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과만족 인식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rvey Instruments for Recovering Trust and Commitment on the Serious Geme (교육기능성 게임에서 신뢰 회복 및 몰입에 대한 설문 척도 개발)

  • Choi, Hun;Choi, 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538-539
    • /
    • 2013
  • Recently it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of serious game which make broadened to wide area in game field. Among these, educatioonal serious game is not only satisfied with the purpose of fun and education but also has been looking ar new ways of teaching with distribution of digital textbook. It can lead to change the way we understand things using the revitalization on the basis of serious game compet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educational game and game competition and to develop the efficient management stragies.

  • PDF

A Study on the Status and Vitalizations of Serious Game Comptetition: Focusing on Serious Educational Game (기능성게임대회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Choi, Hun;Yoon, You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544-545
    • /
    • 2013
  • Recently it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of serious game which make broadened to wide area in game field. Among these, educatioonal serious game is not only satisfied with the purpose of fun and education but also has been looking ar new ways of teaching with distribution of digital textbook. It can lead to change the way we understand things using the revitalization on the basis of serious game compet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educational game and game competition and to develop the efficient management stragies.

  • PDF

A study on differences in body compariso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mong adolescent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by sex and age (광주·전남지역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신체비교, 신체만족과 외모관리행동 연구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

  • Wee, EunHah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7 no.1
    • /
    • pp.13-29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y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compariso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Gwangju and Jeolla province. It was conducted by a self-report survey of 59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eigth and eleventh grade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hi}^2$ test, K-means cluste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grouping using SPSS/PC WIN 19.0 sta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Adolescents perceived and internalized more highly than the common level the socialcultural value toward appearance, especially for female, and by age, juniors in high school than in middle school.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epted type', 'internal type', 'aware type', and 'unaccepted type'.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as 'accepted type', and 'internal type' showed lower level of body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ir bodies more often with others. They also actively receiv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refore,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and functional garments. They also worked hard to reduce their weights just to show off to other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programs to protect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the socialcultural distortion to appearance.

  • PDF

A Comparative Study on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between Alternative and General School Students -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가정교과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경기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

  • Ha, Yunmyoung;Lee, Jongyi;Lee, Joonho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4 no.4
    • /
    • pp.39-58
    • /
    • 2012
  • This study was practiced to compare educational status and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between alternative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130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nd 241 general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In students'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there is appeared the highest at 'average'(38.6%) in general schools and 'satisfied'(40.8%) in alternative schools, showing that those in alternative schools have greater satisfaction on their schools(p<0.001).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perception as an 'important subject' was average of 3.08/5 points in general school and 3.32/5 points in alternative school, indicating that the recognition in alternative schools was higher than general ones(p<0.05). Also, degree of satisfaction on practice and lecture class was higher in alternative than general school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audiovisual learning material in alternative schools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general ones, and the former had poor facilities and practice labs. Regarding degrees of interes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verage'(36.9%) in general school and 'rather interested in the subject'(38.5%) in alternative schools were most common. About the opinion that they needed to learn Home Economics subject, the answer 'it is needed' was 67.6% in general schools and 79.2% in alternative ones, presenting that the students in alternative schools more felt the need to learn the subject(p<0.05). Regarding the comparison of interest level for each area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only difference on the area of 'preparation and management for clothing'. On the area, the degree of interest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at all the schools(p<0.05). Therefore, in alternative school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uses of audiovisual learning materials at teaching and expansion of practice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and created desirable Home Economics class. Also in general schools, it is urgent that countermeasures to increase the practice classes ar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PDF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

  • Lee, Hyun Sim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1
    • /
    • pp.71-1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wareness about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residing in rural areas of life in Korea. Immigrant wom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as a self-reported survey. Data collected by utilizing the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indings, more than half of the 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husband. Learning map awareness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n the most difficult and the necessary support to the children the basic curriculum map, Children's educa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after-school and school education activated and was the language barrier. Hard life in Korea, the language is a problem, Place discrimination received was a public place. Adapt to Korean society, language communication, child education, community adjustment problems with the same level of help was most needed. Meetings or activities often involve religious organizations, their home country, and meeting friends. His native Koreans, when it is difficult to discuss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Korea and community well adapted to the social framework that can nurture childr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communities and Korean society and institutional as well prepared, and In addition, the foundation will need to activate the program.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f Occupation Socialization Process of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경호비서의 직업사회화 과정 분석)

  • Kim, Seon-Ah;Kim, D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2
    • /
    • pp.295-305
    • /
    • 2010
  •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of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goes through four stages of preparation, adaptation, conflicts, and maturity and dynamic and incessant changes. The preparation stage includes the preparation to become a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the importance of what to prepare, usefulness of college education, required courses, and certificates. The adaptation stage includes the percentage of bodyguard and secretary, systematic nature of work, stagnation of the job, abilities required for a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elements to work on, job satisfaction, information sources, professionalism of the job, and future of the job. In the conflicts stage includes conflicts at work, difficulty of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problem-solving efforts, advice and consultation, satisfaction with workload, job stress, perceptions of others for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experience of trying to get another job, and supplements. And the maturity stage includes the changes to the roles and capabilities of a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autonomy of business management, degree of others' recognition of one's abilities, methods to evaluate job performance, salary, social status and pride, and efforts for self-development.

A Study of Perception and Improvement in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 (고등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Choi, Young-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1 no.3
    • /
    • pp.5-2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s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reading activities records. Data for 120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negative response result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the 'reading activity situation' record, the necessity of the reading activity record,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eading activity. It is, however,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recording method to invigorate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Since it is not easy to identify students' development in reading by the titles which they provides for the reading activity records, a variety of reading activities need to be recorded for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 process and interaction activities with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data to improve evaluation methods of reading activities for college admission and to cultivate proper reading culture in high schools.

A Study on General English Education for English Education Major (영어교육전공 대학생의 교양영어 교육에 대한 연구)

  • Kim, Ji-Eun;Choi, Young 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8
    • /
    • pp.565-57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re efficient ways of teaching English more related to but distinct from major English, based on the needs and awareness of the students of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For this, interviews and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targeting some English Education maj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is relatively low, marking around the score '3'.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classroom environment including the multi-media equipment, and professors' teaching ability, quality and methods is higher compared with other factors, the improvement of English skills and interest-causing levels are lower on average. Besides, this study also includes the surveys on the needs of students for various teaching programs, differentiated classes and qualified instructo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three suggestions as follows; (1) the opening of some specific English classes for English-education majors (2) the development of English-conversation classes related to English-education majors (3)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centered English reading based on English literature.

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Using History of Technology (기술사를 활용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 Bak, Hyoung-Seo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9 no.2
    • /
    • pp.122-1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using history of technology and to learn about its effec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developed the program by referring to various records and perform the qualitative experiment study through several questionnaire, pictures and materials, to learn about the program effect. The research took the mixed-model design, consisted of collection of quantitative data by Likert scale and collection of qualitative data including the open-ended questions.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below. First,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using history of technology was developed as program for 12 hours, 12 themes, for the elementary levels. Second, seeing the result of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using history of technology, the program for history of technology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 majority of answers showed high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giving answers such as 'I want to do it again following hands on minds on activit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qualitiative evidence of the program, students were found to take pictures with hands on minds on activity camera obscura with much interest and curiosity. Many students are seen to complete the task on their own with a great a look of self-satisfaction,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camera.