창길 (2012).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 교육과학기술부.
  53. 지은주, 유승희, 조희숙 (2003). 생태문학의 관점에서 본 유아의 그림책. 유아교육연구, 27(3), 223-243.
  54. 채영란, 이성혜, 박유영 (2011).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논집, 15(1), 351-369.
  55. 최남숙 (1993). 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경보전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6. 최돈형 (2002). 환경과 교수.학습론. 청람환경교육연구실.
  57. 최돈형, 김영란, 김도희, 남상준 (1992). 학교 환경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연수와 양성. 환경교육, 3(11), 33-46
  58. 한국교육개발원 (1997).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체제에 관한 연구.
  59.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3). 기후변화뉴스레터(2013. 8. 20). Vol 265, 2-6.
  60. 한수정 (1999). 유치원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및 교육현황 분석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1. 한은주 (2006). 환경음악교육이 환경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2. 한태현 (2001). 유치원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보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3. 한혜영 (2007). 자연 친화적 생태교육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4. 행정안전부 (2013). 생활속의 녹색성장. http://www.green.go.kr/(2013. 3. 20. 검색).
  65. 허영자 (1992). 유치원에서 환경교육 실태와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6. 허윤정 (2001).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7. 홍은주 (2003). 자연환경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8. 홍지명 (2006). 환경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9. Celsi, R., & Olson, J. (1988). The role of involvement i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process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 210-224. https://doi.org/10.1086/209158
  70. Chawla, L. (1986). Ecology of environmental memory. Children's Environments Quarterly, 3(4), 34-42.
  71. Davis, J. (1998).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2), 117-123. https://doi.org/10.1023/A:1022911631454
  72. Davis, J. (2010). What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J. M. Davis(ed.),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arly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pp. 21-42).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Kemple, K. M., & Johnson, C. A. (2002). From the inside out: Nurturing aesthetic response to nature in the primary grades. Childhood Education, 78(4), 210-218. https://doi.org/10.1080/00094056.2002.10522183
  74. Murray, J. P., & Dacin, P. A. (1995). Cognitive moderators of negative-emotion effect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edia contex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March), 365-38.
  75. MnM (2008). (MDGs News Monitors. 유엔환경계획(UNEP)의 환경교육 프로젝트. (http://nanum2.tistory.com/255(2013. 10. 30. 검색).
  76. Palmer, J. A., & Suggate, J. (2004).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tant places and environmental issues: Report of a UK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ideas between the ages of 4 and 10 years.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19(2), 205-237. https://doi.org/10.1080/02671520410001695434
  77. Seefeldt, C. C. (1984).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NY: Teachers College Press.
  78. Shrigley, R. L. (1983). The attitude concept and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67(4), 425-442. https://doi.org/10.1002/sce.3730670402
  79. Sia, A. P., Hungerford, H. R., & Tomera, A. N. (1985/87). Selected predictors of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n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7(2), 31-40.
  80. Sivek, D. (1988). An analysis of selected predictors of environmental behavior of three conservation organizatio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Southern University at Carbondale USA.
  81. Sivek, D. (2002). Environmental sensitivity among Wisconsi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2), 155-170.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28220
  82. Susan, H., & Jackie, S. (2002). Constructions of musical ability.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53-154.
  83.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Paris: UNESCO.
  84. UNICEF (2003). State of the world's children-child participation. (www.unicef. org/sowc03/contents /pdf/sowc03-eng.pdf(2010. 11. 2. 검색).
  85. Wilson, R. (1996). Starting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s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Report No. EDO-SE-96-2).
  86. Wilson, R. A., Kilmer, S. J., & Knauerhase, V. (1996). Developing and environmental outdoor play space. Young Children, 51(6), 56-61.

Cited by

  1.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vol.36, pp.1,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1.020
  2. Bas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Value vol.14, pp.7, 2014, https://doi.org/10.29333/ejmste/91246
  3.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환경교육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전략 분석 vol.11, pp.3, 2014,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